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 손자병법의 오해와 진실
춘추전국시대
손무가 집필한
인류최고의 병법서로 평가받는 '손자병법'
위나라 조조는
손자병법을 두고
"이치가 가장 깊은 병법서는
오직
손자병법 뿐이었다."
라고 극찬한다.
이처럼 유명한 손자병법은
오늘날처럼
경쟁이 극심한 시대에도
훌륭한
영감을 제공해 주기에
경영, 마케팅,
스포츠 전력분야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손자병법은
승리(勝利)_이기는것 보다
불태(不殆)_
위태롭지 않은 것을 우선으로 한다.
손자병법 중에
가장 유명한 구절 중에 하나인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百戰百勝) 또는,
백전불패(百戰不敗) 라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한 문구는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百戰不殆)이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번싸워도 위태롭지가 않다.)
"전쟁이란
상대를 속이는 일이다'라고도
말한 병법의
대가 손자가
왜 승(勝)이 아닌
불태(不殆)를 논했으며
상대를
파괴하여 얻는 승리를
우선하지 않았을까?
'손자병법'의 핵심가치는
바로,
부전승(不戰勝)이다.
적의 국가를
온전히 보존한 상태로
이기는 것이 최상책이요,
적의 국가를
깨트려 이기는 것이 차선책이다.
그러므로 백번을 싸워
백번 다
이기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며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선 중의 최선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것 즉,
부전승(不戰勝)이
최선인
것이다.
상대와
싸우지 않고 이기기 위해서는
적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
파악 분석하고
그에 대한
우리의 강점을 극대화한다.
이것이 바로 지피지기
(知彼知己)이다.
정확한 정보로
필요한 공격만 가하여 살육을
최소화함으로써
무차별적 살육으로 인한
보복의 가능성을
최대로
낮출수 있게 된다.
(인간관계로 해석하자면,
상대에게
모멸감과 복수심이
들지 않게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것이 최선책이다.)
살육의 승리를
탐닉하는 자 말고
생명의 소중함을 아는 자가
결국 전쟁의 본질인
'복수의 악순환'을 통찰하는
자가 되어서
온전한 승리 곧,
복수를 최소화하여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승리,
즉 부전승
(싸우지않고 이기는)에
가까운
승리를 얻는다는 것이다.
이것이 불태
(나를 위태롭게 하지 않은)의
정신에 기초한
부전승사상
(不戰勝思想)의 본질이다.
손자는
적이 강하면 피할줄 알아야 하며,
스스로 흥분을 먼저하고
조급해하면
적의 계략에 휘말려
수모를 당하게 된다고도 했다.
내가 상대보다
약할 때도 있다는 것을
빠르게 인정할 줄 아는
현실적 사고에
기초한
판단을 잘해야 한다는 뜻이다.
객기를 부리면서
이기지도 못할 상대에게
맞서기보다는
내가 약하다는 것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피하는 것이
절대 부끄러운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중략)
나를 잘 파악한
상태가 되면
이를 바탕으로 나와 다른 남들도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지피지기의 원리이다.
이런 원리를 체득한 자는
백번을 경쟁해도
단 한번의
위태로움조차 허용하지 않는
그런 경지에 오른다.
손자천독달통신
(孫子千讀達通神)
(손자병법을 천번 읽으면
신과 통하는 경지에 이른다.)
손자병법을 천번 읽듯이
자기를 끝없이
관찰하고
능력을 키우면서
상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이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내 자신을
위태롭지 않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