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사성어]不學無術(불학무술)
[字解] 不 : 아닐 불 '배우지 않고 재주가 없다'는 뜻으로, 학문을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 없으며 재주가 없다는 말이다.
[出典] 송사(宋史) 구준전(寇準傳). 한서(漢書) 권68 열전(列傳)제38 곽광전(霍光傳) 중국 송(宋)나라 때의 정치가인 구준(寇準)은 장영(張詠)과 허물없이 지내는 친구 사이였다. 구준이 재상의 자리에 오른다는 소식을 들은 장영은 "구준은 뛰어난 인재이나 배움이 적다"고 말하였다. 구준은 재상에 오른 뒤 옛 친구인 장영을 만나고 나서 헤어질 무렵에 장영에게 가르쳐줄 말이 없는지 묻자, 장영은 후한(後漢)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저술한 한서(漢書) 곽광전(霍光傳)을 읽어보라고 하였다. 당시에는 장영의 말을 알아 듣지 못한 구준은 〈곽광전〉에서 "곽광은 배우지 않아 재주가 없다[光不學亡術]"라는 구절을 읽어보고 나서 장영이 자신을 두고 한 말의 뜻을 깨달았다고 한다.
또 중국 전한(前漢)의 정치가 곽광은 곽거병의 동생으로 대사마와 대장군 등의 관직을 지내면서 나라에 크게 공헌하였으나, 배움이 부족하고 별다른 재주가 없어서 사리에 밝지 않았다. 《한서》 〈곽광전〉에 따르면, "곽광은 나라를 바로 세우고 편안하게 다스렸으며, 배우지 못하여 재주가 없고 사리에는 어두웠다[不學無術 暗于大理]"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불학무술은 불학망술과 같은 뜻으로, 학식이 넓지 못하고 재능이 부족한 경우에 비유하는 성어(成語)이다.
[English] -To have neither learning nor skill.[불학무술(不學無術)] -To be lacking in both learning and practical ability. [학식과 실제(實際)적인 능력(能力)이 모두 모자라다] -To be ignorant and incompetent.]무식(無識)하고 무능(無能)하다]
출처:NAVER백과사전. 풀어쓴 중국고전.
|
첫댓글 불학무술이라도 정치를 잘했으니 배움이라는 것이 꼭 학력만은 아닌 듯합니다. 얼마나깊이 생각하고 행동하는냐가 참 공부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