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0.03.21 10:27
합참 "비행거리 410㎞…우한 코로나 상황서 부적절"
동계훈련 목적 김정은 참관 가능성…우한코로나 속 내부결집·對北제재 불만 표출 가능성도
동계훈련 목적 김정은 참관 가능성…우한코로나 속 내부결집·對北제재 불만 표출 가능성도
북한이 21일 12일 만에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해당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410㎞로 탐지됐으며, 북한판 에이테킴스(ATACMS·전술 지대지미사일)이나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신형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45분쯤과 6시 50분쯤 북한 평안북도 선천 일대에서 북동쪽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2발의 발사체를 포착했다"고 했다.
이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약 410㎞, 고도는 약 50㎞로 군은 연속 발사 성능 시험보다는 평북 선천에서 내륙을 관통해 동해상으로 낙하하는 사거리 측정 시험에 판단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풀업'(pull-up·활강 및 상승) 비행특성으로 미루어보아 북한판 이스칸데르, 에이테킴스, 초대형 방사포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발사체 세부 제원을 정밀 분석 중이다. 합참은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이러한 군사적 행동은 대단히 부적절한 행위"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군과 정보 당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발사 현장에서 직접 참관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북한군 동계훈련 일환으로 보 이지만, 우한 코로나 확산 등으로 인한 내부 결속력 강화, 대북제재에 대한 불만 표출 등 다목적 의도로 발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지난 9일 '초대형 방사포'를 쏜 지 12일 만이다. 지난 2일과 9일에 이어 올해 3번째 발사다. 합참은 지난 9일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를 동계훈련의 일환으로 평가한 바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45분쯤과 6시 50분쯤 북한 평안북도 선천 일대에서 북동쪽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2발의 발사체를 포착했다"고 했다.
이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약 410㎞, 고도는 약 50㎞로 군은 연속 발사 성능 시험보다는 평북 선천에서 내륙을 관통해 동해상으로 낙하하는 사거리 측정 시험에 판단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풀업'(pull-up·활강 및 상승) 비행특성으로 미루어보아 북한판 이스칸데르, 에이테킴스, 초대형 방사포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한·미 정보 당국은 발사체 세부 제원을 정밀 분석 중이다. 합참은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세계적 대유행'을 선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의 이러한 군사적 행동은 대단히 부적절한 행위"라며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군과 정보 당국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발사 현장에서 직접 참관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북한군 동계훈련 일환으로 보 이지만, 우한 코로나 확산 등으로 인한 내부 결속력 강화, 대북제재에 대한 불만 표출 등 다목적 의도로 발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지난 9일 '초대형 방사포'를 쏜 지 12일 만이다. 지난 2일과 9일에 이어 올해 3번째 발사다. 합참은 지난 9일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발사를 동계훈련의 일환으로 평가한 바 있다.
- "중국의 은폐로, 접경 폐쇄 이전에 이미 북한으로 코로나 유입 되었을 것." 20일 VOA(미국의 소리)는 중국이 코로나 감염 사실을 한 달 이상 은폐하는 바람에 북한이 접경지대를 폐쇄하기 전에 이미 바이러스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하였다.
'''''''''''''''''''''''''''''''''''''''''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차단을 위해 1월 말 국경을 봉쇄했지만, 그 전에 이미 바이러스가 유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발병이 중국의 공식 발표보다 훨씬 이전에 이뤄졌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런 관측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박형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국경을 전면 차단한 시기는 1월 말입니다.
[녹취: 조선중앙방송]“해당 부문에서는 국경. 지상, 해상, 공중을 비롯해 비루스가 침투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선제적으로 완전히 차단해야 하며…”
그로부터 약 한 달 뒤, 북한 보건성의 김형훈 부상은 일본 내 친북단체인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우리나라에는 단 한 명의 환자도 들어오지 못했다"고 단언했습니다.
북한은 중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하자 가장 먼저 국경을 봉쇄했는데, 이런 ‘선제적 조치’가 전파를 막았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평상시 북-중 왕래가 활발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경 폐쇄 이전에 중국에서 북한으로 바이러스가 이미 유입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중국 내 코로나 최초 발병 시점이 공식 발표보다 훨씬 이전이라는 의혹이 최근 잇따라 제기되면서 이런 관측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중국 허베이성 우한시 당국으로부터‘원인 불명’의 폐렴환자에 관해 첫 보고를 받은 시점은 지난해 12월 31일 입니다.
이후 열흘 뒤인 1월 9일 중국 당국은 이 질병이‘신종 코로나바이러스’임을 공식 확인했습니다.
미국의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 11일 신종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중국의‘은폐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했습니다.
[녹취:오브라이언 보좌관]“Unfortunately, rather than using best practices, this outbreak in Wuhan was covered up…It probably cost the world community two months to respond, we could have dramatically curtailed what happened both in China and what’s now happening across the world,”
코로나 발생지인 우한에서 정보가 은폐돼 국제사회의 대응이 두 달 간 지연됐다는 이야기인데, 일각에서 제기한 중국의‘늦장 보고’를 지적한 겁니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SCMP)’신문도 지난 13일 자체 입수한 중국 정부 문서를 토대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최초 발견 시기가 중국 정부 발표와 달리 11월 중순이라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 신문은 지난해 11월 17일 우한에서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하루 평균 1~5건의 추가 감염 사례가 보고됐고, 한 달 뒤인 12월 17일에는 추가 감염 사례가 두 자릿수로 늘어났다고 전했습니다.
전염병과 역학 전문가인 미국 워싱턴대학의 조나단 메이어 명예교수는 19일 VOA에, 바이러스는 통상 실체가 명확하게 규명되기 이전에 전파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혹 제기는 충분히 타당하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조나단 메이어 교수] “You'll typically have circulation of the virus before it's actually detected. People just chalk it up to. Maybe it's maybe it's a virus that causes flu or maybe it's a virus that causes a common cold, that kind of thing. And it usually takes a while to recognize something new. So I think it's very reasonable to assume that it was circulating well before it was identified.”
이런 정황을 토대로 추론하면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초기 확산 시기는 1월이 아니라 적어도 12월 이전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만큼 전파 범위와 속도 또한 더욱 광범위하고 빨랐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12월부터 북한이 국경을 걸어 잠근 1월 말 사이 중국에서 북한으로의 인력 유입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12월 22일은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에 따른 북한의 해외 노동자 송환 시한이었습니다.
중국 내 북한 노동자 규모는 5만~8만 명으로 추산됐는데, 전문가들은 적어도 2~3만 명이 북한으로 돌아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 어느 정도가 코로나 발병 시기인 12월과 1월 사이에 돌아갔는지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유엔 시한을 전후로 중국 베이징과 접경 지역 등에서 북한 무역 주재원과 식당종업원, 노동자들이 대거 귀국하는 모습들이 현지 언론 등에 포착된 바 있습니다.
최소 천 단위 이상의 인력이 이 기간 북한으로 이동했다는 추산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특히 북한 해외 노동자의 90% 이상이 평양 출신이라는 점도 눈 여겨 볼 대목입니다. 청진의대를 졸업한 뒤 청진철도국 위생방역소에서 일하다 2012년 탈북한 최정훈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교수의 설명입니다.
[녹취: 최정훈 연구교수]“해외 파견 노동자의 90% 정도는 평양에서 선발합니다. 출신 성분 이런 걸 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10%는 다른 지역에서 보냅니다.”
북한에서 국경 봉쇄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강력한 이동 제한 조치가 이뤄진 점을 고려하면 북한 당국도 이 기간 중국 등에서 입국한 북한인들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우려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 당국은 또 3월 초까지 평양 인근 평안남도와 북도에 약 5천여명, 강원도 1천500여 명 등 1만명 규모의‘의학적 감시 대상자’를 지정해‘자가 격리’ 조치를 실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국경 봉쇄 이전 바이러스 유입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최정훈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녹취: 최정훈 연구교수]“노동자, 밀수꾼 등 국경 봉쇄하기 전에 중국에서 북한으로 많이 들어왔을 겁니다. 전염병은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단 1명만 감염돼도 확 퍼집니다. 확진자는 없다고 발표하지만 ‘의학적 격리자’는 1만 명 정도 되더라고요”
국경 봉쇄 이전 북-중 국경을 상시적으로 드나들었을 인력을 통한 전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왕래가 많은 북-중 접경 지역에는 북-중 두 나라 상인들이 상시적으로 북한 지역을 드나드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전국적으로 활성화된 장마당에서 거래되는 물건을 유통하는 밀수꾼들도 성행하고 있는데, 특히 12월과 3월은 북-중 국경 밀수의‘절정기’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에 망명한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입니다.
[녹취: 태영호 전 공사/ 지난 3일 기자회견]“북한에서는 12월부터 3월 초까지 북-중 국경 밀수의 피크입니다. 압록강과 두만강이 다 얼어붙어 있습니다.”
태 전 공사는 이런 밀수꾼들의 왕래는 국경 봉쇄 이후에도 완전히 차단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공식적인 봉쇄 이전에는 더 많은 왕래가 있었을 것이라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북한이 국경을 완전히 차단하기 이전 중국에서 얼마나 많은 숫자가 북한으로 들어왔고, 이 중 감염자가 포함돼 있는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이와 관련해 메이어 워싱턴대학 교수는 VOA에 중국과 북한의 지리적 인접성, 통상적인 유동 인구 등을 고려할 때 북한 내 코로나바이러스 전파가 없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조나단 메이어 교수] “It's really not very conceivable that they aren't having transmission in North Korea. And you know, particularly if the virus was circulating in China, in mid November.Your arguments are really really reasonable.”
WHO 발표에 따르면 19일 현재 북-중 접경 지역인 랴오닝성과 지린성의 코로나 확진자는 각각 125명과 93명에 달합니다.
VOA 뉴스 박형주입니다.
첫댓글 속은 썩어 문드러 졌을거고, 국제적인 관심사는 오로지 중국폐렴 뿐이다.
이러니 또 불장난한다! 관심 좀 가져달라고,..
이러다 엉뚱한데로 분출구를 찾으면 않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