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가 왜 각속도분의 출력으로 공식이 되는지 궁금해서 그런데 알 수 있을까요!
첫댓글 전기공식 대부분이 효율=출력/입력 입니다.넣어준게 있으면 나온것이 있고 그것의 비가 효율이고 토크 인것 같습니다.암튼 출력이 항상 분자에 있습니다.
토크는 회전운동에서 회전체를 돌리는 힘입니다. τ =r X F힘, F=m·a=m·Δv/Δt (m = 질랑, a = 가속도, v = 속도)토크 τ =I·α=I·Δ/Δω (I = 회전관성, α = 각가속도, ω = 각속도)일률, 출력, 전력 P = Fv에서 F=P/v회전체의 일률, 출력 P= τω에서 τ=P/ω직선운동에서의 힘, 질량, 가속도, 속도가 회전운동에서 토크, 회전관성, 각가속도, 각속도에 대응됩니다. 회전체의 출력은 토크와 각속도의 곱이라서...기계가 내는 최대 출력은 일정합니다. 우리가 자전거를 타고 언덕을 오르기위해서는 다리엔진의 출력이 거의 일정하기에 기어를 1단으로 낮은 각속도로 천천히 페달을 돌려야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첫댓글 전기공식 대부분이 효율=출력/입력 입니다.
넣어준게 있으면 나온것이 있고 그것의 비가 효율이고 토크 인것 같습니다.
암튼 출력이 항상 분자에 있습니다.
토크는 회전운동에서 회전체를 돌리는 힘입니다. τ =r X F
힘, F=m·a=m·Δv/Δt (m = 질랑, a = 가속도, v = 속도)
토크 τ =I·α=I·Δ/Δω (I = 회전관성, α = 각가속도, ω = 각속도)
일률, 출력, 전력 P = Fv에서 F=P/v
회전체의 일률, 출력 P= τω에서 τ=P/ω
직선운동에서의 힘, 질량, 가속도, 속도가 회전운동에서 토크, 회전관성, 각가속도, 각속도에 대응됩니다. 회전체의 출력은 토크와 각속도의 곱이라서...
기계가 내는 최대 출력은 일정합니다. 우리가 자전거를 타고 언덕을 오르기위해서는 다리엔진의 출력이 거의 일정하기에 기어를 1단으로 낮은 각속도로 천천히 페달을 돌려야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