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한 겨울, 지리산 산행을 마치고 내려 오는 길에 산골마을의 한 집에서 아궁이에 불을 지펴 밥을 짓는 모습을 보고 부엌으로 발길을 옮긴 적이 있다. 늦은 하산 길에서 본 이 정겹고 그리웠던 모습에 귀신에 홀린듯 발길은 부엌으로 향했고, 아궁이 불빛이 얼굴에 가득한 할머니에게 불을 한 번 넣고 싶다고 청했다. 땀에 젖은 등산복 차림의 사람에게는 불이 제일이라 생각했던지 부지깽이를 건네주셨다. 짤 쪼갠 마른 장작 몇 토막을 아궁이에 넣고 이리저리 불꽃을 건너 이으니 달아오른 열기에 용광로 쇳물보다 붉은 빛을 내면서 잘도 타 올랐다. 아궁이 불 앞에 앉아 본 적이 얼마만인가? 하염없이 불빛을 바라보니 내 어릴 적, 이 모습으로 앉아 있으면서 역었던 이야기가 실타래 풀리듯 풀려 나왔다. 조상들이 불을 조심스럽게 다루는 모습을 처음 본 것은 어릴 적 우리 가족이 분가할 때였다. 이삿짐에 꼭 챙겨야 할 것은 요강도 있었지만 할머니는 장손인 나에게 불씨를 들려 주셨다. 건네 준 불씨를 오지그릇에 담아 새집으로 가져 갈 때에는 무슨 영문인지 몰랐지만 조상들이 재속의 불씨를 귀중히 다루는 한 의식임을 안 것은 한참 뒤였다. “시집 온 색시가 불씨를 잘 못 다뤄 쫓겨났다”는 소문도 뒤에 들었다. 그런 불상사는, 사람은 유한한 생명체이지만 불씨는 불을 피우고 다시 불씨로 이어지는 영원한 생명체이기 때문이었으리라. 옛날에도 성냥은 있었지만 긴급할 때 사용할 물건이었기에 대부분 화로의 재속에 묻어 둔 불씨로 아궁이 불을 일구었다. 그래서 어른들은 아궁기의 숯불을 화로 재 속에 묻고 인두로 잘 다독거려 두었다가 아침에 그 재 무덤을 허물고 채 삭지않은 불씨를 검불에 옮겨 입으로 불면 활활 타는 아궁이 불이 되었다. 나는 아궁이에 불넣는 것이 참 좋았다. 그래서 대체로 불 넣는 담당은 나였고, 당연히 밥 지을 때는 내가 아궁이 앞에 앉아 있었다. 그럴 때 기쁨의 하나는 주위에 열기를 퍼뜨리면서 휘황한 불꽃으로 타 오르는 것을 보는 것이었다. 아궁이 불은 뜨겁기보다 따뜻했고 구수한 냄새도 났다. 어릴 적 들었던 ‘거지는 모닥불에 살찐다’라는 말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인 것 같았다. 불을 땔 때에는 양 무릎을 벌리고 앉는데 이 자세는 따뜻한 불기운을 아랫도리에 쪼이는 데 최고의 포즈였다. 불기운의 따뜻함과 구수한 불 냄새, 너울거리는 주황색 불길에 시선을 빼앗긴 채 공상에 잠겨보는 것도 참 좋았다. 밥이 끓어 무쇠솥뚜껑 사이로 수국같은 흰 거품이 퍼져 나오면서 풍기는 구수한 밥 익는 냄새는 어떻게 표현할까? 그런 것들 때문에 누가 시키지 않아도 불을 지피고 넣는 것이 좋았고 기다려졌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불을 때고 있으니 산행의 피로가 몰려 와 온몸이 노곤해지고 아궁이 불에 아랫도리가 떳떳했다. 혀를 날름거리며 땔감을 잘도 먹는 아궁이 불의 남은 불씨들....이제 남은 것은 오직 이 불멸의 씨앗인 불씨뿐이다. 그 불씨는 내 가랑이 사이에 있는 생명의 불씨이다. 무심히 불씨 앞에 앉아 있으니 어둑한 저 지리산 너머에서 '인생 인생 우리 인생, 불 전하러 온 인생, 어이 어이'하고 슬프게 달구질 노래를 하는 조상들의 소리가 들리는 듯했다. 기억이란 참으로 이상하다. 어떤 것은 잊으려 해도 계속 기억이 나는가 하면, 어떤 것은 아무리 애를 써도 아주 오랜 것처럼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저 달구질 노래와 불씨의 영혼은 다르다. 큰 산 밑이라 그런지 주위가 갑자기 어두워졌다. 이제 일어날 시간이다. 부지깽이 끝에 살아있는 불씨를 털고 일어서면서 이곳 산골 마을에서 대대로 꺼지지 않고 이어져 왔고, 또 앞으로도 이어져 갈 재 속의 불씨를 묵묵히 바라본다. 엉뚱하게 불씨는 환영처럼 속삭이며 내게 묻는다. ‘인간은 어디서 왔는지도 모르게 세상으로 여행을 떠나온 한 고독한 영혼인 것을... 당신은 어떤가요? 나는 죽어서 불을 피우지만 당신은 당신이 원하는 삶을 찾았나요?’라고... 아궁이에 불을 넣으면서 잠시 잊어버렸던, 내가 원하는 운명과도 같은 삶을 마침내 발견한다. 인간의 삶은 어린 시절에 잃어버린 한 두 개의 꿈을 되찾으려는 긴 여행이라는 것을 이제야 깨닫게 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