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역학동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명리마당 歲始于東北
又新 추천 0 조회 252 24.02.06 19:14 댓글 4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2.07 00:02

    첫댓글 백서는 노자쪽이 아닌가요

    간궁은 소한,대한,입춘,우수

    艮卦: 立春、雨水、驚蟄

    만약에 8괘를 절기로 표기한다면
    {간궁이 입춘이다} 이렇게 단정하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 청명도 될 수도 있고 ...다른 절기도 해당 될 겁니다


  • 작성자 24.02.06 20:04

    帛書《二三子》 는 백서에 적인 구절을 제목으로 붙인 것입니다.

    백서는 종류가 다양합니다. 기록된 내용이 다 다릅니다. 여러 종류의 백서가 존재합니다.

    https://baike.baidu.com/item/%E5%B8%9B%E4%B9%A6/2740690?fr=ge_ala

    https://baijiahao.baidu.com/s?id=1666543697604388434&wfr=spider&for=pc

  • 24.02.06 20:46

    @又新 혹시 주역 원문에 절기배속표가 있으면 보여 주실 수 있나요

    주역 원문 아니면 올리시면 안됩니다

  • 24.02.06 20:01

    夏以建寅之月, 殷以建丑之月, 周以建子之月爲正
    하나라는 인월을, 은나라는 축월을, 주나라는 자월을 정월로 본다

    축월 해울 혹은 동지로 설을 정한 왕조가 있기 때문에
    위 내용이 절대적이 아니라는 겁니다

  • 작성자 24.02.06 20:08

    팔괘를 이용해 세시를 설명했다는 것입니다. 왕조의 채택여부는 각각의 사정에 달려있구요.

    주역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艮을 입춘으로 보는 것에 대해 동의합니다.

    절기배속표를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 24.02.06 20:55

    @又新 그렇습니까

    현재 입춘세수에서는 간방향을 그렇게 논할 수 있겠지만요
    주나라 같은 경우에는 자월 세수인데 그럼 감괘가 되는 자수방위가 입춘이 되겠네요
    그래서 의문을 제기한 겁니다

    원칙적으로는 간방위와 절기는 바뀌므로
    명료하게 밝히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논쟁은 있어어도 확실한 규명이 안된 겁니다
    그건 마철이장님 말때로입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24.02.07 00:28

    그게 그렇지 않습니다

    절기는 왕조마다 달라서 배치 방향이 달라져요
    그게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주나라는 자월에 세수이므로 자월부터 해가 바뀌는 겁니다
    그럼 동지가 자월방위인데 한 겨울부터 해가 바뀌는 것이죠
    [실제적으로는 주나라는 동지부터 겨울이 아니라 봄이 일찍 왔을 것으로 짐작을 함]
    이건 자월을 입춘으로 하였다는 말인데 자월이면 북쪽이고 감괘이니 간방이 되지 못하는 것이죠

    아니면 자월은 동지로 고정하고
    인월은 입춘으로 고정하는 것은 맞다

    이렇게 논한다면

    그럼 동지에 모작을 준비한다는 이야기가 되면서
    그 이후에 입춘이라는 봄이 오는 것인데
    그러면 모작[모씨앗제배]한 다음에 봄이 오는 것이므로
    동지와 입춘이라는 용어 자체가 안 맞는 겁니다
    동지는 깊은 밤인데 밤이 깊은 시기에
    논농사를 위해 밤중부터 모작 준비하기는 어려운 겁니다
    고로 용어 자체가 성립이 안됩니다
    즉 전혀 이해관계 성립이 안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 24.02.06 20:17

    이게 초첨이 또 흩어졌어요
    원래 이런 초점이 아니고


    기운이 입춘부터 오는가
    아니면 동지부터 오는가

    입니다

    그러므로 이 대목에 대한 답변을 해주세요

    자꾸 끝말잇기로 토론이 나가면요
    상당히 피곤합니다


  • 24.02.07 02:26

    여담으로

    현재는 별자리가 입춘세수이므로
    입춘이 후에 아마도 모심기하겠는데
    동지에서는 모심기를 못하겠죠 한겨울이니까요
    그런데 만약 주나라가 자월세수라면
    자월이후에 모심기를 했을 겁니다 날씨가 그만큼 따듯했다고 보는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명칭입니다
    왜냐하면 동지는 깊은 밤이므로 깊은 밤중에 모작 준비하기 어려운 겁니다
    한 해가 가장 깊은 동지에 한 해가 시작이 될 수가 있겟습니까
    그래서 자월을 동지라고 불렀다면 용어도 안 맞으며 또한
    동지가 시작점이지 입춘은 아니라는 겁니다
    최초의 고대 국가의 한 해의 시작점은 동지라는 겁니다

  • 24.02.07 02:26

    제가 말하려는 게 이부분입니다

    주자가 말한
    [입춘에서 한해가 시작이 된다]
    이걸 은나라 혹은 주나라 왕조에서 말한다면 아마도 맞지 않으므로
    확실하다고 규명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艮卦,統領立春、雨水、驚蟄

    고로 이 글귀도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간이 우수, 청명도 해당되는 방위이니까요

  • 24.02.07 02:28

    두 번째는

    주나라 자월 세수가 설날이므로 그 해의 시작을 알리는 것인데
    그럼 동지에 모를 심기를 준비하는 것이고 입춘에는 봄이 오는 것이므로
    겨울에 모를 심는 준비를 하고 그 이후에 입춘이라는 봄이 오는 것이니
    [이건 보리 재배도 아니므로]
    동지와 입춘이라는 용어가 전혀 시대에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고로 동지=입춘이 되야 하는 게 맞습니다
    그러면 자월의 동지세수가 입춘이므로 입춘은 간방위다
    이것도 틀리는 겁니다 자월은 감괘로 북쪽이니까요

  • 작성자 24.02.06 21:08

    @갑진 절기는 왕조에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팔괘에 절기를 배속하는 것도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고대에 시안쪽 기후는 아열대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코끼리가 살았다고 합니다.
    기후에 따라 설 명절과 행정적 법적 세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절기와 기후를 혼동하시는 것 같습니다.

  • 24.02.06 22:21

    @又新 뭔가 혼동하신 것 같아요
    왕조가 변하면 대부분이 지구축 중심의 있는 북극성 자리가 변해요
    고로 사계와 계절의 변화가 오는 겁니다
    세수ㅡ변화이죠
    24절기는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든 겁니다
    그동안 달력으로는 정확하지 않았으니까요
    달력을 사용한 시절에는 오월에도 눈이 내렸다는 기록이 잇습니다
    이걸 보완하고자 양력을 겸해서 사용한 겁니다

    그래서 기후가 안맞게 되면 절기도 안맞는 겁니다

    그래서 현대는 시간교정도 하는 겁니다

    오흐 9시가 되었는데에도 대낮인 경험 해보셨지 않습니까
    그러면 시간을 7시로 줄여야 합니다

    이게 오래되면 그 해의 시작도 바뀌는 것이고
    날씨가 일찍 따뜻해지기도 합니다

    그러면 세수가 조정되는 겁니다

    여기서\
    입춘이라는 절기를 그대로 두고 동지세수로 바뀐다면
    제가 말한대로

    모심은 다음에 봄이 오는 것이니까

    말 뜻이 전혀 안맞겠죠

  • 24.02.06 21:55

    @갑진 동지세수를 하였다면

    내 생각에는 봄이 일찍 온 것이므로
    동지이 후부터 모심기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때문에 절기가 존재하는 것이니까요

    그러면 동지라는 용어 자체가 안맞는 겁니다
    밤이 깊은데 모작 재배해야 하고 모심기 준비 어떻게 합니까
    어느 정도 날이 풀려야 준비를 하죠
    그래서 입춘을 기다렸던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주나라시절에 동지세수라고 하였지만
    날씨가 동지부터 온화하여 농사 준비에 부담이 없었을 겁니다
    그래서 동지라는 용어가 [밤은 깊다]이므로 사용 못했을 것이라고 보고
    입춘세수라고 사용할 수도 있었다는 점을 추정하는 겁니다

    날짜 변화와 농사 용어가 동일해야 하고
    절기 용어가 맞아야 하는 겁니다

  • 24.02.06 21:28

    @又新 만약 현대 이상기후로 인해

    동지에 눈이 다 녹고 봄이 와서 꽃이 핀단고 생각해 보세요

    그게 하루 해도 아니고 약 50년 이상을 똑같다라고 생각해 보세요

    그럼 입춘에 모심기 준비하던 농사꾼은 절기력 보다가 다 망합니다
    때를 놓쳐서요

    동지부터 봄철이 되면 입춘에는 모작 준비 들어가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그 시기를 놓치는 겁니다
    그래서 동지세수를 결정하는 배경인 겁니다\
    곧 동지가 입춘이다 모농사 때를 놓치지 말아라
    이걸 알려주는 겁니다

    날시가 절기와 기후가 똑같으면 뭐하려 동지세수 합니까
    그대로 입춘세수하죠

    뭔가 혼동하신 것 같아요

  • 24.02.06 21:25

    그만 하죠

    시간낭비 같네요

    글은 후에 삭제합니다

  • 24.02.07 00:05

    지축이 변한다고 계절이 바뀐다?는
    어쩌구니 없는 주장을 하는 분..


    계절이 왜 생기는지 공부좀 하세요.
    중딩들도 앎.


    지축이 변해 계절이 바뀌다고 주장하는 증산도 무지한자들의 말을 믿나?


    지금까지 지축이 90도로 바로선적이 한번도 없었다.


    지축은 원을 그리며 변한다.

    팽이 축이 힘떨어지면 타원을 그리듯..


    고대로 지축의 각변화는 22°~24°
    내에서만 변해왔다.

    그것도 아주 오래전.. 1만년 이전에..


  • 24.02.07 00:47

    선천팔괘에서는 간방이 북서인데

    문왕팔괘에서는 간방이 북동이다

    그래서 간방은 자리 변동이 있으니 고정할 수 없는 것이다

  • 24.02.07 00:08

    몇일전 입춘인데..

    입춘인데 왜 겨울일까?


    이렇게 추운데 봄이라고 하는 이유가 뭘까?


    깊고깊은 선현들의 이치를 궁구할 생각은 안하고..


  • 24.02.07 00:11

    그게 하루이틀 가지고 평균이 나오냐?


    수세기 걸쳐 나오는게 세수이다

    그래서 몇백년이 최소기간이고 1000년을 기준으로 하기도 한다

    동영상 좀 보고 말해라

    그래서 10년주기로 보면 어느 해에는 봄이 이르고 어느 해에는 봄이 늦고 한다

  • 24.02.07 00:11

    자꾸 내글에 댓글다네

    피곤하네 참

  • 24.02.07 00:13

    @갑진 나 요즘 보는 동영상은 양자역학인데?

  • 24.02.07 00:11

    완고하다는..의미는?

    어리석고 자기 고집만을 주장하는 자를
    완고하다 말하는것임.

  • 24.02.07 02:31

    동영상 자료 보고 말해
    내 주장 아니거던

    날씨가 변한다는 것은 천문학적 자료에서 증명이 된 것이다

    한 겨울 동지를 세수로 정할 수 있다고 보면

    동지에.. 일년 중에 가장 깊은 밤인데...

    어떤 왕조에서 그런 밤이 깊은 시기인 동지에 동지 세수로 한 해의 시작점으로 결정 하겠냐?
    무슨 드라큐라 왕조도 아니고 참.....ㅋ

  • 24.02.07 00:20

    @갑진 잠이나 잘난다.

    요즘 양자역학이 화두다.

    내가 그대 이름을 불러주기 전엔..
    그대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존재요.

    내가 그대 이름을 부르는순간..
    그대는 나에게..

    이게 양자역학이다...ㅎ


    ㅎㅎㅎ

  • 24.02.07 12:10

    https://youtu.be/tXYrwBYQhFA?si=ASztF90MEzTaeVbi

    참고들하세요

    13000년 정도 완전히 계절이 북/남반구로 위치가 바뀐다는 견해임

    세차운동 중에 공전을 하다가 다시 역행 하는 공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 축월 세수/ 인월세수가 오락가락하는 겁니다
    주나라는 대략 3000년전이므로 13000년 주기로 보면 4분의 1주기입니다
    그러면 그 기간은 겨울철에서 봄으로 변하는 시기가 됩니다
    즉 동지 혹은 상강[해월, 자월]에서 봄이 일찍 시작이 되엇다는 증거입니다
    역사적 기록물이 천문과학애서 증명이 되는 순간입니다

  • 24.02.08 23:08

    백서는 마왕퇴백서로 보이네요. 추정은 전한초 정도 될겁니다 여기에 주역등 있습니다. 방위는 전국초 유물에서 28수 관련된 유물이 출토(증후을묘) 되어 방위의 개념은 이미 있었습니다. 여기엔 사신도와 북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28수는 고정된 별을 봐야 하기 때문에 방위는 필수 개념으로 없으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대체로 한나라시대에 모두 정립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잛은 시간에 정리된거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전에 계속적인 개념이 있었겠죠. 춘추와 주역에는 확실한 문구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있었다면 논쟁거리가 아니죠. 동북방이 인월은 유물이 출토되기 전까지는 전국시대이후 한나라부터라고 보시는게 현재까지 정설일 겁니다. 그 이전에는 절기가 8개가 된적도 있고 합니다. 정월이 입춘 쯤으로 된건 태초력으로 알려진겁니다(사기) 음력과 절기가 점점 맞지 않았기 때문에 전한시대에 한무제가 11월을 동지로 고정하였습니다. 마왕퇴는 전한시대 초로 추정하니 대략 100년 이내 차이가 나지 않았을까 싶네요. 그 때라면 전욱력 같은데 전욱력은 10월 세수로 하였지만 인을 정월로 하였습니다

  • 24.02.07 10:24

    음력 1월1일이 세수입니다. 입춘과는 또 다르죠. 명리, 기문, 육임, 자미 등등 명반을 작성하는 기준이 모두 다릅니다. 모두 날짜를 기준으로 하고 있는데 그 중에 명리는 자미와 달리 음력의 세수를 사용하지 않고 절기를 사용합니다. 그냥 명리서에 메카니즘이 있으니 그걸 따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명리는 계절을 중시하니까요. 사시에 따른 정령등등....

  • 24.02.07 10:59

    @마철이장 찾아보니 마왕퇴무덤은 전한시대네요. ^^ 전국유물인듯하나 전한 초로 수정합니다. (정욱력을 전욱력으로 수정했습니다. ㅠㅠ)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1:5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8:55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2:01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5:1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5:13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5:20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7:07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7:19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2.07 17:23

  • 24.02.07 15:17

    경방 괘기설이 참조가 될거 같습니다.

  • 24.02.07 13:45

    네 감사합니다
    결국 주역본의에는 절기 설명이 일체 없는 것 같네요
    후대 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절기 설명 주석들은 있어도요

    제가 주역을 짧게 연구한 바로는 주역은 우주만물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을 팔괘로 표현했다고 전해지므로
    주역은 괘상과 상수학을 가지고 만물의 상을 표현한 겁니다
    따라서 이러한 괘상에 절기가 들어가면 그 뜻이 훼손이 되어 망령됩니다
    [왜냐하면 보시는바처럼 입춘은 절기력이 기준이고 괘상은 자오선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 둘의 기준이 서로 달라 지금처럼 [동지가 시작이다 아니다 입춘이 시작이다]
    이렇게 내용이 둘로 갈리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어찌 동지를 시작으로 한다는 역경에 반하는 절기력으로 주역본의를 이해할 수가 있겠나요
    아래 주역에 관련한 중요한 자료들을 보면 절기력을 다루었다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https://namu.wiki/w/%EC%A3%BC%EC%97%AD

    고로 후대에 와서 절기를 다룬 학파가 생겨난 것같습니다만

    주역의 괘는 복희괘를 시작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복희괘는 문왕괘와 방위가 전부 다릅니다
    그런까닭에 방위와 절기를 연결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문왕 이후에 괘가 안착이 되면서 절기력도 들어오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