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同音異義語(동음이의어)로 본 한자어 이야기 ● 이제는 거의 허물어진 원형의 석축망루를 다시 복원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고증에 의해 원형그대로를 되찾아야할 뿐 그 어떤 유치하고 천박한 변모도 보이지 않아야 하리라. 圓形(둥글원, 모양형) : 둥글게(圓) 생긴 모양(形). 원모양. 原形(근원원, 모양형) : 본디(原)의 모양(形). 본형. ● 백제멸망 후 많은 유민들이 일본으로 유입하여 어려운 가운데 유민으로서 뿌리를 내렸기에 오늘날 일본문화에는 백제문화의 흔적들이 지명이나 일상 언어에도 잔재되어 있다고 한다. 遺民(남길유, 백성민) : 망하여 없어진 나라에 남은(遺) 백성(民). 流民(흐를류, 백성민) : 고향을 떠나 이곳저곳으로 떠도는(流) 사람(民). ● 부모님의 막대한 유산을 당초에는 사회에 환원키로 했으나 유족간의 갈등이 심해지자 그 환원계획은 그만 유산이 되고 말았다. 遺産(남길유, 재산산) : 죽은 이가 남긴(遺) 재산(産). 流産(흐를류, 낳을산) : 달이 차기 전에 태아가 죽어서 피의 형태로 흘러(流)나옴(産). ● 유도장에 다니는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어디서 들었는지 보았는지 유도탄이라는 무서운 폭탄이 있다는데 왜 이름이 유도탄이냐? 매일 하는 운동이 유도인데 이 운동이 왜 폭탄과 무슨 상관이냐고 묻는다. 별수 없이 또 한자를 써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 柔道(부드러울유, 길도) : 일본의 옛 무술인 유술(柔)을 도(道)로 승화시킨 말. 誘導(꾈유, 이끌도) : 사람이나 물건을 어떤 장소나 상태로 꾀어(誘) 이끄는(導) 일. ● 귀하의 전직은 교사였으나 그간 여섯 번이나 전ː직을 했다면 그 이력을 밝혀주시오. 前職(앞전, 벼슬직) : 이전(前)에 가졌던 직업(職). 轉職(구를전, 벼슬직) : 직업(職)을 바꿈(轉). ● 초중고 12년을 서울에서 전ː차통학을 하고 군에 입대해서는 기갑사단에 배속되어 또 전ː차운전병으로 복무하였다. 電車(전기전, 수레차) : 공중에 설치한 전선으로부터 전력(電)을 공급받아 지상에 설치된 궤도 위를 다니는 차(車). 戰車(싸움전, 수레차) : 전투(戰)에 쓰는 차(車). 출처:전남일보 글 金冠均 <한자선용국민실천회 대표>
|
첫댓글 동음이의어로 재치있는 시를 적는 "천양희"시인집도 한번 읽어 보아요. 동음이의어의 묘미, 더운 열기를 잊게 해줄 듯,,(한글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