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견고함을 상징 ‘금강저’
‘금강저(金剛杵)’는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교 용구의 하나로, 범어로 바즈라(Vajra)라고 불린다. ‘금강저’는 주로 밀교의식에서 여래의 지혜가 금강과 같이 견고함을 나타내는 의식 용구이다. 다른 말로 금강지저(金剛智杵), 견혜저(堅慧杵)라고도 한다.
'저(杵)'는 인도 고대의 무기 가운데 하나로써, 제석천이 아수라와 싸울 때 코끼리를 타고 금강저를 무기로 삼아 아수라의 무리를 쳐부순다고 한 신화에서 그 신비한 힘이 유래되었다. 뒤에 밀교에서 적을 쳐부수는 의미로 이 무기를 불구(佛具)로 채용하여 여러 존상의 지물(持物)로서, 또는 수행의 도구로 사용하게 되었다.
'금강저'는 밀교에서 인간 번뇌를 부숴버리는 지혜 또는 보리심(菩提心)을 상징한다. 티베트 불교권에서는 이것을 도르제(Dorje)라고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중국.일본 불교에서는 ‘금강저’라 부르고 있다.
우리 나라 밀교계 종파에서는 스님들은 진언(眞言)을 외면서 항상 금강저를 휴대하게 되었는데, 그 근본 뜻은 여래의 금강과 같은 지혜로써 능히 마음 속에 깃든 어리석은 망상을 제거시켜 자기 심성의 청정한 지혜 광명을 발현하려는 데 있다.
금강저는 금, 은, 철, 구리, 나무 등으로 만든다. 손잡이의 양 끝(뾰족한 창 모양)을 한 가지로 만든 것을 독고저(獨鈷杵), 세 가지로 만든 것을 삼고저(三鈷杵), 다섯 가지로 만든 것을 오고저(五鈷杵)라고 한다. 손잡이 좌우에 불꽃문양 형태를 조각한 경우 이를 보저(寶杵)라고 하고, 탑을 조각한 것은 탑저(塔杵)라고 한다.
금강저의 다섯 개 갈퀴는 밀교에서 오지(五智) 또는 오불(五佛)을 상징한다. 오지(五智)는 다섯 종의 지혜를 뜻한다. 즉 법계체성지(法界體性智),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를 말한다.
오불(五佛)은 중앙의 대일여래, 동쪽 아촉불, 서쪽 무량수불, 남쪽 보생불, 북쪽 불공성취불 등의 여래로 상징화 된다. 따라서 다섯 개 갈퀴 가운데 중심축은 법계체성지와 대일여래의 상징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문화재 중에는 경주 석굴암의 제석천상은 오른 손에 불자(拂子)를 들고 왼손에 금강저를 든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오고저(五鈷杵)에 속한다. 강원도 고성 건봉사의 일주문 석주에서도 금강저 문양을 볼 수 있다. 천태종 종기(宗旗)처럼 금강저가 주문양으로 사용되는 등 다방면에서 상징 문양으로 활용되고 있다.
[출처] 지혜의 견고함을 상징 ‘금강저’|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