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록 (十干祿)
록(祿)은 작록(爵祿)이다. 즉 벼슬과 봉록(俸祿)을 의미한다. 록의 자리는 힘이 있어 작록을 누릴 수 있다.
줄여서 록이라고 한다. (祿,爵祿也,當得勢而享,乃謂之祿)
10간 12지지에 맞게 나눠보면 甲乙은 동쪽의 寅卯에 배치한다. 丙丁은 남쪽의 巳午에 배치한다. 庚辛은 서쪽의 申酉에 배치한다. 壬癸는 북쪽의 亥子에 배치한다.
십간의 록은 지지에 자신의 오행이 왕한 자리이다. 甲의 록 寅,乙의 록 卯,庚의 록 申,辛의 록 酉,壬의 록 亥,癸의 록 子,丙의 록 巳,丁의 록 午. 戊己는 巳午를 빌려 록으로 쓴다. 巳午는 화가 왕한 곳으로 화의 자식인 戊己토가 어미를 따라서 록을 얻는다는 의미이다.
辰戌丑未의 경우, 辰戌은 괴강으로 이른바 변비악지(邊鄙惡地), 즉 변방의 거친 땅으로 록원(祿元)이 자리하지 않는다. 丑未는 천을귀인이 드나드는 문으로 록원이 피하는 자리이다. 그래서 辰戌丑未에는 록이 자리하지 않는다. 또한 사계(四季: 辰戌丑未)에는 여러 기운이 섞여 있어 오행의 집중력이 떨어진다. 록을 취할 수 없다.
일록귀시
1. 청운득로(青雲得路: 신왕하고 인성의 생조가 있는 경우)
戊子 甲寅 乙亥 己卯. 사주에 관성이 전혀 없고, 일간의 오행이 국(局)을 이루어 신왕하며 또 인성이 생조한다. 비록 子수가 卯목 록을 형하지만 격을 깨뜨리지않아서 귀하다.
(역주: 연해자평 희기편의 채문휘 사주(甲子 丁丑 乙丑 己卯)와 비교하면 둘다 귀록격에 해당한다. 그러나 채문휘의 사주는 인성이 겁재를 생하고 록을 형한다. 또한 대운도 천간에서 토금으로 흐르고 지지는 화운으로 흘러 좋지 않다. 乙목이 甲목에 등라계갑해서 토를 극하려 하지만 甲목이 丁화를 생해 토를 강화한다. 甲己합도 토의 힘을 보강한다.)
壬午 庚戌 壬子 辛亥. 신왕하고 인성이 돕는다. 戊辰년 진사에 합격했다. 나중에 형부낭중이 되었다. 잡기격으로 논하는 것이 낫다. 丁丑운 戊辰년 시험에 합격했다. 丑이 월지 戌을 형하고, 년지가 충을 하기 때문이다. (역주: 癸丑운 戊申년이 타당해 보인다.)
* 록은 봉록을 의미한다. 또한 신체를 의미한다. 록이 있으면 신강해진다. 재관인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또 록은 근원의 의미를 지닌다. 자신을 낳은 부모 중 한명이 될 수 있다. 사주를 분석할 때 록을 자세히 봐야한다.
록이 충극을 당하면 신체가 손상될 수 있다. 년지에 일간의 록이 있는 경우, 사주의 구조가 좋다면 국가의 봉록을 받을 수 있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타로카드 작대기 6번 카드 같은 것이 건록이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