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FFfdWaKDKtA\
영주(풍기)출신, 강정애 국가보훈부장관 임명
윤석열 대통령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을 임명했다고 대통령실이 25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번 크리스마스 연휴 직전인 지난 22일 박 장관과 강 장관 임명안을 재가했다.
이에 따라 박 장관은 지난 23일 임기를 시작했으며 강 장관은 26일 취임식을 하고 업무를 할 예정이다
■ 강장관의 약력
1957년생인 강정애 장관은 강정애 전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경북 영주시의 풍기초등학교와 풍기중학교를 졸업하고 숙명여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파리1대학에서 인적자원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모교에 임용된 뒤 취업경력개발원장 등을 지냈다.
■ 강장관의 국회청문회
■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국회 정무위원회는 21일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야당은 청문회에서 논문 자기표절 등 후보자의 도덕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다만 여야는 장관직 수행에 큰 문제가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https://www.news1.kr/articles/5268135
https://www.yna.co.kr/view/AKR20231221079151504?input=1195m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홍범도 장군 견해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21일 육군사관학교내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논란과 관련, "행적이 여러 논란을 야기하기 때문에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의 관련 질의에 "홍범도 장군은 독립운동가로는 예우받아야 한다"고도 말했다.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민주유공자법 관련 답변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최근 국회의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민주유공자법) 입법 추진 과정에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국회 정무위는 지난 14일 전체회의에서 '민주유공자법' 제정안을 야당(민주당) 단독으로 처리했다.
'민주유공자법' 제정안은 '반(反)민주적 권위주의 통치에 항거해 헌법이 지향하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확립에 기여한 희생이나 공헌이 명백히 인정돼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사람을 보훈부 심사를 거쳐 유공자 예우를 받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야당이 입법이 추진 중인 법안이다.
즉, 이미 관계 법령이 존재하는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외의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사망·상하거나 유죄 판결 등 피해를 본 사람을 예우하는 게 이 법안의 핵심이다.
이와 관련 강 후보자는 "'독립유공자법'(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과 '참전유공자법'(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은 조문만으로 유공의 내용을 예측할 수 있다"며 "역사적인 5·18(민주화운동), 4·19(혁명) 유공자 역시 사건명이 특정돼 있어 국민 누구나 유공 내용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 후보자는 "그러나 민주유공자법 조문은 다양한 민주화운동 중 어떤 유공사건인지 전혀 예측할 수 없단 지적이 나온 것으로 안다"며 "국회에서 충분한 토론과 합의를 거쳐 이 법안(입법)이 잘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백선엽 국립묘지 안장 배제 관련 답변
국가 보훈부가 고(故) 백선엽 장군의 국립현충원 안장 기록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 문구를 삭제했는데 김백일·이종찬·이응준 장군 등 유족의 삭제 민원도 수용할 것이냐는 민주당 강훈식 의원의 질의에는 "삭제할지는 법령과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가 규정한 친일 인사들 가운데 현재 국립묘지에 안정돼 있는 인물은 백 장군을 포함해 총 12명이다.
12·12 군사반란에 가담했던 유학성·박준병 등의 시신이 여전히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다는 민주당 황운하 의원의 지적에는 "국립묘지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는지 직을 맡게 되면 다시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이어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해 군형법 위반 등으로 형이 확정된 경우에는 국립묘지법상 안장 배제 사유에 해당, 국립묘지 안장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립대전현충원 홈페이지의 백 장군 안장자 정보엔 당초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2009년)'이란 문구가 포함돼 있었으나, 보훈부는 '명예훼손 소지가 있다'는 등의 유족 측 의견을 수용해 올 7월 해당 문구를 삭제했다.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뉴라이트 교수' 지적 의식
그는 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이명박 정부가 내려보낸 측근 강사진 명단에 포함돼 공무원 상대로 특강을 했다는 기사가 있다'고 지적하자 "김대중 대통령 시절부터 많은 위원회에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당시 '뉴라이트 교수'라는 지적이 있었던 점을 의식한 듯 "저는 뉴라이트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의 시아버지 관련
'시아버지 권태휴 선생이 조선의용대 출신인데, 좌익이라는 공격을 받더라도 이렇게 애매하게 답하겠느냐'는 김 의원 지적에 "제 시부모와 시조부는 김원봉과는 결을 달리해 독립운동 이후 건군도 하셨고 발전소도 지었다"고 강변했다.
시조부인 백인(百忍) 권준(1895∼1959년) 선생이 일제강점기 약산 김원봉 등과 함께 의열단을 결성해 활동했지만, 광복 이후 행적은 달랐다는 취지다.
■ 청문회 소감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21일 청문회를 마친 뒤 "우리 사회에서 보훈이 갖는 의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되새길 수 있었고 보훈부 장관으로 임명되는 것이 대한민국의 정신과 가치를 바로세우는 엄중한 임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단다.
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보훈이 국민통합의 마중물이 되도록 보훈정책의 근본적인 혁신에 앞장서겠다"며 이렇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