
이번 포항 지진에 지역 건설업체 XX건설의 지은지 3년밖에 안된 아파트가 지진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런데 뉴스 기사에는 "내진 설계 1등급 아파트도 지진피해 입어" 와 같은 제목으로 보도가 되고 있죠.
내진설계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은 내진 설계 1등급이라고 하면 대단한 것을 한줄 알 수도 있습니다.
건설사가 분양 광고를 하면서 "내진설계 1등급의 안전한 집"을 내걸어 홍보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일반 소비자들은 모르는 진실이 있습니다.
내진설계 1등급은 현법규정에서 5층이상 아파트에는 무조건적으로 적용해야하는 기준입니다.
그러니까, 자랑하듯이 내걸 것이 아니라 적용하지 않으면 법적 처벌을 받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현 내진설계 등급은 특등급, 1등급, 2등급 세단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첫댓글 그렇군
응 맞음... 우리나라 왠만한 모든 건물은 내진1등급으로 하고있음...
교량 터널 등등
인터넷에서 막 6.0만 와도 남는게 얼마 없을거라는데
왠만한 건물들은 내진설계 필수임...
그냥 다 있다고 보면됨...
문젠 설계는 내진을 했음.. 과연 시공은 100% 따랐냐? 이걸 봐야함...
토목이나 건축을 공부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지진하중이라는게 조합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없는거죠. 가장 위험한 값이 아니라서 무시될수는 있을 지언정.... 즉 내진설계라는게 별도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늘 있는것 뿐이란건데 단지 내진을 했어도 그당시 1등급의 기준이 어떤 지진가속도를 쓰고있는가 라던가가 문제일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