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주사"는 약 1,400년 전, 신라에 불교가 들어온지 24년째인 진흥왕 14년(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한 후 제33대 성덕여왕 19년(720년)에 중건하였다. 이때에 중건하면서 지금 남아 있는 쌍사자석등ㆍ희경보살ㆍ석연지ㆍ사천왕석등 등을 조성하였다. 이름을 법주사라고 한 것은 의신조사가 서역에 갔다 돌아올 때에 경전을 싣고 와서는 이곳에 머물렀다는 설화에서 유래되었다.
금산사를 창건한 진표가 그의 제자 영심 등을 시켜, 속리산의 길상초가 난 곳에 길상사를 짓고서 교법을 펴게 하였다. 이에 혜공왕 12년(776년)에 영심 등이 중창하여 미륵신앙의 중심 도량이 됨으로써 큰 절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 뒤에 고려 숙종 6년(1101년)에 숙종이 직접 그의 아우인 대각국사 의천을 위해 인왕경회(仁王經會)를 이 절에서 베풀었는데, 3만명의 승려들이 모였다
조선시대엔 태조가 상환암에서 기도했고, 또 세조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복천암에서 3일 동안 법회를 열기도 하였다. 영심이 중창한 이래, 이곳은 왕실의 비호를 받으며 8차례 중수를 거쳐 약 60동의 건물과 70여 개의 암자를 거느린 큰 절이 되었다그러나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인조 2년(1624년)에 벽암 각성이 중창하였다. 그 뒤 수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속 암자로는 수정암ㆍ복천암ㆍ중사자암ㆍ여적암ㆍ 탈골암ㆍ상환암ㆍ상고암ㆍ동암 등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해, 팔상전ㆍ극락전ㆍ천왕문 ㆍ금강문ㆍ마애여래의상ㆍ사천왕석등 등이다. 법주사 경내에 있는 팔상전은 국보 제55호로 지정돼 있다. 현재의 "팔상전"은 17세기의 초반에 건립되어 1968년에 해체 복원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팔상 벽 네 면에는 각면 2개 그림씩 8변상도(八變相圖)가 그려져 있어서 팔상전이라고 불려진 것이다. 기단은 돌로 낮게 2단을 쌓았고, 그 위에 갑석을 얹었으며, 4면에는 돌계단이 있다.
탑신은 1층과 2층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5칸, 3층과 4층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이고, 마지막의 5층은 정면과 측면이 각 2칸의 정방형으로 되어 있고, 1층 중간에만 문비를 달고, 나머지는 창을 달았다. 공포는 2출목으로 1층부터 4층까지는 기둥 위쪽에만 놓이는 주심포식이고, 5층은 공간포(空間包)가 있는 다포계 양식이다. 지붕은 사모 지붕의 형식이며, 그 상부에 석조 노반과 철제 오륜의 상륜부가 온전하게 남아 있다.
속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법주사는 553년(신라 진흥왕 14년)에 창건하였으며 의신조사가 인도에 갔다가 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이 절에 이룩하여 머물렀기 때문에 법주사라 이름 하였다 한다. 법주사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성덕왕 때 중건하였는데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물은 쌍사자석등, 석련지, 사천왕석등 희견보살상, 철확, 석옹, 석조등이 남아 있고 이곳에 무물러 살았으며 유물은 마애여래의상과 1342년(충혜왕 3년)에 세운 자정국존비와 1362년(공민왕 11년)에 세운 세존사리탑 등이 있다.
 석련지
대중교통
- 청주로 오세요.
- 청주~속리산
- 직행버스 이용 (1:30 소요)
06:30-20:35, 10분 간격 운행
- 청주로 오세요.
- 청주~보은
- 직행버스 이용 (1:00 소요)
06:30-20:35, 10분 간격 운행
- 보은~속리산
- 직행버스 이용 (0:20 소요)
05:45-20:10, 10분 간격 운행
- 청주로 오세요.
- 청주~보은
- 직행버스 이용 (1:00 소요)
06:30-20:35, 10분 간격 운행
- 보은~상판리
- 시내버스 이용 (0:20 소요)
1일 6회 (08:00,10:30,12:00,14:30,16:20,18:30) 운행
- 대전으로 오세요.
- 대전~속리산
- 직행버스 이용 (1:40 소요)
05:30-20:20, 30분 간격 운행
- 상주로 오세요.
- 상주~속리산
- 청주행 직행버스 이용 (1:00 소요)
05:30-20:30, 20분 간격 운행
- 상주로 오세요.
- 상주~시어동
- 화북행 시내버스 이용 (1:30 소요)
1일 7회 (08:05,09:35,11:15,13:15,15:00,16:35,18:05) 운행
도로안내
- 서울~법주사
- 청원 I.C로 오세요.
- 경부고속도로 이용 (131.2km, 1:40 소요)
- 청원 I.C(청주 방면)~척산(남이면)~삼거리(우회전)~고은 삼거리
- 17번 국도, 32번 (구 506번) 지방도 이용 (12km, 0:15 소요)
- 고은(우회전)~구말이 삼거리(우회전)~인차(가덕면)~중앙(화북면)~보은
- 25번 국도 이용 (37.5km, 0:45 소요)
- 보은(속리산 방면)~이평교~오심이~말티재(말치 삼거리)~속리산 주차장
- 25번 국도, 기타 도로 이용 (14.6km, 0:25 소요)
- 부산~법주사
- 옥천 I.C로 오세요.
- 경부고속도로 이용 (260.8km, 3:15 소요)
- 옥천 I.C~옥천(보은 방향)~석호~정방 삼거리(좌회전)~발산~보은
- 37번 국도 (후반 25번 국도 공용) 이용 (35.4km, 0:45 소요)
- 이후는 서울과 동일
- 대구~법주사
- 옥천 I.C로 오세요.
- 경부고속도로 이용 (138.2km, 1:45 소요)
- 이후는 부산과 동일
- 광주~법주사
- 옥천 I.C로 오세요.
- 경부고속도로 이용 (184.5km, 2:20 소요)
- 이후는 부산과 동일
- 대전~법주사
- 옥천으로 오세요.
- 이후는 부산과 동일
- 강릉~법주사
- 청원 I.C로 오세요.
- 경부고속도로 이용 (255.7km, 3:10 소요)
- 이후는 서울과 동일
- 법주사 지구에 민박 다수 (043-542-5281~8)
- 화양리에 민박 다수 (043-832-4282, 832-4310, 832-4566)
- 법주사 지구에 야영장 이용
- 속리산유스호스텔(043-542-5211~5), 화양유스호스텔(043-832-8801~5) 이용

- 산채비빔밥, 도토리묵, 산더덕구이, 올갱이국, 한방백숙, 동동주, 머루주
- 충미식당 (043-543-3715) : 산채정식
- 경희식당 (043-543-7573) : 전통 한정식
- 왕솔장가든 (043-543-3634) : 산채정식, 배추국
- 풍미식당(043-543-3715), 어래식당(043-543-3568) : 산채비빔밥, 더덕구이

속리산, 대청호, 서원계곡, 삼가저수지, 서당골 관광농원, 삼년성, 만수계곡
- 8봉 8대
- 8봉 (여덟 개 봉우리)
비로봉, 길상봉, 문수봉, 보현종, 관음봉, 묘봉, 수정봉
- 8대 (여덟 개 대)
문장대, 입석대, 경업대, 배석대, 학소대, 신선대, 봉황대, 산호대
- 속리산의 다른 이름
광명산, 지명산, 미지산, 구봉산, 혀제산, 소금강산, 자하산
- 화양구곡(화양9곡)
- 제1곡 경천벽ㆍ제2곡 운영담ㆍ제3곡 읍궁암ㆍ제4곡 금사담
- 제5곡 첨성대ㆍ제6곡 능운대ㆍ제7곡 와룡암ㆍ제8곡 학소대ㆍ제9곡 파천
등산코스 :
- 1코스 (12.6km, 6:00)
법주사-세심정-천황봉
- 2코스 (12.2km, 5:00)
법주사-세심정-문장대-신선대-경업대-금강골-법주사
- 3코스 (10.6km, 4:10)
법주사-세심정-비로산장-상고암-천왕봉-상환암-세심정-법주사
- 4코스 (6:00)
시어동-오송폭포-문장대-신선대-비로봉-정상-상고암휴게소-법주사
- 5코스 (11.6km, 4:20)
법주사-세심정-복천암-중사자암-문장대-경업대-비로산장-세심정-법주사
- 6코스 (15.8km, 6:20)
일주문-법주사-태평휴게소-세심정-복천암-용바위골-보현제-냉천골-문장대- 세심정-법주사
- 7코스 (16.5km, 8:10)
일주문-세심정-비로산장-경업대-신선대-입석대-비로봉-천황봉-사옥암-상환암-세심정-법주사
- 8코스 (15.8km, 6:20)
속리산 관리사무소-일주문-법주사-태평휴게소-세심정휴게소-복천암-용바위 휴게소-보현재휴게소-냉천골휴게소-문장대-보현재휴게소-세심정휴게소-법주사 -관리사무소
특산물 : 송이버섯, 영지버섯(구입 : 043-542-4963)
축제 : 속리축전 - 시기 : 5월 중 - 장소 : 속리산 일원 - 행사 : 천황봉산신제, 탑돌이, 대추아가씨 선발대회, 농악경연대회 등 - 단풍가요제 : 10월 중
입산통제 : 산불예방을 위해 개방등산로외 전지역 통제 - 시기 : 춘계 (3.1~5.31), 추계 (11.15~12~15) - 개방 : 법주사~문장대~시어동, 법주사~경업대~문장대 - 자연휴식년제 : 장각마을 ~ 비로봉, 쌍곡폭포 ~ 살구나무골 (99년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