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소설 봄봄 줄거리:
나의 장인어른은 악랄하기로 유명한 마름이다.
그는 머슴 대신 데릴사위를 열이나 갈아치웠다가 재작년 가을에 맏딸을 시집보냈다.
점순이도 세 번째 데릴사위감을 들였다.
나는 그의 세 번째 데릴사위이다.
네 번째 놈을 들이려다 장인은 내가 일도 잘하고 어수룩하니까 붙들어 둔다.
그러나 여섯 살인 셋째 딸이 열 살은 되어야 데릴사위를 할 터이므로
장인은 나를 결혼시켜 주지 않는다.
나는 데릴사위감으로 장인집에서 사경 한 푼 안 받고 일한지 벌써 삼 년하고 일곱 달이 되었다.
작년에 내가 사날 누워 있자 장인님은 울상이 되어 결혼시켜 준다고 나를 달랜 일이 있다.
그러나 기한을 정하지 않고 점순이가 자라면 성례를 하기로 한 애초의 계약 때문에 달리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어제 화전 밭을 갈 때 점순이가 밤낮 일만 할 것이냐고 했다.
나는 모를 붓다가 점순이가 먹고 키가 큰다면 모르지만 장인님의 배만 불릴 것을 생각하니
화가 난다. 나는 배가 아프다고 핑계를 대고 논둑으로 올라간다.
논 가운데서 이상한 눈초리로 노려보던 장인님은 화가 나서 논둑으로 오르더니 내 멱을 움켜잡고
뺨을 친다.
장인님은 내게 큰소리를 칠 계제가 못되어 한 대만 때려놓고 어찌할 바를 모른다.
장인을 혼내주고 집으로 가고 싶지만 남부끄러워 그렇게 할 수도 없다.
나는 장인이 될 장인을 구장댁으로 끌고 간다. 구장님은 당사자가 혼인하고 싶다는데
빨리 성례를 시켜주라고 한다. 장인은 점순이가 덜 컸다는 핑계를 또 한 번 내세운다.
이틀 뒤에 점순이는 구장댁에 갔다가 그냥 오는 법이 어디 있느냐면서 얼굴이 빨개져서 안으로
들어간다. 나는 아내 될 점순이가 병신이라고 하자 어떻게든지 결판을 내야겠다고 생각한다.
일터로 나가려다 말고 나는 바깥마당 공석 위에 드러눕는다.
대문간으로 나오던 장인은 징역을 보내겠다고 겁을 주나 징역가는 것이
병신이라는 말보다 낫다고 생각한 나는 말대꾸만 한다.
화가 난 장인은 지게 막대기로 배를 찌르고 발길로 옆구리를 차고 볼기짝을 후려 갈긴다.
나는 점순이가 보고 있음을 의식하고 벌떡 일어나서 수염을 잡아 챈다.
바짝 약이 오른 장인님은 나의 사타구니를 잡고 늘어진다. 할아버지까지 부르다가
거진 까무라치자 장인님은 나의 사타구니를 놓아준다.
나는 엉금엉금 기어가서 장인님의 사타구니를 잡고 늘어진다.
장인님이 할아버지라고 하다가 점순이를 부른다. 점순이는 내게 달려든다.
나는 점순이의 알 수 없는 태도에 넋을 잃는다
예전에는 농사로 생계를 이어가니 아들이 없는 집에서는 데릴사위로 농사를 지었다.
우리집도 딸만 둘이니 데릴사위를 들여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