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고대 건축 모듈의 각 부분의 명칭 中国古建筑组件各个部分的名称
중국의 옛 건축은 몇 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목석 구조인데다가 중국의 옛 건축물이 등급이 있다등급 구분 때문에 중국의 옛 건물 이름은 지붕에서 계단까지 자기만의 이름이 있을 정도로 까다롭다.모양 수집망에는 중국 옛 건축물의 각 부분 명칭이 자세히 소개돼 있다.
1. 중국 목조구조 체계는 한대에 형성되었다.당대에 성숙하고 송대에는 성숙화의 기초에 있다정교화, 명청의 경우는 고도로 성숙된 단계에 이른다.
2.부계: 송칭, 전각 등 개인건물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복도(추첨지붕을 형성함),부계라고 한다.
3.간:사주 사이의 공간 또는 두 개의 보랙 사이의 공간(일반적으로 두 번째를 의미), 두 줄의 기둥이 가까이 있으면 그 가운데 부분을 출랑(주위랑, 앞뒤랑, 앞쪽 출랑, 밖으로 나오지랑 네 종류)이라고 합니다.
4.권살:목부재 곡선 윤곽에 대한 1가공 방법을 심다.
5.대목대식건축물과 대목소식건축물:
관식건축의 구축형제에서, 구분대목대식 건축과 대목소식을 위하여.대식건축은 주로 단묘, 궁궐, 원구, 능묘, 성루, 부제, 아서와 관수사찰 등의 군조를 이루는 주요, 부차적인 전옥으로 사용되며, 고등급 건축물에 속한다.소형 건물은 민가점점 등 민간 건물과 중요 그룹 중 보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저등차 건물로 구분된다.
1칸대특례용은 11칸까지, 깊이 통하면 11대까지 쓸 수 있다., 특례는 13대까지.작은 건물은 3, 5칸짜리 건물로 들어서면 7대도 안 된다.
2출랑: 대식건축물은 다양한 출랑방으로 이용가능식, 그러나 작은 건물은 앞뒤 복도에만 쓸 수 있고, 그렇지 않다.주변 복도를 만들다.
3지붕 : 대식건축물은 다양한 지붕을 사용할 수 있다형식과 유리 기와산과 현산과 그 두루마리를 만드는 법은 성전과 쉬산을 허락하지 않고, 무거운 처마를 만들지도 말고, 기와와 유리와 기와를 써서도 안 된다.
4대 목부재: 대식건축물은 두아치로 쓸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작은 건물은 두아치로는 안 된다..대형건축물에는 서까래를 더하고 대들보, 각등, 복등목 등의 부재를 따른다.
6.등목면은 육각형으로 복등목 양쪽에서 아래쪽으로 비스듬히상에 서까래를 꽂기 위해 서까래를 켰다. 복등목은 명청에서만 나타났으며(당송기에는 없었다) 대식건축에만 사용되었다.
7. 뿔키스: 겹겹이 쌓인 건물의 처마 끝团tuan) 척 또는 지붕의 회전각에 있는 장식짐승.
8. 자수: 1전설의 몬스터,용건물 지붕의 장식은, 덫에 걸린 짐승의 주였다.형식을 요하다.
2고대 이물전계상 및 인장상의 용머리상.
9.<공고기>(전국):장인영국방구리방삼문국중구경구위, 경도구궤, 좌조우사, 면조후시, 시조일부.
일반적으로 도성 구리견방, 매변방의 세 문은 각각 9개의 도로와 남북으로 나道니다.길은 폭 9개의 차궤로 동쪽은 조묘, 서쪽은 사직단, 앞쪽은 조정궁실, 뒤쪽은 시장과 주민구역으로 되어 있다.조정 궁실 시장은 100무의 부지를 차지하고 있다.(도색, 도로.일부, 백묘) (주의, 이것은 <고공기>에 기재된 도성 제도로, 좌조우사, 인면이 남향인 경우, 좌동 우서.)
10.경당:1에 부처의 이름 또는 경이 새겨져 있다.주문의 돌기둥, 몸통은 대부분 육각형 또는 원형이다.(현대한어사전)
2 팔각형의 돌기둥에 경문을 새긴다(다라니경)...불법을 선양하는 기념 건축으로물건. 당에서 시작하여 송료에 이르렀을 때 발전했다가 나중에 다시 보기 드물다.일반적으로 기좌, 당신, 당정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중건사)
11.복분:주위의 노명 부분가공대야로 덮인 것처럼 바깥으로 돌출된 빔 실 발판
12. 드리블: 고등급 건물의 대계단 만드는 법, 그 앞면 축선에 바른 계단을 디디고양옆에서는 손을 내리깔고 발을 동동 구르고, 측면에서는 팔짱을 낀 채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고 한다.
13.각주석:대기각부에 세워져 있고,가파르게 쌓은 판석과 각기둥이 함께 평평하게 쌓이고, 위로는 계단과 자갈을 덮었다., 하부는 흙 라이너입니다.
14.기둥의 돌:아래받침대,상부기둥础, 길이가 두 배인 주경, 두께가 주경이다.
15.벨트스톤: 끈을 드리우고 양옆을 구르며이중 선은 명간 처마돌림 중선과 겹치며 치수는 동일함계조석은 청대에 상안을 쌓지 않는다.
16.상안석:청대의 삼각석 쌓기의 드롭스톤 측면.
17.벼루돌:계단 밑에 묻어, 쓴다.저항 계단 추력으로.
18.수분자리:고급 건물의 대지불좌에서 유래하여, 여러 층의 벽돌과 석재가 겹겹이 묻혀 있다.궁궐묘우 등 중요 건축물에 많이 쓰인다.
19.포고석: 돌난이 끝나는 곳에 사용,난간을 막아서 떨어지지 않게 하다.상, 난간으로서 끝을 내다.
20.보행대 : 檩와 檩 사이의 거리칭보폭을 위해 일반적으로 한 걸음에 22말이다입
21엔드 이펙터의 거리가 보폭(22두구)보다 작습니다.
22.거절법: 송대건축 지붕 부재방법, 구한 지붕은 약간의 접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23.거가법: 청대의 대지붕의 부재전.유단추, 중추, 두 종류의 처마를 오등전이라고도 합니다.
24.휴산: 중국 고대건축물 중등급庑전에 버금가는 지붕 양식으로 형식적으로 보면두 언덕 꼭대기에 주변 복도를 더한 결과.
25발만 동동 구르는 방법으로는 형식이 비교적 자유롭다.
26.갈피기둥 조성:상층 추녀기둥 밑부분을 열글자는 평좌 기둥의 두아치 안에 꽂고,평좌주는 또 아래 추녀 기둥 두레박에 꽂혔으나 안쪽으로 반기둥의 길을 물러섰다.
27사량 하나를 더하고 상부 기둥을 이 보에 세운다.구조면과 외관면에서 잘 맞는데 보를 추가하고 각부마다 투아치-부하우를 추가한다.
28.규각부분, 전체 높이 51부, 규각 높이10부입니다.
29.墀:산담의 측면(즉, 건물의 정립면 방향)에 연결되어 있다처마와 줄다리기 벽돌 사이에 1을 박아 놓다
무늬나 인물을 조각한 무거운 벽돌머리를 깎다.
30. 패왕권일종의 예술 처리 양식으로, 청대의 노각 들보.패륜을 부리기도 한다.
31.작대:비추 서까래머리못과 기와아가리작대.
32.단풍기의 건축 가능한 외문은 槅부채를 가장자리에 대고 문질렀다.머리는 화심(槅)과 치마판(。)으로 나뉜다.
33. 차경: 차--주위를 충분히 이용하라환경에 유리한 조건, 예를 들어 "높은 산으로 인해,저조수(","水)" "속즉폐지(俗)·가칙수(嘉)"는 모두 사택림의 설계수법 중 공간을 넓히는 수법 중 "다소"하지 않는 수법이다.(외경이 보여서 정원으로 차감했습니다)
34.평신과:기둥과 기둥 사이의 두아치· 청대에는 평신과, 즉 송대의 보간포라고 불렀다.제.
35.각과:각기둥 위의 두아치, 청대각과, 송대칭 전각포작.
36.기둥머리과:일반 기둥에 있는 두아치송대들보, 수력투아치.
37.간:건물에서 위치에 따라 다름·정중의 한 칸을 명간이라 한다(송칭 당심간)그 좌우를 차간이라 하고, 그 외의 것을 말단이라 하고, 가장 바깥의 것을 다하고, 아홉 개 이상의 건물은 차간수를 늘린다.
38.사연栿: 명청에 해당하는 다섯 대대들보, 다섯 개의 檩의 힘, 길이(4보대)서까래 네 대.
39.명칭:평준(음암안)실내 천장 또는 천장의 일종) 이하, 또는명조 즉, 천장이 설치된 실내에서 보이는 栿(들보).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으로 미관을 추구한다.
40.초록qi)에 보이지 않는 栿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그래서 조략을 만들고 어떤 예술적 가공도 하지 않고 조잡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초벌이라고 합니다.
41.평준: 들보가 드러나지 않도록·보 아래에는 늘 천연두로 나무틀을 구성하고, 틀 안에는촘촘하고 작은 체크를 두다.
42.평준널빤지, 판자 밑에 페인팅을 하거나 채색 무늬를 붙인종이, 이런 형식은 송대에 후손들을 부르는데 응용이 비교적 넓다.
43.손잡이: 평평한 들보에서 등심까지(등심)사이에 비스듬히 놓인 목재는, 부축용이다.등뼈의 사대. 명청이가 헐려 등심으로 고쳐 쓰다.(평량: 들보형 부재 중 가장 윗선에 있는 보)
44.발받침: 아래의 들보와 槫(檩)사이에 비스듬히 놓인 나무재목.그것은 주로 부조를 일으킨다.역할 청식 건물에는 이 부재가 없습니다.
45.삽입:명청목부재(가로))의 하나로, 두 기둥 사이에 위치하며, 기연결작사용
46.들보: 가장 긴 들보 아래의 枋,대들보를 튼튼히 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부재입니다.
47.양목檩의 힘은 檐마루에 있는 들보와 같이 두공이 있다.때를 가리켜 뾰족한 대들보를 메고, 무두 아치가 있을 때는 포두대라고 한다.
48.측발: 건축이 잘 되도록안정성, 송대 건축 규정 챙기둥 전후처마는 안쪽으로 기둥 높이의 10/1000을 기울였고, 두 산에서 안쪽으로 8/1000 기울어진 반면, 각주는 양쪽 방향으로 모두 기울어져 있었습니다.이런 방법은 옆발이라고 한다.원나라 때 아직 볼 수 있는데, 명청에 가면 많이 쓰지 않는다.
49. 불산 : 전(송명사아)건물 지붕 처리의 특수 수법입면의 필요에 따라 양끝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네 개의 등마루가 45도의 경사 직선에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바뀌고 지붕 정면과 산면의 경사도와 보폭 거리가 모두 일치하지 않게 된다.
50.수산:휴산(송칭구척전))지붕 양쪽의 산꽃은산면에서 처마기둥 중선으로부터 안쪽으로거두어들이는 것. 그 목적은 지붕이 너무 방대하지는 않지만 구조적인 어떤 변화(순량이나 들치기와 채보 금량가게 등)를 야기하는 것이다.
51.조정: 고급 천연두, 일반용의전당 명간의 한가운데.
52.수화문: 처마기둥이 땅에 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가운데 기둥에 매달아 枋를 꿰고, 하단에 꽃잎을 새기고 구슬을 이어 붙이는 등부화목조. 지붕을 꼬챙이로 연결하다.베이징 사합원 제2문으로 많이 쓰인다.
53.두구제:체코대두소초구의 치수는 한 말구로 재의 9점에 해당한다.도구는 11등, 최대도구는 6촌으로 1등급은 반촌, 11등도구는 1촌, 주경은 6두구, 기둥 높이는 60두구다.두구제는 단방향 모델 수로, 등분 11단계로 계산이 간소화됩니다.
54.청식채색화:<세 가지로 정형화> 선채화앞의 양자 양사성은 총결산하여 전식 채화로 만들었다.
회전자 채화: 꽃을 장식 모제(모란꽃을 추상화하여 만든 도안)에 사용제왕 계통의 부차적인 건물과 제2등급 건물군에 있는 주요 건물, 예를 들면 사찰과 같은 건물들이 있다.
합새채화제왕적 시스템의 주군에 있는 주체 건물, 등급이 가장높다
소식채화: 정원, 주택,왕립 정원 포함.
55.등심: 산 정상에서 두 언덕과 지붕을 연결한다.우의 등은 등을 戗다.
56.구등정 : 산 정상을 쉰 송당설·2 언덕 꼭대기에 주변 복도를 더한 결과로서, 그것은 바로등심, 등심 네 개, 등심 네 개로 이루어져 있어 구척전이라 한다.
57.족재:재, 두공 또는 소방용재의 단면 사이즈는 1재, 고폭비는 3:2재료는 재료 15점, 폭 10점, 높이 6점, 폭 4점.1등재는 6인치×9인치로, 4등재에 해당한다.2족재~3재, 즉 42점~45점 사이.
58.투아치의 출출:출동하는 축까지하프축 선의 거리는 일 점프이며, 일반적으로 앞뒤로 각각 나온다.깡충깡충 뛰다.
한 번 뛰어오르면--사포작
두 번 뛰면 -- 오포작.
삼 점프를 내다--육포작.
쿼드러플 점프--칠포작
오 점프--팔포작(송<<)에 의하면조성법식>>)
오포작중아o) 단하앙, 안쪽 다섯 개 점포를 돌면서 겹겹이 쌓고 있다.계심.일杪-- 화공<입면에 수직인 공칭 화공>이 나옵니다.
병심--계심으로 하는 것, 하나 하나점프에는 모두 가로 아치가 있다.팔굽혀펴기의 부족. 청대의 한 축이 '跴', 예송대가 두 번 뛰어났고, 청대가 다섯 번을 걸었다.
59화공은, 쌍하앙 즉, 두 개의 하앙(()을 두었다.뒷기둥을 깔고 쓰지 않다
앙앙, 청대에 이르러서, 앙앙한 평신과를 데리고 또금의 두아치로 바꾸는 방법은, 원래 비뚤어져 있었다..구조의 역할이 거의 상실됨).
60.평수작업하기 전에, 하나의 고도 기준을 결정한 다음이 높이 기준에 따라 모든 건물의 표고가 결정됩니다.이런 고도의 기준이 바로 고건 시공 중의 '평수'다.평수는 전체 건물군의 높이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대지의 실제 높이도 결정합니다.
61. 두공: 중국 고대건축물 중 이련기둥과 들보, 트러스, 枋의 일종인 독특한 부재.두아치란 우리나라 목조대 건물 특유의 구조 부재로 네모난 두오름과 직사각형의 아치, 그리고 비스듬한 앙으로 이루어져 있다.구조상 하중을 고르고 지붕의 큰 면적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한다.
버킷의 역할:
1승탁의 역할을 추가한다.
2 압출면 추가(원격 작용))。
3撑 檐 檩 跳 以上 이상 2가지 예투아치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4비방지,조기용 다진토 벽,·비에 약하지만, 챙길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한 번 더 배치하여 그 연장을 늘리다.
5 내진, 순전히 장부에 의존(음손 sun)묘한 구조로 밖에서 힘이 세지 않을 때는 강함성적인, 외력이 클 때는 활동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상쇄한다. 을 재다.
6장식 작용.
7등급 마크, 명청 구조작사라져가는 것으로 순수한 장식이 되어, 등클래스의 표시.
8모수 작용. 투아치 일반사고급의 관식 건축에 쓰이면, 크게 나누어진다.외측 추녀와 내측추의 두 종류. 구체적인 부위로부터 기둥머리 두공, 기둥으로 구분간두 아치.
62.갓:실내용,용경목 부조 또는 투조가 도안되어 실내에서 일어나다차단 작용과 장식 작용.
63.일정양파:스노우플레이크그림 속 조두 부분의 도안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정원과 두 개의 반원으로 표현되며, 추상적인 모란꽃으로-- 소용돌이는 모제이다.
1실링(3부)
2희 상봉(4부)
3일정 2파(6부)
4종 2종 1로(7부))
5종 2종 금도관(7.5부)
6일전 2파에 2번(8부))
7 하나 둘씩 둘씩 실을 감아(9분)
1/1/1/2/+10부)
64.방자:소식채화중,처마 끝부분의 비침
꽃니:방귀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참새 대신의 비침공 부재.
65.礓: 사도에 벽돌로 된 이슬로 옆을 매달아 쌓기, 가능미끄럼 방지를 위해 실외용으로 사용합니다.
66.작대기둥과 만나는 곳의 연결체 사이의 짧은 나무, 빼기소량枋정쇄. 작용: 압착면을 늘리고 정간거리를 줄여 예술적으로의 과도.
67.栌:투아치 맨 아래층, 중량 집중에서 가장 큰 아치.
68.화공:송식의 일종아치의 명칭은, 입면에 수직으로 해, 내외로 고른다.아치를 내다.
69.하앙: 투아치 중사치의 부재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바깥으로 비스듬히 아래로 뻗은 경우, 栌두께의 첫 번째 가로 아치가 나옵니다.
70. 진흙길 아치: 버킷 내화공과 교교하는 자, 맨 아래의 가로 아치(송)).가장 바깥으로 추는 줄 아래, 가장 안쪽으로 뛰는 단층 가로 아치.
71.링 아치: 점프마다머리, 단층 가로 아치.
72.이중투아치:별칭참외 아아치(아래쪽은 짧고 굵음), 느린 아아치(위쪽)가늘고 길다).(송)
73. 교호두:횡공화공과 교차하는 곳에는, 횡공과 화공을 받들어 전한다.온 쌍방향 합력의 아치.
74.제심투: 화공에서 또는아치의 한가운데를 가로로 받치고 있는 아치아치의 위쪽 중심에서 枋가 전하는 힘을 받드는 두 개의 말。
75.머리:맨 위 아치위를 쳐들고, 아아치와 서로 맞물리며메뚜기 머리 모양 같은 사람.
76.주두枋:각각횡단아치 위에는 모두 가로로 枋를 치고, 기둥 중심에서 中心를 枋다.(정심正--청)
77.枋:링 아치 위에의 枋, 최외부.(송)(檐)
78.평준:최내부령아치 위의 枋.
79.나한별: 안팎으로 뛰어완만하게 아치를 쌓는 자는 송용두아치 점프를 표시합니다.
80.포상:투공의 출출,1점프=4점포.
81.계심조:일회전에서가로놓인 방법.
82가로놓지 않는 방법.
83.아케이드: 전부 훔쳐마음에서 우러나는 방법.
84.청두공칭은 다음과 같다.
좌두한 조의 아치 맨 아래에 위치한 부재.
18두:대두만 빼고의 두는 모두 18두이다.
구유승자:정심공(정심)참외는 정심만공(正心一万)의 양끝을 떠받들어 이런리터의 바깥쪽에는 아치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있다; 초기 두 개의 아치 사이에 진흙을 사용한다.흙은 봉호하고, 명청은 널빤지인 아케이드로 봉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구유승자가 없었고, 봉호는 새를 막기 위해서였다.벌레가 건물 안으로 날아들다.
삼재승다른 것들은 모두 3재승이다.제심두(한 송이 한 송이)를 제외한 나머지 '리터'는 모두 산산이 흩어졌다고 했다.싸움을 걸다.
85.싱글홈/더블홈/분심홈:내측 기둥은 평면을 크기별로 구분의 두 구역/세 구역. 중주 한 열로 평면을 등분합니다.
86.두구:좌두 정면의구유의 입구를 두구라고 하는데, 청대에 건축의 척도로 삼았다.척도의 기준, 즉 청대모수제.
87. 천투식 프레임:
1은 입첩식이라고도 한다.
2이것은 기둥으로 간격이 비교적 촘촘하고, 기둥의 지름이비교적 가는 기둥과 짧은 기둥을 직접 받친다.간간이 대들보가 아닌 약간의 옷으로 연락하며 枋로 추녀를 떠받든다.
3 이러한 구조는 우리나라 남방사에 있다보편적인 장점으로 재료를 적게 사용하고, 산면에서 저항한다.바람의 성능이 좋은; 단점은 실내 기둥은 촘촘하고 공간은 넓지 않다는 것이다.
4그것은 때때로 적층식 구조와 섞인다통합사용. 지세별 기본부재 적용. 기둥과 기둥은 꿰맨다.
88. 들보 프레임:
1(적층식)은 일종의 들보이다구조 체계, 수평 부재는 보, 수직의기둥을 위해 보는 굽은 부재를 수용하고 자중으로 건물을 안정시킨다.
2 바로 집터에 기둥을 세운다, 기둥대들보를 올리고, 대들보를 얹고, 그 위에 대들보를 놓다.대들보의 양 끝을 나란히 받치고, 겹겹이 올라가면 맨 위 대들보 중앙에참외 기둥의 등줄기를 받치다.
3 이런 구조는 우리나라에서 응용이 잘 된다광범위하게, 관식과 북방의 민간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특히 북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비교적 큰 공간; 단점은 기둥과 같은 용재가 크고 목재를 많이 소모한다는 것이다.
4중요 건물은 두 아치로 탑재골라내다. 주요부재, 보, 기둥, ,, 檩。
89.정건식틀:장목재가 겹겹이 쌓이는 것은, 포위 구조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보호 구조이기도 하다.하중 구조.
90.간맹장식:서쌍판납의족촌채는 땅에 닿는 습기를 피하기 위해건물은 통풍이 잘 되고, 충수의 침해를 방지하며, 홍수를 방지하고 수해를 예방하며, 형세에 따라 원래의 상황을 기다렸다.인.
91. 운남 1개 인: 운남고원 지대에는, 사계절이 봄과 같고, 추위가 없고, 많다.바람.
식은 비련식 삼간사이,즉, 자방 세 칸, 귀지 두 칸.집은 항상 아파트이기 때문에
산간지방, 용지를 절약하고 방의 기후를 개선하기 위하여그늘을 조성하여, 작은 것을 채용하였다.
톈징형 작은 창문은 모래바람과 방화, 주택을 위한 것이다지반이 반듯하고 외관이 방정하다.
정, 현지에선 '인쇄 하나'라고 한다.。
92.환구:베이징 스카이에 위치단의 축선에 기년전은 남.단 3층으로 간다상층 경로는 26m 남짓, 하층 경로는 55m. 하늘은 양성이므로모든 치수, 석재 건수는 양수.환구 주위를 원형 평면과 사각형 평면으로 감은 音(음배pei)담이 각각 1중으로 높이가 매우 낮지만 불과 1미터 남짓하다.
93. 기년전: 그것의 형제,·원래는 천지가 합사되었을 때의 대사전;평면정원형, 위 삼중추 원형으로 뾰족한 꼭대기, 외추기둥 12개, 안쪽처마기둥 12개, 십이시진과 이십사절기를 상징하며, 동시에 우물기둥 4개, 사계절을 상징하며 안팎의 처마기둥과 합기년전은 38성숙의 상징으로 삼층한백옥수수미좌대터(하층경 약 90m)에 세워져 있으며, 주홍채를 사이에 두고 삼중청(푸른색)색이다.기와 챙이 뾰족하고 끝이 뾰족하다.김보정 마무리, 처마 밑 채색은 휘황찬란; 건물 전체의 색조가 깨끗하고 조형이 우아함. 기년전용대만 기반이 향상되었고 낮은 벽으로 이미지를 확대하여 숭천의 경계를 표현하였다.
94.응현목탑(불궁사)석가탑 : 산시응현에 위치, 일명 응주의 탑은, 료칭닝 2년(서기 1056년)에 지어졌는데, 그것은 위치한다.절 남북 중축선상의 산문과 대전 사이에 탑은 사각형 및 팔각형의 이층 벽돌대 기저에 세워져 있고, 탑신도 팔신이다.각형, 바닥경 30m, 높이 9층 67.31m(외관 5층, 암층 4층).탑신의 수분이 합리적이며, 암층이 탑신을 보강하기 위하여 구조처리되었다.수차례의 지진 끝에여전히 무사하다.최초의 목탑을 두다.
95. 인테리어:송대칭소목指두 종류를 장식하다.
1외챙 인테리어란 내부 공간과외부공간의 분리물, 문, 창문난간 등。
2리트리밍은 내부 공간과내부 공간의 칸막이, 가리개, 박고대,천장 등.
3 인테리어 멀티 기능:
a. 유통 및 보호의 양방향 기능
b. 조직의 실내 공간을 위한 기본 수단
c. 성격의 선염요소 인테리어의 특포인트는 재부재하는 것으로, 장식성이 강하다..그러나 장식과는 다르다.
96.태화전전구간전(,)을 청대(清) 열한 칸으로 바꾸었다.명장릉祾은전은 우리나라 현존하는 가장 큰 목조 건축물로, 태화전은 체량이 웅장하고 조형이 장중하여 고궁주를 갖추고 있다.태화전은 황제의 즉위, 황제의 생일, 동지의, 정월 초하루, 조조 등의 의식을 위하여 최고급으로 사용되었습니다.
97.불광사대전:
1은 산서성 오대산에 있으며, 대전은 당에 건설되었다.(기독 857년).
2면 활칠개간(개간을 기다리며)진심여덟 개의 서까래(4칸), 한 쪽 처마 사아전, 집면파도는 비교적 완만하며, 거사는 약 1/4.77입니다.
3등심과 처마끝에 모두 떠오르는 곡선이 있고옆발, 포크와 발받침, 지붕통 사용기와는 후대에 깔아놓았지만, 鸱의 꼬리 모양과 기와 등줄기는 옛것을 존중하고 선인의 짐승이 없었다.
4기둥 높이와 개간 비율이 약간 사각형이다.두아치 높이는 기둥 높이의 약 1/2이다.
다섯 개의 굵고 튼튼한 기둥과, 비대한 투공, 다시심원한 출추까지 더하면, 모두 웅건한 존재가 된다.힘의 감각.
6불광사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큰 당이다대목구조물은 만당 때,나무틀의 성숙기.
98.베이징사합원 : 화북지역입니다명청주택의 전형, 합원식 주택의 하나종, 그러한 주택의 배치 특성은 강력한 봉건 종법제도의 영향과 성숙한 척도와 공간배치이다.안과 밖을 구분하고, 낮은 것을 질서 정연하게 하고, 대칭을 중시하며, 안의 생태환경과 녹화, 풍수의 제약에 주의한다.
99.원학1634년에 출판되었다.
1권: 1흥조론 2원설 3상지4립기 5옥에서 6장 단화.
2권: 난간(그림이 많은 경우).
3권:창문,벽,바닥,정리산"사람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마치 하늘이 만든 것처럼".'조원 절차, 목탁기, 뜻은 필선에 있다'.
100. 명조: 즉 천장을 가지고 있지 않음·상가의 들보, 枋, 檩, 서까래를 모두실내에 노출되면 지붕 층의 내부 공간을 내부 공간에 통합하여 실내를 고창(高敞)이라 칭칭(。明)한다.
101.하양두구척지붕이라고도 하며, 두 언덕 꼭대기에 주변 복도를 더한 것이다.그 결과, 그것은 양마루, 네 개의 축척, 네 개의 역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02.13일 : 불탑의 꼭대기를 구성상륜의 층상 구조.
103.대기:건물 아래 돌출된 평대
104.평좌:낭대는 건축주로부터공간(통상 내부)의 상층 구조.
105.광탑: 모스크 중 탑회교도를 불러 예배를 드리기 위해 사용됐다.
106.열주:일렬간격법칙의 기둥.
107. 《고공기》 : 중국 고대도시계획 저술.
108.불탑(STUPA):불교기념물, 원래는 무덤이라는 뜻이었다.
109.불탑(PAGODA): 누각형의 탑, 각 층의 크기는 아래에서 위로점점 줄어들어 층마다 아름답게 장식된 처마가 있다.
110.재측정 단위.
111.적도토 : 일종의 소상용건축이나 장식용 도토.
112.枋:수평부재, 如창문이나 통로 위에 두 기둥을 연결하거나양 프레임의 부재.
113. 흙벽: 대나무 또는 나무막대기로 엮음벽, 그리고 풀로 진흙을 칠하세요.
114.정: 구조가 단순한 건물,보통 텐트처럼 생겼고 정원에 있다.
115.성벽:토조방어공사,보통 토치카와 요새 주위에서 볼 수 있는데, 대부분 부적당하였다.돌로 만든 딸의 벽이 있다.
116.마루:사면지붕 양면상접합된 각도.
117. 처마: 지붕의 일부,외벽 밖으로 돌출하다.
118.상륜:우산 돔이나 정자,때때로 불탑 꼭대기의 탑찰로서.
119.祗:하늘의 뜻, 자연의 정령。
120.풍수:자연과의 조화,나아가 건물을 조화롭게 하는 체계가 있다.
121. 회반죽: 회반죽의 일종,부착을 가하는 데 전용.
122.헌서재용 정자.
123.문랑:반원형 또는 다각형의 아케이드나 보도.
124.냉정:관람 명소에 위치한 개방사형 건물로 정원이나 지붕 위에 위치해 있다.
125. 모스크: 회교 사원, 위회교 의식의 형태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다.
126.개간 : 중국건축물내부공간의 표준 단위.
127.원:정원 또는 정원.
128.총: 고대 매장용 토구。
129.암층: 겹겹이, 보통 위치1층과 2층 사이.
130.전:높은 대청,용축제나 종교의식을 거행하다.
131.비: 직립석조표기,묘비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주상 또는 판상, 위조각이나 제자가 있다.
132.서까래:지붕의 목재,통항상 처마 가장자리가 비스듬히 깔린 채로 내려가서 표층을 지탱한다지붕.
133.榭: 정자나 轩.
134.돈: 직사각형의 기초;기둥 또는 벽 기초부의 지지.
135.곽:석조외관,통상장식이 정교하고 아름답다.
136.보:보와 같이 기둥의 구조에 있는 물평부재.
137.여리:도시에 담장이 있는주택 지구.
138.벽연:고전기둥 건물의중간 부재는, 맹장 위에, 처마 끝에 위치한다.아래. 또는 보통 부조에서 수평의 띠 장식을 가리킵니다.
139.벽감:벽 안의 오목한 곳,통항상 소상이 비치되어 있다.
140.꼬리:마루의 뾰족한 장식.
141.사철:1〉고정 수직구조부분의 관각부, 套부사 2〉 수직부재수평부재와 연결된 만터우 장부, 연미 장부, 테두 장부, 투과장, 반투과장, 대진소출장 3〉 수평부재의 상사철용
142.보행거대중간까지의 수평 거리를 보틀이라고 한다.거더는 두 檩에서 到까지의 수직 거리를 해당하는 보의 길이로 나눈 값의 계수입니다.
143.상추서까래 앞쪽에서 처마끝까지의 수평 거리칭 상추출
144.양: 들보의 기능은 감당한다상부로부터 전해 내려온 지붕의 무게, 다시아래로 기둥에 전달하면, 주된 보다지승은 앞뒤 처마기둥, 금기둥에, 그리고 넓은 보를 금기둥과 처마기둥 사이에 두 번째로 배치한다.의 짧은 대들보, 큰 대들보, 두들보, 작은 대들보라고 하는데, 이 대들보는 처마 위의 무게를 견뎌낸다.금기둥과 처마끝 사이에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복도가 깊을 때에는 뾰족한 들보에 동주와 대들보와 대들보와 대들보 하나를 더 얹어 한 조를 짜고, 아래 들보를 두 보라고 하고, 윗 들보를 외보라고 한다.두 보가 연결 작용을 하는 것 외에도 하중을 받습니다.들보와 들보의 아래쪽에는 작은 연결 역할만 하는 들보가 있는데, 들보와 들보와 들보에 수직을 이루며, 들보 밑에 있는 것을 들보와 들보라고 한다. 주요한 들보 양끝을 앞뒤에 놓다처마 기둥에 복도가 있으면 놓아 준다.앞뒤 금기둥에. 들보의 길이와 들보의 길이가 함께 정해졌다.몇 대의 대들보, 즉 몇 걸음을 이 대들보의 보위에 놓고 두 개의 짧은 기둥(즉, 참외기둥)을 심거나 柁대기로 짧은 대들보를 받치거나 그 위에 대들보를 세운다.소식공법에서 가장 아래가 긴 대들보를 대들보라고 한다.대식주의법대들보. 각 층의 대들보의 양끝에 모두 桁檩椀를 만들어 트러스나 檩를 받친다.또한 4대의 대들보, 6대의 대들보가 있는데, 이 양수의 대들보들은 대부분 용마루나 등뼈가 없이 陇을 많이 사용하여 원호형으로 만든 것을 가리킴식이라고 한다.원보척이라고도 합니다. 두루마리식 꼭대기의 대들보를 월량(即) 월량(月)의 대들보에 있는 참외기둥이라고도 합니다.
145.桁檩,枋,매트,각량: 각 들머리에다가 서까래를 받들고,대식대목은 檐마루의 정심枋에 있는 트릭을 정심트러스라고 하고, 정심트 밖에서 檐를 고르는 트릭은 。트루라고 한다.소식대목은 정심트(正心) 부위에서 처마돌림을 하고, 처마돌림을 하지 않은 것은 등마루(또는 등)이며, 금기둥(檩)과 중추동주(金檩)라고 한다.각 트러스(檩) 아래에 트러스(檩)와 평행한, 플레이트 또는 씰이 있습니다.정심트러스와 桁마루 밑에는 정심枋(正枋)이 있고, 檐(金桁檩) 아래에는 금받침판(金和金)과 금枋(金。)이 있다.금싸라기는 좌우의 두 대들보 아래의 참외 기둥 사이의 연결재로 상피와 상피가 평평하다.桁檩 아래에서, 枋의 빈 틈은 바로 널빤지, 즉 평수란, 들보가 껍질을 벗기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하피 높이등심판과 등심은 척과 기둥 사이의 연결재이다.
146. 서까래: 서까래는 둥근 네모가 있다두 가지 모두, 두 번 다시 두는 것과 두 번 다시 두는 것 사이에 놓아 두어라.桁檩와 정각을 이루다.지붕의 망판, 흙재 등, 기와 면을 견딜 수 있도록.앤은 맨 윗줄에서 등심목과 사귀었다머리 서까래라고 하는데, 마치 동그라미식 꼭대기가 양등걸이일 때 나부랭이 서까래 또는 꼭대기 서까래라고 한다.각 금괴에 있는 서까래를 꽃걸이 서까래라고 부른다.서까래는 아홉 대, 일곱 대에 달렸기 때문에 상·중·하금의 구분이 있고, 서까래는 지위에 따라 하·중·상 꽃받침 서까래의 구별이 있고, 가장 다음 단계(즉, 檐)라 한다.트러스 외에 추녀 서까래와 비두를 평출이라고 한다.처마끝에 桁檩(즉, 금쟁반)을 평행으로 놓고 서까래를 두었는데, 서까래는 널빤지 하나가 서까래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소밀로,그 위에 둥근 구멍을 만들어, 사서까래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뚫고 지나가다.현관이 달린 금괴에 펀치를 달아등심에는 단면이 육각형인 등심목을, 등심목은 앞뒤로 양사면에 둥근 구멍(즉 서까래)을 만들어 뇌서림을 견뎌낸다.처마돌림의 하단 즉 처마돌림의 위쪽은 각 서까래를 작은 처마돌림으로 이어준다.작은 처마에서 안쪽으로 망판을 박고, 처마돌림의 위치를 따라 먹줄을 튕겨서 비두 서까래 선을 만들고, 추돌 서까래 자리를 박아 (즉 비두)합니다.추녀 서까래에 대련의 처마를 박다.각각의 두 개의 서까래 사이에, 그리고 작은 처마에 작은 널빤지로서까래가 공중에 떠 있는 것을 갑당판이라고 하는데, 만약 작은 처마가 갑당판과 연결되어 있을 때, 이구목이라 하고, 대련에서 처마라고 한다.기와의 아가리를 박다.
147.익각:건물 네 개의 회전각처의 처마끝이 치켜 올라간 부위를 익각이라고 하는데, 그 까닭은노각보, 자투리 들보, 익각 처마돌림, 익각날아날림 서까래 등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8.발목: 쉬산용 산椽마루 서까래 위를 밟고 있다.
149.초가기둥:발목에 편승면승산 화판과 박봉판.
150.천량:초가기둥에 안착
151.庑전:庑전은 지붕의 앞뒤 좌우 사방에 경사가 있는 건물로, 모두 오척이 있습니다.길이가 길기 때문에 앞뒤 두 언덕이 서로 만나는 등심, 좌우 두 언덕이 앞뒤 언덕과 네 개의 등줄기를 이루며, 고갱전은 오척전, 사아파라고도 합니다.
152.경산 : 경산은 앞뒤 두 언덕만 있고 좌우 두 끝은 벽돌로 산벽을 쌓고, 산벽 내부에는 앞뒤 처마기둥이 있고, 금주정에는 산기둥이 있고, 산기둥 상단에는 등줄기가 꽂혀져 있다.배산 각 보에는 외보보보, 쌍보보보, 나아가 삼보보보보가 있는데, 그 구조방법은 단보보보, 쌍보보보와 같다.
153.유액받침판 : 대액枋과 소액枋 사이에 사용하며, 소액枋이 없는 경우에는 액막이 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154.무두쇠(즉, 뿔걸이) : 산면 앞뒤로 모퉁이를 돌 때 사용합니다.앞(뒤)면과 산면이 맞닿아 있다.길이가 길면이 넓고 산면이 깊으면 복도의 깊이에 따라 길이가 반씩 더해진다.한끝에 은괴 장부를 만드는 것은 앞과 같은 방법이다.한쪽 끝은 테두사부와 패왕권(小小三岔)으로 한다법관동좌두두두박.
155.액세서리:대식(대두아치)을 액상이라고 합니다.소식(투아치)은 처마돌림이라고 합니다.길이는 면대로, 치수는 반으로 줄이며, 너비는 두구로 계산한다.
156. 산꽃판: 산꽃판은 히치산(소홍산)의 산면에 있는 산꽃에 쓰인다.
157.과주:양에 쓰이고, 들보를 받친다.
158. 뇌공주: 뇌공주는 미산이 있는 전각 지붕에 사용됩니다.
159.각배: 각배는 참외 기둥의 안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대식가옥에 많이 사용됨).
160.踩:1.栱.斗.几.,.。. 2. 두레박은 안쪽, 바깥쪽으로 고르고, 청은 '출발'이라 하며, 정심栱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한 줄씩 栱 때 마다 '。'이라 한다.(栱과 栱 사이의 수평 축선 거리를 "끌어당김"이라고 하며, 청공부에서 "공사방법(》事。)에는 대당 폭 3말)이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면 안팎으로 각각 한 대씩 잡아당겨 세 번 밟아보고, 넓은 쪽을 세 줄로 가로 지르고 있다.안팎으로 두 자루씩 잡아당겨 다섯 번 밟으라고 하고, 넓은 쪽을 다섯 줄로 가로놓다.안팎으로 각각 세 자루의 지게를 골라 일곱 번 밟으라고 하고, 넓은 쪽을 일곱 줄로 가로 지르고 있다.안팎으로 지게를 각각 골라 아홉 번 밟으라고 하고, 넓은 쪽을 아홉 줄로 가로 지르고 있다.(그래서 몇 번을 밟는다는 것은: 잡아당겨서 몇 × 2(안밖으로 당기기)가)+1)
161翘:11,翘,,,撑,木,,,蚂,蚱,头,栱,都是,斗,构,中的,(,的,深,纵向,进,),构,。. 2. 왜 목덜미: 한 조각(한 세트)의 두레박에서 栱의 하위에 수직으로 위치한 장방목으로 양끝이 약간 올라간 형태의 부재를 '叫' 3이라고 합니다.앙:앙은 栱십자와 교차하는 긴 네모난 나무로, 바깥쪽 끝이 뾰족하고 비스듬히 아래로 내려감에 따라 안쪽이 들쭉날쭉하게 만들어지거나 국화머리 모양으로 만든 것도 있습니다.마치 두레박을 모을 때 고개를 드는 것과 같다.들뜨지 않는 동안, 앙은 세로 부재 중 최하위이다. 4. 어떻게 세어보나: 수翘, 앙시에는 두목(두数외립면에 두두목의 끝이 보이지 않음)메뚜기 머리 같은 부재).이렇게 하면 수가 좋아진다.
162. 아치: 모두 세 가지 다른 위치가 있는데, 1, 기둥머리에서 두 번째, 집의 이마에서 세 번째, 집 모퉁이에서 기둥머리 위에 각각 고유한 이름이 있습니다: 주두과, 평신과, 각과입니다.투아 아치는 구조에 네 가지 중요한 분재가 있는데, 약간 활 모양과 같으며, 위치는 건물 표면과 평행하다.아치라고 합니다. 형식은 아치와 같고 방향은 아치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翘이라고 합니다.치켜세우고 바깥쪽으로 특별히 길게 해서 비스듬히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앙이라고 합니다.아아치와 들창코 혹은 앙상한 상교에서 아아치의 양끝을 위와 아래 두 층으로 나눈 아아치 사이에 두각을 가진 네모난 덩어리를 오름이라고 한다.아치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가로대를 翘 또는 앙이라고 한다.앙양의 장단은 지출의 원근으로 정해지는데, 하층부에서의 지출이 가장 적고, 위로 갈수록 더 멀리, 각각한 층을 내어 안쪽과 바깥쪽 양면에 각각 아치를 더하는 것을 밟기라고 합니다.
163
164
165그 역할은 작은 건물들의 새치기와 약간 같다.
166
167.7대 들보: 그 위에 檩 7개를 받치고 길이는 6보대 들보이다.
168.5 대들보: 그 위에 다섯 개의 대들보를 받치고 길이는 네 보의 대들보이다.
169.3대 대들보: 그 위에 세 개의 대들보를 받치고 길이는 2보대 들보이다.
170.6대 대들보: 그 위에 여섯 개의 대들보를 받치고, 길이는 네 걸음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대들보이다.
대들보 171.4: 그 위에 檩 4개를 받치고 길이는 2보대에 보를 1대 더한다.
172
173.쌍보량:길이는 2보대, 후미는 중주 또는 산기둥의 들보에 교차한다.庑건축이나 일반건축에 많이 쓰이는 두 산.
174.단보:길이가 한걸음이고 뒷끝이 기둥이나 산기둥의 들보에 교차한다.庑건축이나 일반건축에 많이 쓰이는 두 산.
175.3보대:길이는 3보대이며, 뒷꼬리는 기둥이나 산기둥의 들보에 교차한다.문고리 건축에 많이 사용되다.
176.7 대는 대들보를 따라: 대들보 일곱 대 밑에 붙어 앞뒤 금기둥의 부재를 잡아당긴다.
177.5대 종량:5대 들보에 부착하여 앞뒤 금기둥 부재를 잡아당깁니다.
178.천화량 : 건물진심방향으로 천연두의 대들보를 받들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179.답보금: 휴산건축산면의 고유부재.양처럼 양 끝을 둥글게 하고, 산면의 정심트(혹은 檩)에서 한 걸음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보와 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180.승중 : 아파트의 깊은 방향을 위해 판목의 대들보를 받친다.
181
182.사팔삼보:건물의 회전각 위치에 사용하며, 우산면, 추면 각각 45°의 삼보대이다.
183.사오보량:건물의 회전각 위치에 사용되며, 우산면, 추면 각각 45°의 오보가 된다.비스듬한 다섯 보를 '称'라고도 한다.
184.체각은 대들보를 따라:체각보 아래에 부착하여 내외각 기둥의 부재를 당길 때 사용한다.
185
186
187.순량:건물산면에 사용하며, 건물면의 넓은 방향의 들보에 평행합니다.무두아치 건물에 많이 사용되며 무두아치 건물에 해당하는 순도 첨량입니다.
188
189.다음.
190.올리기 순배: 금싸라기의 순배추를 잇다.
191.사승중 : 아파트 회전각으로 산면, 추녀면과 45°의 각도를 갖는 승중량.
192.마엽포두량:양머리는 마엽두께 모양의 포두보를 만듭니다.수화문의 주량은 마엽포두량이라고도 한다.
193. 대들보: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건물의 회전각부에서 각들보의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대들보.
194
195
196사각정, 육각정, 팔각정 등의 건물에 많이 쓰인다.둥근 기둥 머리 위에도 화량머리가 자주 놓여 있다.
197
198
199
200.유분:각량(角)의 후속부재는 위치에 따라 꽃걸이를 나누어서 지탱하고, 꽃걸이를 올리면 힘, 등줄기를 지탱한다.
201.하화대 유분:하보금의 유래.
202.상화대 유래:상보금의 유래.
203.등유속:등유속
204.리프 각량:건물의 회전각부에 사용되는 각보는 단면의 높이가 외전각 보보다 작고, 충출과 들뜸 없이 주로 양익추석에 사용된다.
205
206
207.모자대:천화지조와 천장의 부재를 이어받아 양끝을 천화보 위에 올려 천장의 큰 용골에 해당한다.모자양은 보통 통나무로 만들어지며, 들보는 단면이 반원형이다.
기둥부재
208.추녀기둥: 건물 외곽에 위치한 기둥.
209.금주:추석기둥 안쪽에 위치한 기둥으로, 외경이 있는 건물에 많이 사용됩니다.금주는 또 추녀기둥과 중주, 산기둥을 제외한 기둥의 통칭으로 위치에 따라 금기둥과 내금기둥을 구별할 수 있다.
210. 처마기둥: 2층 또는 다층 건물 중 맨 아래 층의 처마기둥.
211.통주 : 2층 건물에서 상하층 기둥을 관통하기 위해 나무 한 그루로 만들었습니다.
212가추리기둥의 높이는 일반 추녀기둥보다 높고, 檩그릇은 가량으로 한 몫 한다.대들보가 사용되는 경우 그 높이는 다른 각 처마기둥과 동일합니다.
213.리금주: 즉 금기둥을 둘러싸고 '김주조'를 참조하라.
214.산기둥: 건물 양끝의 산벽 부분에 위치한 중주.
215.동주:기둥이 들보 등에 떨어져 상층추 또는 평좌지주로 사용되며 동주라고도 합니다.
216
217.추첨기둥: 건축물 대명(혹은 평좌)의 네 귀퉁이에 세워서 지붕의 네 쌍으로 된 각기둥을 。 때 사용합니다.
218
219. 뇌공주:
(1) 전각 건물의 용마루 양쪽에 있는 태평보 위에 등마루의 트인 부분의 기둥을 庑 때 사용한다.
(2) 뾰족한 건물 두첨부의 현공기둥을 모을 때 사용한다.
220
221.중추각 금주:전각부 각금기둥에 사용한다.
222
223
224
225.승선:측각이 있는 기둥의 측면 특유의 먹선으로, 이 선은 기둥의 측면 중선과의 거리가 측각 치수와 같으며, 승선은 지면(수평면)에 수직이고 기둥 전체가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통칙으로 부분을 저울질하다
226.명간:건물 중 개간.
227.초간: 건물 양끝의 개간.
228.차간: 건물 명간과 개간 사이의 개간.여러 번 있는 경우 1차 간, 2차 간, 3차 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29.추녀면: 평면이 직사각형인 건물, 짧은 쪽을 산면이라고 합니다.
230.면넓이:면넓이라고도 하며, 건물면넓이 방향으로 인접한 두 기둥 사이의 축선거리입니다.
231.통면넓이:건물 양진단주간 축선거리.
232.진심: 건물 면의 넓은 방향에 수직인 평면 치수를 진심이라고 합니다.
233.통진 깊이: 건물 측면(진심 방향) 양진 단주 사이의 축 치수.
234.기둥 높이:대명상피에서 기둥머리 높이까지.명청 건축에서의 지주는 보통 처마 기둥이 높다.버킷 아치가 있는 청식 건물에서는 기둥 높이가 버킷 및 플랫 필드 높이를 포함합니다.
235.기둥:기둥의 뿌리 부분의 지름(예: 기둥의 경우 기둥의 밑부분의 보기 치수).
236.보행대: 인접한 두 축 사이의 수평 거리.
237.높이 올리기: 인접한 두 檩 축의 수직 거리.
238
239.상출 :건물 처마돌림은 처마돌림의 축을 제외한 수평 길이입니다.두 아치가 달린 건물로, 상출은 두아치의 디딤돌과 추녀 서까래의 서까래가 두 부분을 골라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240.하출: 대명
241.출수:건물의 처마에서 나오는 것을 물이라고도 한다.
242.회수:건물의 상출이 하출보다 크며, 상출과 하출의 차이를 회수라고 한다.
243
244청대 건물은 처마기둥에만 측발이 있고 명대의 이전 건물에서는 동그라미 기둥에도 측발이 있습니다.기둥 옆발은 건물 안정에 좋다.
245.두구 : 두아치 최하층의 좌두(대두)면 넓은 방향의 각구는 두구라고 한다.청식건축체계에서 두구는 가장 기본적인 건축모델의 하나로, 무릇 두구가 딸린 건물, 모든 부재, 부위가 두구와 배분되어 있다.
246
247현산은 산을 고르는 것이라고도 한다.
248
249.휴산건축 : 현산지붕과 庑전지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지붕형식입니다.휴산 건물은 구척전이라고도 불리며, 형제 등급은 전각 다음으로 높다.
250.집첨건물:건물의 약간 비탈집은 꼭대기가 모여서 뾰족한 꼭대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집첨건물이라고 한다.집첨건물은 평면이 정다각형, 정삼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원형 등입니다.
251.복합건물: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건축형식, 또는 한 가지 건축형식의 다른 형태로 조합된 건물을 복합건축물이라고 합니다.복합건물의 형식이 아름답고, 역사상 많은 유명한 누각들이 황학루, 텅왕각, 고궁각루 등과 같이 모두복합건물입니다.
252.3방울의 물: 고대에는 처마가 물방울이었고, 3방울의 물 즉 3중 처마가 있었다.
253.대경: 곡선의 평면배치에 따라 경이로움을 따라 층층이 나오거나 한 관람점에서 집산문창이나 담장의 문구멍을 통해 액자로 촬영하거나 복도와 창문 빠짐으로 경치를 볼 수 있다.
254.원야:계성은 실천의 경험을 총결산한 저서로 우리나라 고대 최고의 원림예술 논저이다.
255
256
257.원림의 디자인 사상: 중국은 예로부터 자연을 숭상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전통이 있었다.천인합일의 사상은 대단한 우월성을 차지한다.사람과 사물을 긴밀하게 연관시켜, 불가분의 공동체로 간주함으로써, 일종의 주관을 형성한다.힘은, 사람들이 자연을 탐구하고, 자연과 가깝게 자연을 개발하도록 재촉한다.독자적인 자연식 산수원림이 조성되었다.
신주 대지가 서로 다른 산천을 비난하고 있는 것을 본원으로 하여 산수를 경관으로 하는 조원 스타일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원은 자연의 정취를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규칙과 대칭을 배척하고 인위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을 피하려고 애쓴다.축 대칭, 기하학적인 도형, 분렬, 사람의 힘을 나타내는 유럽 정원은 크게 다르다.
로열 정원과 사택의 차이점:
1) 전자는 조국 각지, 특히 강남 일대의 아름다운 풍경을 창작의 원천으로 한다.
2) 전자는 황궁귀족의 휴식과 유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고, 후자는 귀족의 부상과 관료 지주의 생활을 향락하기 위하여 건축되었다.
3) 전자는 넓은 범위에서 퇴토로 산골짜기의 지형을 이루고, 여기에 산돌, 산중첩산, 가산을 진산과 결합한다.후자는 산과 돌로 산을 만드는 것을 위주로 한다.
4) 전자는 화목배식 규모가 크고 군식이 많거나 성림배치되어 있으며, 후자는 단주 위주입니다.
자가 정원의 기본설계 원칙과 수법
정원을 약간의 경구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서로 관통하여 전체를 이룬다.정원의 공간과 경물 배치는 주된 순서가 뚜렷하여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이 좋지 않다.크기는 공간적 밀도가 서로 밀접하여 구성의 리듬 있는 변화입니다.
수면의 처리면.연못의 크기는 주된 순서가 다르고, 수면 처리는 집합점이 다르다.연못의 물은 모이는 것을 위주로 하여 보조로 나눈다.
가산은 정원에서 중요한 요소이고, 돌을 접고 산을 만드는 것은 산림의 경치를 창조하기 위해서이다.몸집이 큰 산림은, 한편으로 산 위에 정자각을 짓고, 정원을 조망하고, 온 정원을 내려다보며, 공간감을 넓히는 목적을 달성하고, 또 다른 면에서는 시선을 차단할 수 있다.정원의 고요한 분위기를 돋우다.
건축 처리에 있어서 건축물은 우리나라 고대 정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산지는 원경의 골간이며, 산지의 풍경을 감상하는 자리로, 건물 안에 자주 있으며, 동시에 산, 연못, 꽃나무와 함께 원경을 구성한다.그래서 관찰 대상이자 경치의 구경거리다.
꽃나무는 개인 정원에서 단주 위주로 감상하고, 정원은 오래된 나무로는 보기 드문, 약간의 그루가 있어 정원의 옛 모습을 울창하게 할 수 있다.
조성법
258.수염자리:불좌에서 변천하여 형체가 복잡하다.일반적으로 고급 건물에 사용됩니다.시작 형식은 간단하며, 수개의 직선 접힘과 높은 빔 허리로 구성되며, 장식이 별로 없고 대칭으로 배치됩니다.그러다가 점차 연판, 두루마리 장식, 역신이 생겨났습니다.각주, 간주 등 조형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259.계급 답보: 답방 양쪽에 드리프트를 놓는 답로.
260형식이 자유롭고, 어떤 것들은 답면을 아래로부터 위로 층을 줄이거나, 천연석으로 쌓아서 규칙적인 모양으로 만듭니다.
261.礓차
262.사도(辇道 또는 어로) : 완만하게 경도하여 주행하는 경사로, 항상 답동과 조합한다.
263.토척
264. 맹장: 난간, 망주, 지팡이 찾기, 맹장판 구성.한 층의 맹장판은 "단독소"로 되어 있고, 두 층은 "중대소장"으로 되어 있다.
265
266. 지팡이 찾기 합각조: 지팡이 찾기는 모퉁이에서 바라보기만 하고 뻗어나가지 않습니다.
267.좌란: 석란형체는 종종 낮고 넓으며, 눈은 다리 쪽이나 월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268
269의 간수.
270.보:하우스 프레임의 "檩"와 檩 중심선면의 수평 거리는 보, 각 보의 거리의 총합과 측면의 각 개간 폭을 합하여 "통진 깊이"로 하고, 檩가 있으면 앞뒤로 한다.
271.거세: 지붕 경사.
272.거상(상절):거상,거상(。)은 지붕의 높이이며, 항상 건물의 진도와 지붕 재료에 따라 결정됩니다.꺾기는, 지붕의 높이를 계산할 때, 각 檩가 올라가는 폭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구한 지붕의 횡단면의 경사도는 일직선이 아니라 약간의 직선으로 된 것이다.선 구성.
273.거절(송):집의 진도에 따라 지붕의 경사도를 정하고, 등을 정격의 높이로 '올림'한 다음, 위에서 아래로 '접음'하여 각 가부(。)의 높이를 구한다.
거대(청): 맨 아래부터는 비교적 완화된 경사로, 위쪽으로는 경사로의 가파른 경사를 더한다.그래서 마지막에 얼마나 높이 올라가느냐는 우연의 결과인 것 같다.
274.올림: 송, 료 건축의 처마기둥은 당심에서 양단으로 올라가므로 檐마루는 완화된 곡선을 이룬다.
275.측발: 송대 건축 규정 외챙이기둥은 앞뒤챙이에서 안쪽으로 높이의 천분의 십, 두 산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진 천분의 팔, 각주는 두 방향으로 모두 기울어져 있다.
276.도주:진한궁실터와 절벽 중 어떤 곳에는 평면 중앙에 기둥 하나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277.금상투저조: 내외부 두 바퀴 기둥.견불광사 대전
278.단조:내주는 평면을 서로 다른 크기로 나눈다.(산서진사 성모전)
279.쌍구:내주는 평면을 크고 작은 것으로 구분한다. 세 구역(당대명궁함원전,베이징고궁태화전)
280.분심조 : 중주 일렬로 평면을 등분(허베이 엉겅퀴현 독락사 산문)
281.이주법
282
283.액枋(맹장) : 기둥 상단과 하중을 받는 부재를 연결합니다.때로 두 개는 겹쳐서 쓰이고, 위의 것을 큰 이마枋이라고 하고, 아래를 소액枋(유액)이라고 하며, 양자용 플레이트(액받침판)를 기둥 사이에 전하는 것을 안액이라고 하며, 땅의 발에 있는 것을 땅이라고 한다..
284
285기둥 사이에 쓸 수 있는 뻐드렁니 밑에는, 이를 뻐드렁니로 부르고, 건물 말단에서는 개간이 좁아 양쪽 기둥에서 골라낸 주작이 상련을 이루어 말을 탄다.참새가 대용
286.좌두:투구의 맨 아래에 위치한 부재를 좌두(대두, 송위두)라고 하며, 때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87.두구 : 좌두전면의 홈은 청대에 건축척도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288.투이: 버킷의 양쪽에서 볼록한 부분
289.투허리: 버킷 아래 수직 부분
290.두저: 두하 경사의 부분
291.평판두:귀싸움은 없고,각과에 자주 사용된다.
292.栱
栱의 명칭은 부위에 따라 다르다.안으로 밖으로 나가는 栱,,,清,栱
293. 과묵
294.만栱
295. 사랑채
296.정심구아栱(흙굴) : 좌두우지의 첫 번째 층.
297. 정심만栱: (슬로프)출석두께의 두번째 횡栱.
298
299.계심조 : 뜀틀
300
301.앙:식 투아치 중 비스듬히 놓인 부재는 레버 역할을 합니다.에서 위아래로 나누다.이하앙은 많이 사용되며, 상앙은 실내용, 평좌투아치 또는 두아치 안의 점프에 사용됩니다.
302
303.옥폐(출간) : 산벽 너머로 고개를 내민다.
304.미산 : 廡전(사아)건물은 지붕을 처리하는 특별한 방법입니다.입면이 양끝으로 나와야 하기 때문에 네 개의 등줄기가 45도에서 비스듬히 직선에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바뀌고 지붕 정면과 산면의 경사보거거리가 서로 부딪치게 된다.걸음이 똑같이 길다.
305
306
307.차수:주유주 양쪽을 지탱하는 나무 부재
308.탁발: 평평하게 지지되는 부재
309.갈피기둥 조성: (하위기둥 인수인계) 상층 추녀 기둥의 밑면 십자 개구부를 평좌기둥의 두아치 안에 삽입하고, 평좌기둥은 처마기둥 두아치에 세워 놓고 반으로 후퇴한다.(융흥사 전륜장전, 독락사 관음각) 단점은 주각개입, 주체 강도에 영향을 줍니다.입면에 수입이 적어 외관이 불안정하다.장점으로는 구조적으로 일이 절약되므로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310.감기기둥:그것은 하층기둥이다.증가된 일사량으로 상층기둥을 이 보에 세운다.구조의 외관은 타당하지만 보, 각부를 추가하려면 한 조의 아치를 더 추가해야 한다.
311
312
313평좌두아치 위에 누판을 깔고, 그 웅장을 쳐서, 한 바퀴 도는 깡충깡충 뛰게 하였다.대
314
315.젖꼭지: 두 서까래.들보가 깐 곳에 놓여 있고, 들보 한끝에 안기둥의 몸통이 삽입되어 있으나, 두 개의 삿대도 깐 위에 놓여 있다.
316.월량:예술가공을 거친 대들보.
317.명예: 밖으로 나와 아래에 보이는 들보가 풀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318.평량:한 줄기 서까래는 대들보의 맨 윗단에 있는 대들보이다.청대에는 태평보라고 불렀다
319
320.평좌제
321
322.앙샤 : 두 개의 구척전 정자가 서로 교차하며, 삽입부분을 포하라고 합니다.십자가 교차하는 것을 십자등이라고 한다.(정정융흥사)
323.판문: 성문이나 궁전, 관아, 서의 대문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두 짝으로 되어 있다.
324
325.경면판문:문짝은 나무틀을 사용하지 않고 완전히 두꺼운 널빤지로 맞추고 뒷면은 가로목으로 다시 연결합니다.
326
327.캡: 실내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하드우드 부조나 투조를 기하학적 무늬로 만들거나 얽힌 동식물, 신화 이야기 등으로 실내에서 공간과 장식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328.창:당은 이전에는 직살창 위주로 고정되어 있어서 열 수 없습니다.송대부터는 창을 많이 열기 시작했다.
329. 적출창: 지창은 지탱할 수 있는 창이며, 적출창은 떼어낼 수 있는 창이며, 나중에 합쳐서 사용하기 때문에 지적창이라고 합니다.
330.누창: 주택, 정원에 있는 정자, 복도, 담장 등에 사용되어야 한다.창구멍의 모양은 네모, 원, 육각, 팔각, 부채꼴 등 다양한 형태로 그리고 기와, 얇은 벽돌, 나무 대나무 조각과 흙재 등의 기하학적인 패턴이나 동식물의 형상을 한 창살을 가지고 있다.
331
332.평준(기)은 나무틀 사이에 큰 널빤지를 놓고, 판자 밑에 페인팅을 하거나 채색 무늬가 있는 종이를 붙이는 형식이 송대에 평이 되어 후대가 많이 사용하였다.일반 주민들은 대나무, 고량대 등 가벼운 재료로 틀을 만들고 종이를 바른다.
333
지붕 곡선과 구조의 관계(추석, 지붕마루 및 지붕곡선 포함)
334.1) 檐마루가 올라가고, 당송은 뚜렷한 曲线마루를 가지고 있으며, 북송원 명말至에서 。마루까지 들뜬다.
2) 지붕 곡선, 세로 곡선과 가로 곡선을 포함한다.'반우위양(反宇)'이 거상절단하다.불광사 대전.
3) 지붕마루:등마루 끝에 받침목을 놓는다.불광사 대전.
335.구조형식 : 적층식, 천투식, 정간식.
336
338.3단식:대터, 지붕.
339.패루: 일종의 장식적인 건축물.두 개 또는 네 개의 병렬 직주가 있습니다.檐마루가 있다; 거리의 요충이나 명승지에 많이 지어졌다.또한 경하를 위해 죽목 등으로 지은 패루와 같은 임시 건축물을 가리킨다.
340.평방좌:송대건축구조명,고좌라고도 합니다.건물 주변은 나무기둥, 대들보, 두아치 등의 부재로 가설한 플랫폼이다.위치에 따라 누각평좌, 성두평좌, 바닥평좌, 수중평좌, 탑신평좌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평좌외연에는 일반적으로 난간을 설치하여 멀리 바라보게 하였다.
341.금기둥: 처마돌림 내에 위치하며 건물 종축선을 제외한 모든 기둥.
342.촉주: 즉 참외기둥, 송대칭 촉주.
343.동주:아래쪽은 대들보, 枋위에 세워져 있으며, 처마기둥, 금기둥과 같은 짧은 기둥을 사용한다.
344.음음포양: 풍수관념에서 텃밭, 마을, 읍터 선택의 기본 원칙과 기본구도.
345
346.천당:공자전 전후전 사이의 연결부로 주랑이라고도 합니다.
347.披:누각 등의 건물로 입구 위에 한 걸음 더 늘어선 처마.일명 비搭이라고도 한다.
348
349
문항은 머리도.
350.효선: 볼록선을 말하며, 오목선을 '혼'이라 한다.
351.포두보와 유복: 전자는 대칭, 후자는 송을 지칭한다.전자는 한걸음에, 후자는 두서막걸이(그리고 비평량).
352.재
353.문: 옛날에는 쌍짝을 문이라고 불렀고, 한 짝짝을 문이라고 불렀으며, 후대에 모두 문이라고 불렀다.흔히 쓰이는 것은 다음과 같다.
354.오두문: 그중에 살성문은 당나라 때나 조금 전에 나타난다.땅에 나무기둥 두 개를 심고, 기둥 사이에 가로액을 얹고, 문틀을 형성하며, 두 개의 문을 내장하였다.송대에는 기둥머리에 검은색 기와통을 달아 오두문(。門)이라고 불렀다.문짝은 사방에 테가 있고, 윗부분은 곧은살, 아래를 장식한다.부감판, 큰 것은 뒷면에 가위를 대세요.보통 주택사묘의 외문으로 쓰인다.
355.鸱 키스: 지붕의 등심 양쪽 끝 장식물.
356.가위치기: 지붕 만들기의 일종.즉 지붕마루와 처마 부분에는 색, 종류는 지붕과 다른 기와를 사용해 지붕의 한계선을 뚜렷이 부각시킨다.镶마루脊마루,마루는 기와색으로 비탈면과 다른 방법으로 정원을 조성하는 데 많이 쓰인다축. 주요 유형은 초토집은 기와로 가장자리를 자르고, 기와집은 기와로 가장자리를 자르고, 기와는 유리기와로 가장자리를 자른다.변은 일반적으로 지붕의 가장자리, 지붕의 척추, 회전각 등에 사용된다. 옆 기와를 잘라 마름모꼴, 쌍희, 복수 등의 문양이나 글자를 만드는 집도 있다.작은 기와나 기제 기와집의 지붕은 작은 기와로 가장자리를 자른 곳도 있다.
357
358
한 통의 책: 정원의 이문의 일종이다.
이주문: 융은전 뒤편에서 '충천패루', '조패'라고도 합니다.문이 한 칸이고, 그 위에는 산속의 유리기와 지붕이 있고, 양쪽에 각각 네모난 돌기둥이 있다.돌기둥 앞뒤에 포고석이 있다.두 돌기둥 사이에 널빤지 문이 있는데, 이 판문은 일년 내내 있다.닫는다. 석제대는 이주문 뒤로 길이가 한 장에 팔척 육촌, 너비가 다섯 자, 높이가 네 자?한백옥 조각으로 만든 조형물은 수미좌식으로 그 위에 여러 가지 도안을 조각하였다.제단 위에는 다섯 점의 석조가 있다: 정중향로를 위해서는 양쪽에 향병이 있고 촛대가 각각 한 쌍씩 있습니다.
삼재승
사아정
오봉루 : 펜션의 일종으로 복건은 영정히 있다.옛 명칭은 "옛집"으로, 노교구 신교진서(新橋西西)에 있으며, 만청(清)에 건립된 오정15당 2층 건물로, 사합원식 조합으로 우리나라 강남의 독특한 민가옥이다.군. 신교 오봉루는 지금까지 기본적으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고전적인 건축예술의 귀중한 유산입니다.
칠분두:벽돌의 일종으로 치수는 가로 180mm, 세로 115mm, 높이 53mm
구척장
359.답로: 계급형 답보(가로줄타기)
360
361
362건물의 각 개간 명칭은 위치에 따라 다르며, 정중간은 명간(송칭 당심간), 좌우측이라고 한다의칭차간, 재외칭초간, 최외칭진간, 구간 이상의 건물은 차간수를 증가시킨다.
지붕 위의 檩(송칭)과 檩 중심선 사이의 수평 거리 청대를 보(진심), 각 보 간격의 총합 또는 측면 개간 폭의 총합을 통진심이라고 한다.
363.재:송대 건축에서의 계량 단위.
364.거세: 지붕 경사.
365
366
옛 건물의 평면 내외에 두 바퀴의 주랑을 두는 것을 금상두저조(당불광사 대전)라 하고, 내주가 평면을 크기가 다른 두 구로 나눈 것을 단조(진사성모전)라고 한다.당대명궁은 원전과 베이징의 청고궁 태화전(和和))을 포함하고 있으며, 문간 건물에서는 중주 일렬로 평면을 등분하는 등분심조(허베이취현 독락사 산문);에서는 부계주입이라고 한다.
367.당: 정원 조합 중 주축선에서 양지바른 집입니다.
368전(殿)도 태기(台)를 뜻하는데, 후에 고현숭려(高显)한 건물을 당(堂) 또는 전(殿)이라 불렀으며, 한후전(韓堂)은 궁중의 당(宮)의 전칭이 되었고, 등을 축척으로 삼았다.키스는 당과 성전을 구별하고, 키스를 하는 사람은 전을, 키스가 없는 사람은 당을 구별한다.
中国古建筑有几千年的历史了,因为是木石结构,而且中国古建筑有等级划分,所以中国古建筑名称十分考究,无论从屋顶还是台阶都有属于自己的名称。样子收藏网详细介绍中国古建筑组件各个部分的名称。
1.中国木构架体系形成于汉代,成熟于唐代,宋代在成熟化的基础上精致化,明清则达到高度成熟阶段。
2.副阶:宋称,殿阁等个体建筑周围环绕的廊子(形成重檐屋顶),称为副阶。
3.间:四柱之间的空间或两榀梁架之间的空间(一般指第二种), 若两排柱子很近,则其中间部分称之为出廊(周围廊,前后廊,前出廊,不出廊四种)。
4.卷杀:对木构件曲线轮廓的一种加工方法。
5.大木大式建筑和大木小式建筑:
在官式建筑的构筑形制上,区分为大木大式建筑和大木小式建筑。大式建筑主要用于坛庙、宫殿、苑囿、陵墓、城楼、府第、衙署和官修寺庙等组群的主要、次要殿屋,属于高等级建筑。小式建筑主要用于民宅、店肆等民间建筑和重要组群中的辅助用房,属于低等次建筑.其区别为:
①间架:大式建筑开间可到九间,特例用到11间,通进深可到11架,特例到13架。小式建筑开间只能做到三五间,通进深不多于7架,一般以3,4,5架居多。
②出廊:大式建筑可用各种出廊方式,而小式建筑只能用到前后廊,不许做周围廊。
③屋顶:大式建筑可以用各种屋顶形式和琉璃瓦件.小式建筑只能用硬山,悬山及其卷棚做法,不许用庑殿,歇山,不许做重檐,不许用筒瓦和琉璃瓦件。
④大木构件:大式建筑可以用斗拱,也可以不用。小式建筑不许用斗拱。在梁架构件中,大式建筑增添了飞椽,随梁枋,角脊,伏脊木等构件。
6.脊木:被脊固定于脊桁上,截面为六角形,在伏脊木两侧朝下的斜面上开椽窝以插脑椽. 伏脊木仅在明清才出现的(唐宋时期没有),且仅用于大式建筑中。
7.角吻:重檐建筑的下檐槫(音团tuan)脊或屋顶转角处的装饰兽。
8.螭首: ①传说中的怪兽,用于建筑屋顶的装饰,是套兽采用的主要形式。
②古代彝器,碑额,庭柱,殿阶上及印章上的螭龙头像。
9.<<考工记>>(战国):匠人营国,方九里,旁三门,国中九经九纬,经涂九轨,左祖右社,面朝后市,市朝一夫。
一般解释为:都城九里见方,每边辟三门,纵横各九条道路,南北道路宽九条车轨,东面为祖庙,西面为社稷坛,前面是朝廷宫室,后面是市场和居民区。朝廷宫室市场占地一百亩。(涂,道路.一夫,一百亩)(注意,这是<<考工记>>中记载的都城制度,左祖右社,人面朝南时,左东右西。)
10.经幢:①刻有佛的名字或经咒的石柱子,柱身多为六角形或圆形。(现代汉语词典)
②在八角形的石柱上刻经文(陀罗尼经),用以宣扬佛法的纪念性建筑物。始见于唐,到宋辽时颇有发展,以后又少见。一般由基座,幢身,幢顶三部分组成。(中建史)
11.覆盆:柱础的露明部分加工成外凸的束线线脚,如盆覆盖。
12.垂带踏跺:高等级建筑的台阶做法,其正面轴线上称正阶踏跺,两旁称垂手踏跺,侧面称抄手踏跺。
13.角柱石:立在台基角部,其间砌陡板石与角柱齐平,上盖阶条石,下部为土衬石。
14.柱顶石:下衬磉墩,上附柱础,长为两倍的柱径,厚为柱径。
15.垂带石:在垂带踏跺两旁,其中线与明间檐柱中线重合,尺寸同阶条石,清代不砌象眼。
16.象眼石:清代用三角石砌成的垂带石侧面。
17.砚窝石:埋在台阶底下,用以抵抗台阶推力。
18.须弥座:高级建筑的台基.源于佛座,由多层砖石构件叠埋而成,一般多用于宫殿,庙宇等重要建筑物上。
19.抱鼓石:用于石栏结束处,阻住栏杆不使它掉下来.另为优美形象,作为栏杆尽端处理。
20.步架:檩与檩之间的距离称为步架,一般情况下一步架为22斗口。
21.檐不过步:指从挑檐檩到檐端的距离小于一步架(22斗口)。
22.举折法:宋代建筑屋顶构架的做法,求得的屋面由若干折线构成。
23.举架法:清代大屋顶的构架做法,其举高通过步架求得.殿.有单檐,重檐两种,单檐又称五脊殿。
24.歇山:中国古代建筑中等级仅次于庑殿的屋顶样式,形式上看是两坡顶加周围廊的结果.宋称九脊殿,有单檐、重檐、卷棚等形式。
25.如意踏步:是不用垂带石,只用踏跺的做法,形式比较自由。
26.叉柱造:将上层檐柱底部十字开口,插在平座柱上的斗拱内,而平座柱又插在下檐柱斗拱上,但向内退半柱径。
27.缠柱造:它是在下层柱端增加一根斜梁,将上层柱立于此梁上。在结构上和外观上都比较妥善.但需增加梁,角部每面还要增加一组斗拱—附斛(音胡hu)。
28.圭角:清式须弥座的最下层部分,整个高度分51份,圭角高度为10份。
29.墀(音池chi)头:山墙的侧面(即建筑的正立面方向)在连檐与拔檐砖之间嵌放一
块雕刻花纹或人物的戗脊砖.称为墀头。
30.霸王拳:额枋在角柱处出头的一种艺术处理式样.清代老角梁头也作成霸王拳式样.
31.雀台:飞檐椽头钉连檐及瓦口,钉时连檐需距椽头半斗口,称为雀台。
32.槅扇:用以隔断,带槅扇门的可做建筑的外门,槅扇由边梃和抹头组成,大致划分为花心(槅心)和裙版两部.花心是透光通气的部分,用细木棂子,裙版雕刻图案文字等.大多用于宫殿,庙宇,高级住宅。
33.借景:借――充分利用周围环境中有利的条件,如"因高筑山,就低造水","俗则屏之,嘉则收之"都是借的体现,属于私家园林的设计手法中扩大空间的手法中"不尽尽之"的一种手法。(外景被看到,借鉴到园中)
34.平身科:柱与柱之间的斗拱,清代称平身科,即为宋代的补间铺作.没有梁架在其上,不受力。
35.角科:角柱上的斗拱,清代称角科,宋代称转角铺作。
36.柱头科:一般柱子上的斗拱,清称柱头科.宋称柱头铺作.承托梁,受力斗拱。
37.间:建筑中因位置不同而异,正中的一间称明间(宋称当心间),其左右称次间,再外的称梢间,最外的称尽间,九间以上的建筑则增加次间数。
38.四椽栿:相当于明清的五架梁,承传五个檩的力,长(四步架)四架椽。
39.明栿:平闇(音暗an)(室内吊顶或天花板的一种)以下,或砌上明造,即设有吊顶的室内中,露明可见的栿(梁).其做工精致细腻,力求美观。
40.草栿:在平闇、平棊(音其qi)上看不见的栿,由于看不见,所以制造粗略,未经任何艺术加工,制作潦草,故称之为草栿。
41.平闇:为了不露出建筑梁架,常在梁下用天花枋组成木框,框内放置密且小的方格。
42.平棊:是在木框间放较大的木板,板下施彩绘或贴以有彩图案的纸,这种形式在宋代叫后代应用较广。
43.叉手:从平梁的梁头至脊槫(脊檩)间斜置的木件,是用来扶持脊槫的斜撑。明清被拆掉了,改用脊瓜柱。(平梁:抬梁式构架中最上一层的梁)
44.托脚:下一层梁的梁头和槫(檩)间斜置的木件。它主要起扶持檩的作用,清式建筑中没有这个构件。
45.穿插枋:明清木构件(横向)之一,位于两柱子之间,起联结作用。
46.随梁枋:最长的梁下的枋,起稳固梁的作用,是个联系构件。
47.抱头梁:长一步架,承担一个檩子的力,在檐口处的梁,有斗拱时叫挑尖梁,无斗拱时叫抱头梁。
48.侧脚:为了使建筑有较好的稳定性,宋代建筑规定外檐柱在前后檐向内倾斜柱高的10/1000,在两山向内倾斜8/1000,而角柱则两个方向都有倾斜。这种做法叫侧脚。元代尚可见到,到明清以不多用。
49.推山:是庑殿(宋称四阿)建筑处理屋顶的一种特殊手法.由于立面上的需要将正脊向两端推出,从而四条垂脊由45度斜直线变为柔和曲线,并使屋顶正面和山面的坡度与步架距离都不一致。
50.收山:是歇山(宋称九脊殿)屋顶两侧山花自山面檐柱中线向内收进的做法。其目的是使屋顶不过于庞大,但引起了结构上的某些变化(增加了顺梁或扒梁和采步金梁架等)。
51.藻井:高级的天花,一般用在殿堂明间的正中。
52.垂花门:是指檐柱不落地,悬在中柱穿枋上,下端刻花瓣连珠等富丽木雕。屋顶用勾连搭。多用于北京四合院第二道门。
53.斗口制:取平身科大斗所开口的尺寸为一斗口,相当于材的九分,斗口分十一等,最大斗口用六寸,每一等级差半寸,十一等斗口则为一寸,如柱径为六斗口,柱高为六十斗口。斗口制是单向模数,等分十一级,计算简化。
54.清式彩画:<定型为三种> 旋子彩画,合玺彩画,苏式彩画,前两者梁思成总结为殿式彩画。
旋子采画:以旋花为装饰母题(旋花为牡丹花抽象而成的图案)用于帝王系统中的次要建筑以及第二等级建筑群里的主要建筑,如寺庙衙署。
合玺彩画:以龙为母题,只用于帝王系统主群中的主体建筑,等级最高。
苏式彩画:只用于园林,住宅,包括皇家园林。
55.戗脊:歇山顶上连接两坡厦宇的脊称戗脊。
56.九脊顶:歇山顶的宋唐说法,是两坡顶加周围廊的结果,它由正脊,四条垂脊,四条戗脊组成,故称九脊殿。
57.足材:材,斗拱或素方用料的断面尺寸为一材,高宽比为3:2。栔(音自zi):两层拱之间填充的木件断面尺寸。"一材一栔"为足材.其中材高15分,宽10分,栔高6分,宽4分.可见一足材为21分.材分八等。一等材6寸×9寸,相当于四个八等材.如柱径大小为2足材~3材,即42分~45分之间。
58.斗拱的出跳:出跳的轴线到中轴线的距离为一跳,一般前后各出一跳。
出一跳---四铺作
出两跳---五铺作
出三跳---六铺作
出四跳---七铺作
出五跳---八铺作(据宋<<营造法式>>)
五铺作作重拱单杪(音邈miao)单下昂,里转五铺重拱出双杪并计心。(注:重拱---指瓜子拱,慢拱重叠布置。一杪---出一个华拱<垂直于立面的拱叫华拱>。
并计心---用计心作法,每一跳都有横拱.偷心作法---每出一跳缺少横拱.清代每 一轴线为一"跴",例宋代出两跳的,清代为五跴<跴即踩,足践也>)
59.双杪双下昂:双杪即出两个华拱,双下昂即设两个下昂(元代以后柱头铺作不用
昂,至清代,带下昂的平身科又转化为溜金斗拱的做法,原来斜昂的结构作用丧失殆尽)。
60.平 水:是指未进行建筑施工之前,先决定一个高度标准,然后根据这个高度标准决定所有建筑物的标高。这样一个高度标准就是古建施工中的"平水"。平水不但决定整个建筑群的高度,也决定着台基的实际高度。
61.斗拱:中国古建筑中用以连结柱、梁、桁、枋的一种独特构件。斗拱是我国木构架建筑特有的结构构件,由方形的斗升和矩形的拱以及斜的昂组成。在结构上挑出承重,并将屋面的大面积荷载传到柱上。
斗拱的作用:
①增加承托的作用。
②增加挤压面(原始作用)。
③撑跳檐檩.以上两点是斗拱的最基本的功能。
④防雨,早期用夯土 墙,怕雨水,但挑檐长度有限,只好再置一檩,以增其长。
⑤抗震,纯靠榫(音损sun)卯结构,在外力不大时是刚性的,外力大时是可活动的,抵消了地震所产生的能 量。
⑥装饰作用。
⑦等级标志,明清结构作用已渐消失,成了纯粹的装饰,等级的标志。
⑧模数作用。斗拱一般使用在高级的官式建筑上,大体分为外檐斗拱和内檐两类.从具体部位分为柱头斗拱,柱间斗拱,转角斗拱。
62.罩:用于室内,用硬木浮雕或透雕成图案,在室内起隔断作用和装饰作用。
63.一整两破:旋子彩画中藻头部分的图案的一种形式.具体表现为一个整圆和两个半圆,以抽象的牡丹花――旋子为母题.是旋子彩画的基本形式,藻头由短至长形式为
①勾丝绕(3份)
②喜相逢(4份)
③一整两破(6份)
④一整两破加一路(7份)
⑤一整两破加金道冠(7.5份)
⑥一整两破加二路(8份)
⑦一整两破加勾丝绕(9份)
⑧一整两破加喜相逢(10份)
64.楣子:苏式彩画中,撩檐枋下部的透构件.
花牙子:位于楣子下部,代替雀替的透空构件。
65.礓嚓(应为足字旁):在斜道上用砖石露挂侧砌,可以防滑,用于室外。
66.雀替:位于梁枋下与柱相交处连接体之间的短木,减少梁枋净跨。作用:增加挤压面,减小净距,艺术上的过渡。
67.栌斗:斗拱的最下层,重量集中处最大的拱。
68.华拱:宋式的一种拱的名称,垂直于立面,向内外挑出的拱。
69.下昂:斗拱中斜置的构件,起杠杆作用.华拱以下,向外斜下方伸出者,出栌斗左右的第一层横拱。
70.泥道拱:栌斗口内与华拱相交者,最下方的横拱(宋称).最外跳在挑檐檩下,最内跳的单层横拱。
71.令拱:每一跳的跳头,单层横拱。
72.双层斗拱:分别叫瓜子拱(下方短粗),慢拱(上方细长)。(宋)
73.交互斗:为于横拱与华拱相交处,承托横拱和华拱传来的双向合力的拱。
74.齐心斗:在华拱或横拱正中承托上一层拱正中的斗.在令拱上方中心,承托枋传来的力的斗.一般有两个。
75.耍头:最上一层拱或昂之上,与令拱相交而向外伸出如蚂蚱头状者。
76.柱头枋:在各跳横拱上均施横枋,在柱心中心上的枋。(正心枋――清)
77.撩檐枋:在令拱上的枋,最外部.(宋)(挑檐枋)
78.平棊枋:最内部令拱上的枋.(井口枋――清)
79.罗汉枋:在内外跳慢拱上者.(拽枋――清)宋用来表示斗拱出跳。
80.铺作:斗拱的出跳,1跳=4铺作。
81.计心造:在一跳上置横拱的做法。
82.偷心造:在一跳上不置横拱的做法。
83.插拱:全部都是偷心造的做法。
84.清斗拱称谓:
坐斗:最大的又称大斗,位于一组斗拱最下的构件。
十八斗:除了大斗以外的斗都是十八斗。
槽升子:正心拱(正心瓜拱及正心万拱)两端的升,这种升的外侧有槽以固定拱垫板.早期两朵斗拱之间用泥土来封护,明清采用木板――拱垫板来封,所以早期没有槽升子,封护是为了防止鸟,虫飞入建筑内。
三才升:除了槽升子,其他的升都是三才升.另,对宋来说,除了齐心斗(一朵仅一枚)其余的"升"都是散斗。
85.单槽/双槽/分心槽:以内柱将平面划分为大小不等的两区/三区.用中柱一列将平面等分。
86.斗口:坐斗正面的槽口叫斗口,在清代作为衡量建筑尺度的标准,即清代模数制。
87.穿斗式构架:
①又称立帖式。
②这是用柱距较密,柱径较细的落地柱与短柱直接承檩,柱间不施梁而用若干穿枋联系,并以挑枋承托出檐。
③这种结构在我国南方使用普遍,优点是用料较小,山面抗风性能好;缺点是室内柱密而空间不开阔。
④它有时和叠梁式构架混合使用.适用不同地势,基本构件,柱檩穿挑。
88.抬梁式构架:
①(叠梁式)是一种梁架结构体系,水平构件为梁,垂直的为柱,梁是受弯构件,靠自重稳定建筑。
②就是在屋基上立柱,柱上支梁,梁上放短柱,其上在置梁。梁的两端并承檩;如是层叠而上,在最上的梁中央放脊瓜柱的承脊檩。
③这种结构在我国应用很广,多用于官式和北方民间建筑,特别北方更是如此.优点是室内少柱或无柱,可获得较大的空间;缺点是柱梁等用材较大,消耗木材较多。
④重要建筑则用斗拱承载出挑。主要构件,梁,柱,檩,枋。
89.井干式构架:将木材层层相叠,既是围护结构,又是承重结构。
90.干阑式:西双版纳的傣族村寨为了避免贴地潮湿,使楼面通风,防避虫兽侵害,防洪排涝,随形就势等原因.形成了一种上下两层的建筑,上层住人,下层喂养牲畜。
91.云南一颗印:云南高原地区,四季如春,无严寒,多风.故住房墙厚重.最常见的形
式是毗连式三间四耳,即子房三间,耳房东西各两间.子房常为楼房(由于
山区,地方小,潮湿),为节省用地,改善房间的气候,促成阴凉,采用了小
天井.一颗印住宅高墙型小窗是为了挡风沙和防火,住宅地盘方整,外观方
整,当地称"一颗印"。
92.圜丘:位于北京天坛的轴线上,祈年殿往南.坛三层,上层径26米余,底层径55米.天为阳性,故此一切尺寸,石料件数均须阳数.圜丘四周绕以圆形平面和方形平面的壝(音陪pei)墙各一重,高度甚低,不过一米余;壝墙内空阔不植树,壝墙外森林茂密,用以扩大形象来表现崇天。
93.祈年殿:它的形制,原是天地合祀时的大祀殿;平面正圆形,上为三重檐圆形攒尖顶,外檐柱12根,内檐柱12根,象征十二时辰和二十四节气,同时井口柱4根,象征四季,与内外檐柱和起象征二十八星宿.祈年殿立于三层汉白玉须弥座台基上(底层径约90米),柱枋隔扇为朱红色,上为三重青(蓝)色琉璃瓦檐,顶尖以鎏金宝顶结束,檐下彩绘金碧辉煌;整个建筑色调纯净,造型典雅.祈年殿用台基提高,用矮墙来扩大形象,表现崇天的境界.
94.应县木塔(佛宫寺释伽塔):位于山西应县,又称应州塔,建于辽清宁二年(公元1056年),它位于寺南北中轴线上的山门与大殿之间,塔建在方形及八角形的二层砖台基上,塔身也是八角形,底径30米,高九层67.31米(外观5层,暗层四层).塔身的收分合理,暗层用来结构处理以加固塔身,使其在经过数次地震,仍安然无恙.是世界现存木塔中最高的,也是我国仅存两个木塔之一,是现存最早的木塔。
95.装修:宋代称小木作指装修,装修为外檐装修和内檐装修两类。
①外檐装修指内部空间和外部空间的分隔物,门,窗栏杆等。
②内檐装修指内部空间和内部空间的隔断,如罩,博古架,天花板等。
③装修多元功能:
a.流通与防护的双向功能
b.组织室内空间的基本手段
c.性格的渲染要素.装修的特点是作承重构件,有很强的装饰性.但不同于装饰。
96.太和殿:明代原为重檐庑殿九间殿,清代改为十一间.它和明长陵祾恩殿并列为我国现存最大的木构建筑.太和殿体量宏伟,造型庄重,具备故宫主殿应有的崇高庄严的形象.太和殿一切构件规格均属最高级.太和殿用于最高级隆重的仪式:皇帝登基,皇帝生日,冬至朝会,大年初一,颁诏等.不仅殿前有宽阔的月台,而且还有面积达三万多平方米的广场,可容万人的聚集和陈列各色仪仗陈设.皇宫一律用黄琉璃瓦,是明代开始的规矩,使总体效果更加突出。
97.佛光寺大殿:
①位于山西五台山,大殿建于唐(公元857年)。
②面阔七开间(等开间),进深八架椽(四间),单檐四阿殿,屋面坡度较平缓,举方约1/4.77。
③正脊和檐口都有升起曲线,有侧脚,采用了叉手和托脚,屋面筒瓦虽然是后代铺作,但鸱(音吃chi)尾式样及叠瓦脊仍尊旧制,无仙人走兽。
④柱高与开间的比例略呈方形,斗拱高度约为柱高的1/2。
⑤粗壮的柱身,肥硕的斗拱,再加上深远的出檐,都给人以雄健有力的感觉。
⑥佛光寺是我国现存的最大的唐代木构架建筑,处于晚唐时期,是木构架的成熟期.其应用了金箱斗底,槽柱等高的措施。
98.北京四合院:是华北地区明清住宅的典型,合院式住宅的一种,这种住宅的布局特点是强烈的封建宗法制度的影响和成熟的尺度与空间安排.住宅严格区分内外,尊卑有序,讲究对称,对外隔绝,同时注意对内的生态环境,绿化和风水的制约.其过程要素为正房(坐北朝南,家长居住),以硬山居多.东西厢房(第二代居),倒座(会客,书房),大门,耳房,后罩房(小姐居),抄手廊.构成模式为一名两暗,一正两厢,沿轴线纵深布局,以正房为主体,其院宽是"正房+耳房",总宽,坎宅巽(音讯xun)门;并将勾连搭搭顶的垂花门作为前宅和后宅的分界。
99.《园冶》:中国古代的造园学.作者是明代计成,字无否,本书出版于1634年.全书共分三卷。
一卷:①兴造论②园说③相地④立基⑤屋宇⑥装折。
二卷:栏杆(图示多)。
三卷:门窗,墙垣,铺地,掇山,造石,借景.其造园目标是,"虽由人做,宛自天成".造园方法,"巧于因借,精在体宜".其造园优化标志,"妙于得体合宜,未可均率".造园步骤,"目寄心期,意在笔先".其造园构思,一般建筑上"三分匠,七分主人"."第园筑之主,犹需什九,而用匠什一"。
100.砌上明造:即不带顶棚,将"上架"的梁,枋,檩,椽都暴露于室内,这样就把屋顶层的内部空间并入内里空间,使室内大为高敞,清称露明。
101.厦两头:歇山顶的宋称,又称九脊顶,是两坡顶加周围廊的结果,它由正脊,四条垂脊,四条戗脊组成。
102.十三天:构成佛塔顶端相轮的层状结构。
103.台基:建筑下突出的平台。
104.平坐:廊台出于建筑主空间(通常为内部)的上层构造。
105.光塔:清真寺中的塔楼,用于呼唤回教徒做礼拜。
106.列柱:一整排间隔规律的柱子。
107.《考工记》:中国古代城市规划著述。
108.佛塔(STUPA):佛教纪念物,原意为坟冢。
109.佛塔(PAGODA):楼阁形的塔,各层大小由下而上递减,每层都有装饰精美的屋檐。
110.材:依斗的宽度而定的测量单位。
111.赤陶土:一种用于塑像的建筑或装饰用陶土。
112.枋:水平构件,位于如窗户或走道之上,或是连接两柱或两框架的构件。
113.泥笆墙:以竹或木条编墙,然后涂以草泥。
114.亭:构造简单的建筑,通常形似帐篷,位于园林中。
115.城墙:土造防御工事,通常见于碉堡及要塞四周,多半附有石造女儿墙。
116.屋脊:斜面屋顶两面相接所形成的角度。
117.屋檐:屋顶的一部分,突出于外墙之外。
118.相轮:伞状穹顶或亭,有时作为佛塔顶端的塔刹。
119.祗:天意,自然的精灵。
120.风水:与自然的调和,进而有让建筑趋于调和的体系。
121.粉饰灰泥:灰泥的一种,专用于施加装饰处。
122.轩:消暑的小屋,或是作为书房用的凉亭。
123.问廊:半圆形或多边形的拱廊或走道。
124.凉亭:位于观景点的开放式建筑,位于园林或是屋顶上。
125.清真寺:回教寺院,为回教意识型态的具体呈现。
126.开间:量度中国建筑内部空间的标准单位。
127.园:花园或庭院。
128.冢:古代埋葬用的土丘。
129.暗层:夹层,通常位于一楼与二楼之间。
130.殿:高大的厅堂,用于举行庆典或宗教仪式。
131.碑: 直立石造标记,以墓碑最常见,呈柱状或板状,上有雕饰或题字。
132.椽: 屋顶的木件,通常由屋檐边缘斜铺而下,支撑表层屋顶。
133.榭: 凉亭或轩。
134.墩: 长方形的基础;柱子或墙基部的支撑。
135.椁: 石造外棺,通常装饰精美。
136.梁:如梁柱结构中的水平构件。
137.闾里:城镇中有围墙的住宅区。
138.壁缘:古典柱式建筑的中间构件,位于阑额之上,檐口之下。或通常指浮雕中水平的带状装饰。
139.壁龛:墙壁内凹处,通常置有塑像。
140.鸱尾:屋脊的尖顶饰。
141.榫卯:1〉固定垂直构件的管脚榫、套顶榫2〉垂直构件与水平构件连接的馒头榫、燕尾榫、箍头榫、透榫、半透榫、大进小出榫3〉水平构件相交时用的:燕尾榫、刻半榫、卡腰榫、正交桁碗4〉水平与倾斜构件重叠做稳固作用的:栽销榫、穿销榫5〉水平与倾斜构件半叠时用的斜交桁碗、扒梁刻榫、刻半压掌榫6〉门扇用:银锭扣、穿带、抄手带、裁口、龙凤榫7〉斜交支撑构件的搭掌榫
142.步架、举架:相邻两檩中到中的水平距离称为步架。举架为两檩中到中的垂直距离除以相应的步架长度所得的系数。
143.上檐出:檐头挑出由飞椽前端至檐柱中的水平距离称上檐出。
144.梁: 梁的功能是承受由上面桁檩传下的屋顶的重量,再向下传到柱上,主要的梁多支承在前后檐柱、金柱上,廓步在金柱与檐柱之间,另有次要的短梁,大式中叫挑尖梁、抱头梁,小式中叫插金柁,这短梁承受屋檐上面的重量。并在金柱与檐柱之间起联结作用。廊深加大时,挑尖梁上还可以再加一根瓜柱,即童柱,一架梁和一根檩,组成一组梁架,下梁叫双步梁,上梁叫单步梁。双步梁除起联结作用之外,也承受荷载。挑尖梁和抱头梁的下边,还有一条较小的只起联结作用的梁,与挑尖梁及抱头梁上下垂直,在挑尖梁下的叫挑尖随梁或穿插枋,在角檐柱和角交金柱间的叫做斜穿插枋。 主要的梁架两端放在前后檐柱上,若带有廊子就放在前后金柱上。梁的长短及架梁随着进深定。几架梁即几步架在这根梁的步架位上,栽两根短柱(即瓜柱)或用柁墩支上一根较短的梁或在再往上支成梁架。小式做法中最下一根最长的梁称为大柁,较短的一根称二柁,最短一根称三柁。大式做法则按梁架所负桁或檩子的总数目或柁梁步架的多少称七架梁、五架梁或三架梁。每层梁的两端均做出桁檩椀以承托桁或檩。另外还有四架梁、六架梁,这种双数的梁架多没有屋脊,脊部而多用过陇,做成园弧形叫卷棚式、也叫元宝脊。卷棚式顶部的梁叫月梁(即顶梁)月梁上的瓜柱为荷叶墩瓜柱。
145.桁檩、枋、垫板、角梁:桁檩放在各梁头上、上承椽子,大式大木在檐头正心枋上的桁叫正心桁,在正心桁外边挑檐枋上的桁叫挑檐桁。小式大木在正心桁部位上为檐檩,没有挑檐桁在屋脊上的是脊桁(或脊檩)、在金柱(老檐)或重檐童柱,叫金桁或叫金檩,在脊桁(檩)与老檐金桁或正心桁之间的都是金桁(檩),若有多数的金桁(檩)则以上、中、下别之。在每条桁(檩)下,与桁(檩)平行的,有垫板或枋。正心桁与挑檐桁下有正心枋、挑檐枋、金桁檩下有金垫板和金枋。金枋是左右两架梁头下瓜柱间的联系材、其上皮与瓜柱上皮平。在桁檩下、枋子上的空当就是垫板,即所谓平水,就是梁头下皮至桁檩下皮之高度。脊桁檩下有脊垫板和脊枋是脊瓜柱之间的联系材。
146.椽望:椽子有圆的方的两种,安放再桁檩与桁檩之间,方向与桁檩成正角。以承受屋顶的望板、泥灰背和瓦面。安在最上一排与脊檩扶脊木相交的叫脑椽,如卷棚式顶部是双脊桁檩时称为罗锅椽或顶椽。在各金桁檩上的椽子都称花架椽。因步架有九架、七架而步架有上、中、下金之分,椽子亦因地位而称下、中、上花架椽之别,最下一步(即檐头)的椽子称为檐椽,该椽一端放在金桁檩上(如重檐下层檐椽放在承椽枋上)一端伸出檐桁檩以外,檐椽的外上端,多有一排飞头。檐桁以外挑出的檐椽和飞头称为平出。在檐桁檩上与桁檩平行,紧放在桁檩上面(即金盘)设有椽椀,椽椀是一块木板按着椽子排列的疏密、在上面做成一排圆洞,使椽子穿过,以免左右移动。在带廊子的金檩上做闯中板,在脊桁檩上用一断面成六角形的扶脊木,扶脊木前后向下两斜面上也做成一排圆洞(即椽窝)以承受脑椽用。檐椽的下端即檐椽头的上面用小连檐将各椽头连住。从小连檐往里钉望板,顺着檐椽的位置弹上墨线为飞头椽线,钉飞檐椽位,(即飞头)。在飞檐椽上面钉上大连檐。在每两根飞椽之间,并在小连檐上用一块小木板把飞椽空当封住,叫做闸当板,如果小连檐与闸当板连做时,而叫里口木,在大连檐上钉瓦口。
147.翼角:建筑物四个转角处的檐头翘起部位称为翼角,是由老角梁、仔角梁、翼角檐椽、翼角翘飞椽等构件组成。
148.踏脚木:用在歇山的山面檐椽上,踏着檐椽的上面。
149.草架柱:安在踏脚木上面承托山花板及博缝板。
150.穿梁:安在草架柱上。
151.庑殿:庑殿是屋顶前后左右四面都有斜坡的建筑物,它共有五脊。因为面阔长于进深,所以前后两坡相交而成一条正脊,左右两山坡同前后坡相交而成四条垂脊;故庑殿又可称为五脊殿、四阿坡。
152.硬山:硬山只有前后两坡,左右两尽端是砖砌山墙,山墙内部有前后檐柱,金柱正中有山柱,山柱上端托脊檩,在缝里的大柁同水平高的位置,有插柁由檐柱直插到山柱上,构成梁架,称为排山柁架,排山各梁架有单步梁、双步梁乃至三步梁,其构造方法与单步梁,双步梁相同。
153.由额垫板:是用于大额枋与小额枋中间,如没有小额枋,也就不用由额垫板。
154.箍头枋(即搭角枋):此枋用在山面前后转角处。前(后)面与山面搭接相交。长按尽间面阔,山面按廊深各加一檩径半即长。一端做银锭榫,榫做法同前。一端作箍头榫和霸王拳(小式作三岔头)作法,长宽同坐斗枋出头。
155.额枋:大式(带斗拱)叫额枋。小式(不带斗拱)叫檐枋。长按面阔尺寸减半柱径,高宽按斗口计。
156.山花板:山花板是用在歇山(小红山)的山面的山花上。
157.瓜柱:用在梁上,承托上一个梁用。
158.雷公柱:雷公柱是用在有推山的庑殿屋顶上。
159.角背:角背为了瓜柱的稳定(一般在大式房屋上用的较多)。
160.踩: 1、说斗栱几踩,这个“几”是奇数的。 2、斗栱向内、外挑出,清代叫“出踩”,以正心栱为中心向内或向外每加出一排栱,就叫一踩。(栱与栱之间水平轴线距离叫“拽架”,在清工部《工程做法》中规定每个拽架宽3斗口),如向内外各挑出一拽架叫三踩,面阔方向列三排横栱。向内外各挑出两拽架叫五踩,面阔方向列五排横栱。向内外各挑出三拽架叫七踩,面阔方向列七排横栱。向内外各挑出四拽架叫九踩,面阔方向列九排横栱。(所以说几踩是:拽架数×2(里外的拽架)+1)
161翘、昂: 1、翘、昂、撑头木、蚂蚱头都是斗栱中的纵向构件(进深的构件)。 2、何为翘:在一攒(一组)斗栱中,与栱垂直位于栱下层的长方木,两端头呈微上弯形式的构件叫“翘” 3、何为昂:昂是与栱十字交叉的长方木,外端头有尖,斜垂向下,内端做成翘形,也有的做成菊花头形的。如在一攒斗栱中有翘时,昂在翘上。没有翘时,昂是纵向构件中最下层。 4、如何数翘昂:数翘、昂时不能数上撑头木(斗栱外立面看不到撑头木的端头)、蚂蚱头(在昂上的,与之平行且形似蚂蚱头的构件)。这样就好数了。
162.拱:共有三种不同的位置,1、在柱头上2、在屋间额枋之上3、在屋角柱头之上,这三种各有专名叫:柱头科、平身科和角科。斗拱在结构上有四种重要的分件,略似弓形,位置与建筑物表面平行的叫做拱。形式与拱相同,而方向与拱成直角的叫做翘。翘之向外一端特别加长,斜向下垂的叫做昂。在拱与翘或昂的相交处,在拱两端介于上下两层的拱间,有斗形方块叫做升。与拱相交成直角形的横木叫做翘或昂。翘昂的长短以支出之远近而定,在下层的支出最少,越往上的支出越远,每支出一层,在里外两面各多加一层拱,叫做踩。
163.桃尖梁 :用于柱头科斗拱之上,承接檐头桁檩之梁,其梁头侧面成桃形,故名。
164.顺桃尖梁:用于建筑物山面的桃尖梁,因其放置方向与建筑物面宽一致,故名。
165.桃尖随梁枋:桃尖梁下面,用以拉结檐柱与金柱的构件。其作用略同于小式建筑的穿插枋。
166.顺随梁枋:用于顺梁下面的随梁枋。
167.七架梁:其上承七根檩,长度为六步架之梁。
168.五架梁:其上承五根檩,长度为四步架之梁。
169.三架梁:其上承三根檩,长度为二步架之梁。
170.六架梁:其上承六根檩,长度为四步架加一顶步之梁。
171.四架梁:其上承四根檩,长度为二步架加一顶步之梁。
172.顶梁:其上承二根檩,长度为一顶步架之梁。
173.双步梁:长度为二步架,后尾交于中柱或山柱之梁。多用于门庑建筑或一般建筑的两山。
174.单步梁:长度为一步架,后尾交于中柱或山柱之梁。多用于门庑建筑或一般建筑的两山。
175.三步梁:长度为三步架,后尾交于中柱或山柱之梁。多用于门庑建筑。
176.七架随梁枋:帖附于七架梁之下,拉结前后金柱之构件。
177.五架随梁枋:帖附于五架梁之下,拉结前后金柱之构件。
178.天花梁:用于建筑物进深方向,承接天花之梁。
179.踩步金:歇山建筑山面的特有构件。其正身似梁,两端似檩,位于距山面正心桁(或檐檩)一步架之处,具有梁、檩等多种功能。
180.承重:用于楼房进深方向,承接楼板楞木之梁。
181.斜双步梁:用于建筑物转角位置,于山面、檐面各成45°的双步架。
182.斜三步梁:用于建筑物转角位置,于山面、檐面各成45°的三步架。
183.斜五步梁:用于建筑物转角位置,于山面、檐面各成45°的五步架。斜五步梁又称递角梁。
184.递角随梁枋:贴附于递角梁之下,用于拉结内外角柱之构件。
185.抱头梁:用于无斗拱建筑廊间,承接檐檩之梁。
186.斜抱头梁:用于无斗拱建筑廊子转角,于山面檐面各成45°角的抱头梁。
187.顺梁:用于建筑物山面,平行于建筑物面宽方向之梁。多用于无斗拱建筑,相当于无斗拱建筑的顺桃尖梁。
188.趴梁:梁头外端扣搭在檩之上的梁,多用于庑殿建筑的山面,故又称顺趴梁。
189.下今顺趴梁:承接下金檩的顺趴梁。
190.上今顺趴梁:承接上金檩的顺趴梁。
191.斜承重:用于楼房转角处,与山面、檐面成45°角的承重梁。
192.麻叶抱头梁:梁头做成麻叶头形状的抱头梁。垂花门的主梁亦称麻叶抱头梁。
193.抹角梁:用于矩形或方形建筑转角部位,垂直于角梁方向放置的趴梁。
194.井口趴梁:平面呈井字形的组合梁架,是趴梁的一种形式,多用于多角亭或藻井等部位。
195.假梁头:外端做成梁头状,至于假檐柱柱头之外。
196.四角花梁头:至于角柱柱头,沿角平分线放置的梁头,用于承接搭接檩,两端常做成麻叶头状,花梁头又称角云。多用于四角亭、六角亭、八角亭等建筑。圆亭柱头上也常放置花梁头。
197.角梁:用于建筑物转角部位,沿角平分线方向向斜下方挑出的用以承接翼角部分菏载之梁,角梁一般有上下两根重叠使用,下面一根是老角梁,上面一根是仔角梁。
198.老角梁:角梁的下面一根称老角梁,主要用于承接翼角椽。
199.仔角梁:角梁的下面一根称仔角梁,主要用于承接翘飞椽。
200.由戗:角梁的后续构件,依位置不同又分下花架由戗,上花架由戗,脊由戗等。
201.下花架由戗:用于下步金的由戗。
202.上花架由戗:用于上步金的由戗。
203.脊由戗:用于脊部的由戗。
204.里掖角角梁:用于建筑物里转角部位的角梁,其断面的高度小于外转角角梁,没有冲出和翘起,主要勇用于两翼檐椽。
205.里掖角老角梁: 里掖角角梁两根中的下面一根,主要用于承接里角与之相交的檐椽。
206.里掖角仔角梁:里掖角角梁两根中的上面一根,主要用于承接里角与之相交的飞椽。
207.帽儿梁:承接天花支条与天花板的构件,其两端搭置于天花梁之上,相当于顶棚中的大龙骨。帽儿梁通常用圆木制作,梁断面呈半圆形。
柱类构件
208.檐柱:位于建筑物外围的柱子。
209.金柱:位于檐柱内侧的柱子,多用于带外廊的建筑。金柱又是除檐柱、中柱和山柱以外的柱子的通称,依位置不同可分别以外金柱和内金柱。
210.下檐柱:在二层或多层楼房中,最下面的一层的檐柱。
211.通柱:为于二层楼房中贯通上下层的柱子,用一木做成。
212.假檐柱:假檐柱是专用于转角房的外转交两侧,转间房的外转角两侧开间(即转角进深)大于其余两开间,为解决开间过大而附加的檐柱。假檐柱的高度比一般檐柱要高垫板一份、檩碗一份外施假梁头。如用代梁头,则其高度与其他各檐柱同。
213.里金柱:即围金柱,参见“金柱条”。
214.山柱:位于建筑物两端山墙部位的中柱。
215.桐柱:柱脚落于梁背上,用于支顶上层檐或平座支柱,又称童柱。
216.平台海墁下桐柱:用于三滴水楼房,支承平台(平座)部分的桐柱。
217.擎檐柱:立于建筑物台明(或平座)四角,用于支顶四偶角梁的方柱。
218.垂莲柱:用于垂花门的垂柱,倒悬于垂花门麻叶抱头梁下,端头有莲花等雕饰,故得名。
219.雷公柱:
(一)用于庑殿建筑屋脊两端太平梁之上,用于支顶脊桁挑出部分的柱子;
(二)用于攒尖建筑斗尖部位的悬空柱。
220.重檐金柱:用于重檐建筑的金柱,采用一木做成,其下半段为金柱,上半段支承上层檐,故称重檐金柱。
221.重檐角金柱:用于转角部位的角金柱。
222.封廊柱:位于楼阁建筑平座之上,用于支承挑出深远的檐椽端头的方形木柱,与擎檐柱作用相似,柱头间通常有横枋及折柱花板雀替等构件相连,柱间有栏杆,栏杆内为走廊。
223.馒头榫:柱子上端与梁结合之榫,位于柱头中线位置,榫呈方形,宽高均为柱直径的1/4~3/10,其榫根部略大,头部略小,呈方形馒头状,多见于小式做法。
224.管脚榫:柱根与柱顶石相结合之榫,有方形和圆形两种,其径寸略同于馒头榫,多见于小式做法。
225.升线:有侧角的柱子侧面特有的墨线,该线位于柱子侧面中线的内侧,与中线之距离等于侧角尺寸,升线垂直于地面(水平面),柱整体向内侧倾斜。
通则权衡部分
226.明间:建筑物居中的开间。
227.梢间:建筑物两端头的开间。
228.次间:建筑物明间和开间之间的开间。如有多次间可分为一次间、二次间、三次间等。
229.檐面:平面呈矩形的建筑物,短边方向称山面。
230.面阔:又称面宽,建筑物面宽方向相邻两柱间的轴线距离。
231.通面阔:建筑物两尽端柱间轴线距离。
232.进深:垂直于建筑物面宽方向的平面尺寸称为进深。
233.通进深:建筑物侧面(进深方向)两尽端柱间的轴线尺寸。
234.柱高:木柱从台明上皮至柱头的高度。明清建筑中所指柱高通常指檐柱高。在带斗拱的清式建筑中,柱高包含斗拱及平板枋之高。
235.柱径:柱子根部的直径(若为方柱则指柱根部的看面尺寸)。
236.步架:相邻两檩间轴线的水平距离。
237.举高:相邻两檩轴心的垂直距离。
238.举架:坡屋顶屋面的相邻两檩,上面一檩比下面一檩抬起的高度。
239.上出 :建筑物檐口自檐柱轴线相外挑出的水平长度。带斗拱的建筑,上出是由斗拱出踩和檐椽飞椽挑出两部分组成。
240.下出:台明(台基露出的地面部分)由檐柱中线向外延展出的部分称台明出沿,又称下出。
241.出水:建筑物的上檐出又称出水。
242.回水:建筑物的上出大于下出,上出与下出之差称为回水。
243.收分:中国清代建筑柱子直径下大上小,以柱根部分直径为基数,按柱高的1/100或一定比例减小柱径,称为收分。
244.侧脚:柱头位置不动,柱脚按一定尺度向外侧移出,造成柱头略向内侧斜,称为侧脚。清代建筑仅檐柱有侧脚,明代以前建筑里圈柱也有侧脚。柱侧脚有利于建筑物稳定。
245.斗口:斗拱最下层的坐斗(大斗)面宽方向的刻口称斗口。在清式建筑体系中,斗口是最基本的建筑模数之一,凡带斗拱的建筑,所有的构件、部位均与斗口有倍分关系。
246.硬山建筑:屋面既有前后两坡,两侧山墙与屋面相交,并与檩木梁架全部封砌在山墙内的建筑,称为硬山建筑。
247.悬山建筑:屋面有前后两坡,屋面两端悬挑于山墙或山面梁架之间的建筑,称为悬山式建筑。悬山又称挑山。
248.庑殿建筑:屋面有四坡并有正脊的建筑称庑殿建筑,庑殿又称四阿殿、五脊殿,是古建筑屋顶的最高型制。
249.歇山建筑:由悬山屋顶和庑殿屋顶组合形成的一种屋顶形式。歇山建筑又称九脊殿,型制等级仅次于庑殿建筑。
250.攒尖建筑:建筑物的若干坡屋面在顶部交汇成一点形成尖顶,称为攒尖建筑。攒尖建筑平面为正多边形,如正三边形、正四边形、正五边形、正六边形、正八边形、圆形等。
251.复合建筑:由两种或两种以上的建筑形式,或由一种建筑形式的不同形态组合而成的建筑称复合建筑。复合建筑形式优美,历史上很多著名楼阁如黄鹤楼、腾王阁、故宫角楼等都是复合建筑。
252.三滴水:古代屋檐为滴水,三滴水即三重屋檐。
253.对景:随着曲线的平面布局,步移景异,层层推出或从某一观赏点出发,通过房屋山门窗或围墙的门洞作为画框来取景,或者通过走廊与漏窗来看风景。
254.园冶:计成在总结实践经验的基础上,著成《园冶》一书,是我国古代最系统的园林艺术论著。
255.水口:大的水面上做的许多小的水湾,使得在任何一个角度都无法看到水面边界的全貌,使睡眠有深远之感,余味不尽。
256.驳岸:池岸一般都用石块叠成曲折自然的形状,只有少数地带砌成整齐的池岸,可以用来停船的地方。
257.园林的设计思想:中国自古以来就有崇尚自然,热爱自然的传统。“天人合一”的思想占有极大的优越。把人和物紧密的联系在一起,视为不可分割的共同体,从而形成一种主观力量,促使人们去探求自然,亲近自然开发自然;另一方面,山河壮丽,景象万千,美好的景色启发人们热爱自然,讴歌自然。独树一帜的自然式山水园林就形成了。
以神州大地谴责不同的山川为本原,形成以山水为景观的造园风格。
这种园林以表现自然竟趣为目的,排斥规则,对称,力避人为造作气氛。与轴线对称,几何图形,分行列队,显示人的力量的欧洲园林大相径庭。
皇家园林与私家园林的区别:
1)前者以祖国各地尤其是江南一带的优美风景为创作源泉。
2)前者以提供皇宫贵族休息,娱乐之处,后者是贵族富商以及官僚地主的生活享乐 而建的。
3)前者在大范围内以堆土形成山丘涧壑的地形,再适当点缀山石,山中叠山,假山与真山相结合。后者以山石造山为主。
4)前者花木配植规模大而多作群植或成林布置,后者以单株为主。
私家园林的基本设计原则与手法
把全园划分为若干景区,每区都有自己的特点,但又互相贯通,联为整体。园中空间与景物布置主次分明,不宜均匀分布。大小空间疏密相间,构成有节奏的变化。
水面的处理方面。池的大小有主次之别,水面处理有聚分不同。池水以聚为主,以分为辅。
假山是园景中的重要因素,叠石造山是为了创造山林景色。体形高大的山林,一方面可以在 山上建亭阁,眺望园林,俯望全园,达到扩大空间感的 目的,另一 方面可以阻隔视线,增加园中宁静的 气氛。
建筑处理方面,建筑物在 我国古代园林中占有 极重要的 位置。山池是园景的骨干,欣赏山池风景的 位置,则常在建筑物内,同时建筑又是与山,池,花木共同的 构成园景。所以它即是观察对象,又是风景观赏点。
花木在 私家园林中以单株为主观赏,园林以老树为难得,略有几株,能使园林显的苍古深郁。
营造法
258.须弥座:由佛座演变而来,形体复杂。一般用于高级建筑。开始形式简单,由数道直线叠涩与较高束腰组成,没有多少装饰,且对称布置。后来逐渐出现了莲瓣,卷纹饰,力神。角柱,间柱等,造型日益复杂。
259.阶级踏步:在踏的两旁置垂带石的踏道。
260.如意踏步:是不用垂带石只用踏跺的做法,一般用于住宅或园林。形式自由,有的将踏面自下而上逐层缩小,或用天然石堆砌成规则形状。
261.礓蹉(慢道):是在斜道上用砖石露棱堆砌,可以防滑,一般用作室外。
262.斜道(辇道或御路):是 倾度平缓用以行车的坡道,常与踏跺组合在一起。
263.土戚:阶级形踏跺
264.勾阑:栏杆,由望柱,寻杖,阑版构成。一层阑版为“单勾阑”二层为“重台勾阑”。
265.寻杖绞角造:木寻杖在转角处不用望板,相互搭交而又伸出者。
266.寻杖合角造:寻杖止在转角处望而不伸出。
267.坐栏:石栏形体往往低而宽,眼沿桥侧或月台边布置。
268.鹅颈椅:近水的厅,轩,亭等常在临水方面设置木质曲栏的座椅。
269.开间(面阔):木构建筑正面两檐柱间的 水平距离,各开间之和为“通面阔”中间一间为“明间”左右侧为“次间”再外为“梢间”,最外的称为“尽间”,九间以上增加次间的间数。
270.步:屋架上的 “檩”与檩中心线面的水平距离为步,各步的距离的总和与侧面各开间宽度总和为“通进深”,若有斗拱,则按照前后挑檐檩中心线间水平距离计算。
271.举势:屋面坡度。
272.举架(举折):举,是屋架的高度,常按建筑的进深与屋面材料而定。折,是计算屋架举高时,由于各檩升高的幅度不一致,求得的屋面横断面的坡度不是一根直线,而是若干折线组成。
273.举折(宋):先按照房屋进深,定屋面坡度,将脊傅“举”到额定的高度,然后从上而下,逐架“折”下来,求得各架傅的高度,形成曲线和曲面。
举架(清):从最下一架起,先用比较缓和的坡度,向上逐架增加斜坡的陡峭度。因此,最后“举”到多高,仿佛是“偶然”的结果。
274.升起:宋,辽建筑的 檐柱由当心间向两端升高,因此檐口呈一条缓和的曲线。
275.侧脚:宋代建筑规定外檐柱在前后檐向内倾斜住高的千分之十,在两山向内倾斜柱高的千分之八,而角柱在两个方向都倾斜。
276.都柱:秦汉宫室遗址与崖墓中,有的平面中央仅设一根柱子。
277.金厢斗底槽:内外两圈柱。见佛光寺大殿
278.单槽:内柱将平面划分为大小不等的 两个区域。(山西晋祠圣母殿)
279.双槽:内柱将平面划分为大小不等的 三个区域(唐大明宫含元殿,北京故宫太和殿)
280.分心槽:用中柱一列将平面等分(河北蓟县独乐寺山门)
281.移柱法:宋辽元金,常将若干内柱移位,或减少部分内柱(减柱法)
282.副阶周匝:建筑主体从外到内另外加一圈回廊的 ,在早商建筑中已经出现,应用与比较隆重的建筑。
283.额枋(阑额):柱子上端联系与承重的构件。有时两根叠用,上面的清谓之大额枋,下面的叫小额枋(由额),二者用垫板(额垫板)传于内柱间的叫内额,位于地脚处的叫地袱.
284.平板枋:(普柏枋)位于阑额之上,是承托斗拱的部件
285.雀替:是置于梁枋下与柱子相交的短木,可以缩短梁枋的净跨距离。可以用于柱间的花牙子下,称为花牙子雀替,在建筑末端,由于开间较窄自两侧柱挑出的雀替常联为一体叫骑马雀替。雀替可用于柱间的挂落下,成为纯装饰构件
286.坐斗:位于一组斗拱最下的 构件称为坐斗(大斗,宋为栌斗)有时也可以单独使用。
287.斗口:坐斗正面的槽口,在清代作为衡量建筑尺度的标准。
288.斗耳:斗口两侧凸起的部分
289.斗腰:斗口下垂直部分
290.斗底:斗下倾斜的部分
291.平盘斗:没有斗耳的,常用于角科
292.栱:是置于坐斗内或跳头上的 短横木
栱的名称依部位的不同而不同。凡是向内外出跳的栱,清式叫翘(华栱或卷头)
293.瓜栱(宋称瓜子栱):跳头上第一层横栱
294.万栱(慢栱):跳头上第二层横栱
295. 厢栱(金栱):最外跳在挑檐檩下的 ,最内跳在天花枋下的
296.正心瓜栱(泥道栱):出坐斗左右的第一层横栱。
297. 正心万栱:(慢栱)出坐斗左右的 第二层横栱。
298.单栱:坐斗口内或跳头上只置一层栱的,二层的叫重栱。
299.计心造:跳头上置横栱的
300.偷心造:跳头上不置横栱的
301.昂:式斗拱中斜置的构件,起杠杆作用。由 上下昂之分。以下昂使用为多,上昂用于室内,平坐斗拱或斗拱里跳之上。
302.跳:翘或昂自坐斗出跳的 跳数,出一跳叫三踩(四铺作),出两跳叫五踩(五铺作)一般建筑(牌楼除外)不过九踩(七铺作)
303.屋废(出际):檩头伸到山墙以外的 那一段。
304.推山:廡殿(四阿)建筑处理屋顶的一种特殊方法。由于立面需要将正脊向两端推出,从而四条垂脊由45度斜直线变为柔和的 曲线,并使屋顶正面和山面的 坡度步架距离斗步一样长。
305.收山:歇山(九脊殿)屋顶两侧山花自山面檐柱中线向内收进的做法,其目的是为了使屋顶不过于庞大,但引起结构上的 变化(增加顺梁扒梁和踩步金梁)
306.月梁:梁高呈弧形,梁底略向上凹,梁侧常做成琴面并饰依雕刻,外观秀巧。
307.叉手:支撑在侏儒柱两侧的 木构件
308.托脚:支撑平傅的 构件
309.叉柱造:(上下柱交接)将上层檐柱底部十字开口,插上平座柱的斗拱内,而平座柱则叉立在下檐柱斗拱上,但向内退半柱径。(隆兴寺转轮藏殿,独乐寺观音阁)缺点是柱脚开口,影响柱体强度。立面上因收进较少,外观不稳定。优点是构造上省事,不用增加构件。
310.缠柱造:它是下层柱端 增加的一斜梁,将上层柱立于此梁上。结构外观稳妥,但要加梁,角部各面还要增加一组斗拱。
311.砌上明造:屋内不用平棊,梁架斗拱结构全部可以显露可见,则月梁负屋盖之重。
312.上昂:在铺作层数多而高,但挑出需要尽量小的 要求下,头低尾高的上昂可在较短的 出跳距离内取得挑的 更高的 效果,只用于里跳。
313.平坐:在阁层(除一层)在其下层梁(或斗拱)上先立较短的柱和梁,额,斗拱,作为各层的基座,以承托各层的 屋身。平坐斗拱上铺设楼板,并置勾阑,做成环绕一周的 跳台。
314.草袱:是在平棊以上,未颈艺术加工的 ,实际负荷屋盖重量的梁。
315.乳袱:两椽袱。梁首放在铺作上,梁尾一端插入内柱柱身,但也有两头斗放在铺作上的。
316.月梁:经过艺术加工的 梁,凡有平棊的殿堂,月梁都明露在平棊之下,只负荷平棊荷载。
317.明袱:露在外面,由下面可以看见的 梁袱,与草袱相对。
318.平梁:一道梁椽袱,是梁架最上一层的 梁。清代称为太平梁
319.箚(扎)牵:一般用于乳袱之上,仅长一架,布 承重,固定桁的位置。
320.平坐之制:其铺作减上屋一跳或两跳,宜用重栱及逐跳计心造。
321.溜金斗拱:多用于宫殿,庙宇,外跳与一般平身科相同,内跳用斜上菊花头,六分头搭在金主内额上,与外跳构件不发生联系,完全不起结构作用。
322.抱厦:由两个九脊殿丁字相交,插入部分叫抱厦。十字相交的叫十字脊。(正定隆兴寺)
323.版门:用于城门或宫殿,衙,署的 大门,一般为两扇。
324.棋盘版门:先以边梃上下抹头组成边框,框内置横幅若干,后在框的一面钉板,四面平齐不起线脚。
325.镜面版门:门扇不用木框,完全用厚木板拼合,背面再用横木联系。
326.槅扇:由边梃和抹头组成,分为花心和群版二部。
327.罩:多用于室内,是用硬木浮雕或透雕成几何图案或缠交的动植物,神话故事等,在室内起着隔断空间和装饰的作用。
328.窗:唐以前以直棂窗为主,固定不能开启。宋代开始,开启窗开始变多。
329.支摘窗:支窗是可以支撑的 窗,摘窗是可以取下的窗,后来合在一起使用,所以叫支摘窗。
330.漏窗:应用于住宅,园林中的 亭,廊,围墙等处。窗孔形状有方,圆,六角,八角,扇面等多种形式,再以瓦,薄砖,木竹片和泥灰等几何图案或动植物形象的窗棂。
331.平闇(暗):为了部 露出建筑的 梁架,常再梁下用天花枋组成木框,框内放置密且小的木方格,见佛光寺大殿和辽独乐寺观音阁。
332.平棊(棋)在木框间放较大的木板,板下施彩绘或贴以有彩色图案的纸这种形式在宋代成为平棊,后代沿用较多。一般居民用竹,高梁杆等轻材料作框架,然后糊纸。
333.藻井:是一种高级的天花,一般用在殿堂明间的 正中,如帝王御座之上,神佛像座之上,形式有方,矩形,八角,圆形,斗四,斗八等。
屋顶曲线与构造的关系(包括檐口,屋脊和屋面曲线)
334.1)檐口曲线 升起,唐宋有明显的 檐口曲线,北宋元明清末间至屋角起翘。
2)屋面曲线,包括纵向曲线和横向曲线。“反宇为阳”举架举折的 运用。佛光寺大殿。
3)屋脊曲线:脊檩端置垫木。佛光寺大殿。
335.结构形式:叠梁式,穿斗式,井干式。
336.屋顶形式:重檐廡殿,重檐歇山,重檐攒尖,廡殿,歇山,悬山,硬山卷棚,攒尖,337.盔顶,盝顶,单坡,平顶,囤顶。
338.三段式:台基,屋身,屋顶。
339.牌楼:一种装饰性建筑物。有两根或四根并列直柱。上有檐额。多建于街市要冲或名胜处。亦指为庆贺而用竹木等搭建的类似牌楼的临时建筑物。
340.平座:宋代建筑构造名称,亦称鼓座。建筑周围用木柱、梁额、斗拱等构件架设的平台。依位置不同,有楼阁平座、城头平座、地面平座、水中平座、塔身平座等多种类型。平座外缘一般设有勾阑以供凭栏远眺。
341.金柱:位于檐柱以内,除了处于建筑纵轴线以外的所有柱子。
342.蜀柱:即瓜柱,宋代称蜀柱。
343.童柱:下端立于梁、枋之上,功用与檐柱、金柱相同的短柱。
344.负阴抱阳:风水观念中宅、村、城镇基址选择的基本原则和基本格局。
345.挑金悬饰柱:把交金瓜柱解放出来,成为装饰性很强的构件。
346.穿堂:工字殿前后殿之间的连接部分,又称柱廊。
347.披檐:楼阁等建筑于入口处之上增加的一步屋檐。又称雨搭。
348.出肩:梁架宽出柱径的部分称为出肩。
349.黄肠题凑:以柏木黄心致累棺外,故曰黄肠;木头皆向内,故曰题凑。
题,头也。凑,以头向内,所以为固
350.枭线:是指凸线,凹线称“混“。
351.抱头梁和乳伏:前者系清代称谓,后者系宋以前称谓。前者可一步架,后者二椽架(且非平梁)。
352.栽:一种立柱方法,栽柱造,“载”是比喻的叫法,如同“栽树”
353.门:古称双扇为门,单扇为户,后世统称为门。常用有以下几种:棂星门、板门、软门、槅扇等。
354.乌头门:其中棂星门出现于唐代或稍早。地上栽两根木柱,柱间上方架横额,形成门框,内装双扇门。宋代因柱头装黑色瓦筒,故称乌头门。门扇四周有框,上部装直棂,下部嵌板,大的在背面加剪刀撑。一般用作住宅、祠庙的外门。
355.鸱吻:屋项正脊两端的装饰物。
356.剪边:屋面做法的一种。即在屋脊和檐口部分使用色彩、种类与屋面不同的瓦件,明显突出屋面的边际线。亦称镶边,檐口、屋脊用瓦颜色与坡面不同的做法,多用于园林建筑。主要类型有:草泥屋面用小青瓦剪边, 小青瓦屋面用筒瓦剪边黑活筒瓦屋面用琉璃瓦剪边 ;琉璃瓦屋面用其他颜色的琉璃瓦剪边;琉璃瓦剪边一般用于屋面边缘,屋脊,转角等处。 还有一种集锦做法,即将剪边瓦拼成菱形,双喜,福寿等图案或文字。此外在一些地方也有小红瓦或机制红瓦屋面用小青瓦剪边的。
357.鸱吻和正吻:是不同的朝代有不同的叫法
358.一封书 二柱门 三才升 四阿顶 五凤楼 六方罩 七分头 八字墙 九脊帐 十字别
一封书:是院落里耳门的一种。
二柱门:是在隆恩殿后身,又叫“冲天牌楼”、“照牌”。门为一间,其上有一悬山式琉璃瓦屋顶,两边各有一方形石柱。石柱前后有抱鼓石。在两石柱之间有木板门,此板门常年关闭。石祭台在二柱门之后,长一丈八尺六寸,宽五尺,高四尺?用汉白玉雕造,造型是须弥座式,上面雕刻各种图案。祭台之上有五件石雕:正中为香炉、两侧有香瓶、烛台各一对。
三才升:是一攒斗拱中的小构件,形式类似的还有十八斗、槽升子等构件
四阿顶:即庑殿顶
五凤楼: 是围屋的一种样式,福建永定就有。旧称"老屋里",位于路桥区新桥镇西,建于晚清,为五井十五堂二层楼房,成四合院式组合,是我国江南一种独具风格的民居建筑群。新桥五凤楼至今基本保持原貌,实属古典式建筑艺术的珍贵遗产。
七分头:是砖的一种,尺寸为:长180mm,宽115mm,高53mm
九脊帐:即是歇山顶
359.踏道:阶级形踏步(带垂带石)
360.如意踏步:不带垂带石。
361.大木作:大木作是我国木构架建筑的主要构成部分,由柱、梁、枋、檩等组成,同时又是木建筑比例尺度和形体的重要决定因素。
362.开间:我国木构架建筑两面正檐柱间的水平距离,又称面阔,各开间宽度的总和称通面阔。建筑中各开间的名称又因位置不同而异,正中一间称明间(宋称当心间)、左右侧的称次间、再外的称梢间、最外的称尽间,九间以上的建筑增加次间数。
屋架上的檩(宋称 )与檩中心线间的水平距离清代称为“步”(进深),各步距离的总和或侧面各开间宽度的总和称为“通进深”。
363.材:宋代建筑之中的计量单位。
364.举势:屋面坡度。
365.生起:宋辽建筑的檐柱由当心间向两端升高,因此檐口呈一缓和曲线即《营造法式》中的生起。
366.侧脚:为了使建筑有较好的稳定性,宋代建筑规定外檐柱在前后檐向内倾斜柱高的10/1000,在两山向内倾斜8/1000,而角柱在两个方向上都有倾斜的做法。
古建筑平面内外设两圈柱廊的做法称金厢斗底槽(唐佛光寺大殿);以内柱将平面划分为大小不等的两区的为单槽(晋祠圣母殿);以内柱将平面划分为大小不等的三区的为双槽(唐大明宫含元殿和北京清故宫太和殿);在门屋建筑中,用中柱一列将平面等分的称分心槽(河北蓟县独乐寺山门);在建筑主体以外另加一圈回廊的在《营造法式》中称为副阶周匝。
367.堂:是在庭院组合中,居主轴线上当正向阳而轩敞的房屋。
368.堂与殿:古建中台基均作堂,宋代称“阶基”,清代及今成为“台基”。殿也是指台基,后对高显崇丽之建筑称之为堂或殿,汉以后殿成为宫中之堂的专称,并以正脊是否筑吻区别堂与殿,有吻者为殿,无吻者为堂。
소스:이페어케이 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