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기술혁신의 주도자, 우수기업연구소 지정 |
-기술혁신 역량이 뛰어난 35개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을 축하하고 격려 -우수기업연구소 중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 가능한 잠재력을 지닌 3개 최우수 기업연구소(K-HERO) 시범 선정(㈜성우하이텍, ㈜저스템, ㈜이녹스첨단소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3년도 하반기 우수기업연구소 공모‧심사 결과 35개 기업부설연구소를 우수기업연구소로 지정하고, 1월 29일 지정서 수여식을 개최하였다.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는 기업R&D의 근간이 되는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타 기업부설연구소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선도모델을 육성할 목적으로 ’17년에 도입되었다.
’17~’18년 2년간 식품・생명분야 기업연구소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거친 후 ’19년부터 제조업 전 분야, ’20년부터 서비스업 분야까지 확대하여 본격 운영하면서 ’23년 하반기까지 총 286개의 우수기업연구소를 지정한 바 있다.
* ('17∼`18년) 식품·생명분야 연구소 13개 지정 → (‘19년) 제조업 전 분야 35개 지정 → (’20년) 제조업+서비스업 75개 지정 → (’21년) 제조업+서비스업 56개 지정 → (’22년) 제조업+서비스업 38개 지정 → (’23년) 제조업+서비스업 69개 지정
이번 ’23년 하반기에는 핵심 기술개발과 기술사업화에 앞장서고 있는 제조업 분야 23개, 서비스 분야 12개 기업연구소를 지정하였다. 지정된 기업은 기본 연구개발 역량을 검증하는 자가진단을 통과한 후 분야별 전문가들이 평가위원으로 참여하는 3단계(발표심사 → 현장심사 → 종합심사)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되었다.
* 전자제품·산업전자(8), 통신‧시스템H/W(2), 일반기계‧자동화기계/수송기계/정밀기계·기계부품(3), 금속재료·세라믹재료/화학·고분자/환경‧에너지(3), 의약·생명(4), 식음료(3),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9),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3)
또한, 선정된 35개 우수기업연구소 중 전문분과위원장 추천과 별도의 심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연구소로 성장 가능한 잠재력을 지닌 3개 연구소를 최우수 기업부설연구소(K-HERO)*로 시범 선정하였다.
* Korea-Highest Excellence R&D Organization
| < 2023년 최우수 기업연구소 지정기업 > | |
| |
▪ ((주)성우하이텍 R&D센터) 친환경차 적용 부품의 특수접합 분야 및 신소재를 활용한 차체 경량화(전기차 베터리케이스(BPC), 수소저장장치, 자율주행센서 등), 자동차 부품업 최초로 R&D센터를 설립하여 국내 자동차 후방산업 선도 ▪ ((주)저스템 기업부설연구소) 디스플레이 정전기 제어 기술 분야에서 국내 점유율 1위, 반도체 습도제어(N2 PURGE)분야에서 점유율 세계 1위, N2 PURGE 솔루션은 기존 일본 제품의 수입을 대체하여 국산 기술력 확보 ▪ ((주)이녹스첨단소재 연구소) 반도체 칩과 기재 회로간의 기능성 소재 개발, 국내 유일의 종합 반도체 PKG 소재 Maker로 국내 시장점유율 1위, 연성회로기판(FPCB) 및 반도체 필름소재를 양산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산업 자립도 향상 |
우수기업연구소로 지정된 연구소에는 지정서와 현판, 병역특례기업 추천,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우대, 정부 포상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과기정통부 조성경 제1차관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기술혁신은 경제・외교・안보의 절대적 무기”라고 하면서, “기술패권 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는 우수기업연구소가 뛰어난 연구역량과 과감한 선제적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우수기업연구소가 글로벌 TOP 수준의 연구소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연구개발법’* 제정 추진과 더불어 43만 기업연구원들이 기술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지속 혁신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23.3, 김영식의원 대표발의)
붙임 1. 2023년도 하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기업(35개)
2.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제도 개요
붙임1 | | 2023년도 하반기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기업(35개) |
(지정번호 순)
지정번호 | 기업명 | 대표자명 | 연구소명 | 소재지 |
2023-0035 | ㈜넥스틴 | 박태훈 | ㈜넥스틴 기업 부설연구소 | 경기 화성 |
2023-0036 | 디바이스디자인㈜ | 조영국 | 디바이스디자인㈜ 연구소 | 경기 수원 |
2023-0037 | ㈜라파스 | 정도현 | ㈜라파스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강서 |
2023-0038 | 렉스젠㈜ | 안순현 | 렉스젠㈜ 부설연구소 | 경기 안양 |
2023-0039 | ㈜룰루랩 | 최용준 | ㈜룰루랩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강남 |
2023-0040 | ㈜비티씨 | 김태영 | ㈜비티씨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안산 |
2023-0041 | ㈜삼정솔루션 | 최춘화 | ㈜삼정솔루션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수원 |
2023-0042 | ㈜성우하이텍 | 이명근, 이문용 | ㈜성우하이텍 R&D센터 | 경남 양산 |
2023-0043 | ㈜셀비온 | 김 권 | ㈜셀비온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성남 |
2023-0044 | ㈜에너토크 | 장기원 | ㈜에너토크 기술연구소 | 대구 달성 |
2023-0045 | ㈜에스씨솔루션글로벌 | 나광윤 | ㈜에스씨솔루션글로벌 기술연구소 | 경기 용인 |
2023-0046 | ㈜에스엘엠 | 박영준 | ㈜에스엘엠 기업부설연구소 | 대전 유성 |
2023-0047 | ㈜에스엠엘제니트리 | 김경진 | ㈜에스엠엘제니트리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송파 |
2023-0048 | ㈜에이치에스씨엠티 | 김병훈 | ㈜에이치에스씨엠티 유체유동연구소 | 경기 용인 |
2023-0049 | ㈜에이치엘사이언스 | 이해연 | ㈜에이치엘사이언스 중앙연구소 | 경기 의왕 |
2023-0050 | ㈜엔솔바이오사이언스 | 김해진 |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신약연구소 | 대전 유성 |
2023-0051 | 율촌화학㈜ | 송녹정 | 율촌화학㈜ 기술연구소 | 경기 안산 |
2023-0052 | ㈜이녹스첨단소재 | 장경호 | ㈜이녹스첨단소재 연구소 | 충남 아산 |
2023-0053 | ㈜이랑텍 | 이재복 | ㈜이랑텍 기술연구소 | 경기 화성 |
2023-0054 | ㈜저스템 | 임영진 | ㈜저스템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용인 |
2023-0055 | 콜마비앤에이치㈜ | 김병묵, 윤여원 | 콜마비앤에이치㈜ 식품과학연구소 | 서울 서초 |
2023-0056 | ㈜트리엔 | 이춘무 | ㈜트리엔 기업부설연구소 | 경북 구미 |
2023-0057 | ㈜퓨어스피어 | 이진구 | ㈜퓨어스피어 연구소 | 충남 논산 |
2023-0058 | ㈜YH데이타베이스 | 최대룡 | ㈜YH데이타베이스 기업부설연구소 | 대구 수성 |
2023-0059 | ㈜더블미 | 김희관 | ㈜더블미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중구 |
2023-0060 | ㈜미소정보기술 | 안동욱 | ㈜미소정보기술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강남 |
2023-0061 | ㈜브리지텍 | 신경식 | ㈜브리지텍 기술연구소 | 서울 영등포 |
2023-0062 | ㈜비온시이노베이터 | 김용수 | ㈜비온시이노베이터 기업부설연구소 | 광주 북구 |
2023-0063 | ㈜아이엠지티 | 이학종 | ㈜아이엠지티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성남 |
2023-0064 | 엘에스웨어㈜ | 김민수 | 엘에스웨어㈜ 소프트웨어연구소 | 서울 금천 |
2023-0065 | 엠비디㈜ | 구보성 | 엠비디㈜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수원 |
2023-0066 | ㈜원더풀플랫폼 | 구승엽 | ㈜원더풀플랫폼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 서초 |
2023-0067 | ㈜인텔리빅스 | 장정훈 | ㈜인텔리빅스 영상정보처리연구소 | 서울 서초 |
2023-0068 | ㈜지놈앤컴퍼니 | 배지수, 박한수 | ㈜지놈앤컴퍼니 기업부설연구소 | 경기 성남 |
2023-0069 | 케이엠에스랩㈜ | 배희정 | 케이엠에스랩㈜기술연구소 | 서울 마포 |
□ (목적) 기술혁신 역량이 우수하고 기술사업화를 통한 가치 창출이 우수한 기업 연구소를 지정하여 기업 R&D 선도모델로 육성
□ (지정근거)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의6
□ (지정주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명의 지정서 발급)
※ 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위탁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지정대상) R&D 역량이 우수하고, 기술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거나 잠재력이 높은 기업연구소
ㅇ R&D 전주기 관점의 체계적인 기술 중심 경영을 통해 뛰어난 기술 및 제품을 창조하는 연구소
ㅇ 연구소의 R&D 활동이 기업가치 및 성과에 기여도가 높은 연구소
ㅇ 기업 내외 타 연구소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는 연구소
□ (신청자격) 과학기술(제조업) 및 서비스 분야를 주업종으로 하며 3년 이상 기업연구소를 운영한 중소·중견기업 중 R&D역량진단 상위 30% 이내
□ (지정기간) 연 2회 / 지정일로부터 3년 간 지정
□ (지정절차) 자가진단평가를 통과한 기업을 대상으로 3단계 심사
공모 | ➡ | 자가진단 및 접수 | ➡ | 1차심사 | ➡ | 2차심사 | ➡ | 3차심사 | ➡ | 지정공고 |
공고/ 신청안내 | | 통과기업 접수 | | 발표평가 | | 현장평가 | | 1~2차 결과 종합심사 | | 지정 공고 (필요시 이의조정심사) |
과기정통부· 산기협 | | 신청기업 | | 전문분과 위원회 | | 현장심사단 | | 종합심사 위원회 | | 과기정통부 |
□ (혜택) 국가R&D사업 선정 우대, 병역특례기업 지정(가점), 민간 연구개발유공 표창, 과기정통부 지정서 및 현판 수여 등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