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SZ-006C1 Z-PLUS 제타플러스(사병용)


센티넬 배경지식 우주세기 0087년 티탄즈 잔당인 뉴디싸이즈와 에우고 신정권에
의한 연방군 토벌대와의 교전은 치열이 극에 달하면서 최고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일보직전에 뉴디싸이즈를 놓친 토벌대는 완전히 그자체가
붕괴되고 페가서스3만이 가장 항속이 빠른 이유로 단독으로 함대를 쫓는 임무를 맏게 되었다. 한편,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월면을 탈출한
뉴디싸이즈였으나 파이롯트는 물론 마스드라이버로 공격당한 MS의 대부분이 파손되었다. 두목인 브레이브 코트를 잃어 지휘를 맡게된 토슈클레이는
앞서간 에이노 함대의 기함 블르런과 합류한 후에 고안한 작정은 지구 저궤도에 위치한 연방군의 후방 보급기지인 "펜타"를 기습하여 MS를 조달.
그후 셔틀에서 다칼시에 하강하여 연방의회를 장악하자는 것이였다. 뉴디싸이즈에게 있어서 다행한 일은 연방회의의 개회기간 이어서 안성마춤이었다.
펜타를 정복한 뉴디싸이즈의 권력에 못미치는 페가서스3는 기체수가 맞지 않아 S건담은 A/B/C의 3파트로 분리시켜, 2기의 Z플러스와 함게
편대를 짜서 펜타로 향했다. 리올루트 MS대가 펜타 도착직전 블르런과 함께 에이노 제독이 그들에게 투항. 에이노의 의지는 진짜가 아니라, 이것은
토슈들 뉴디싸이즈의 멤버들이 "시간벌기"의 작전으로 이사이에 뉴디싸이즈는 3기의 셔틀로 분승하여 제크쯔바이를 싵고 사칼시를 향하여 펜타를 뒤로
하고 있었다.
뉴디싸이즈의 셔틀 발진을 보고 뒤쫓아간 페가서스3 MS부대는 대기권 돌입직전에 매우 위험한 상태에서 전투에
들어갔다. 셔틀로부터 제크쯔바이를 발진시킨 토슈클레이, 조슈오후슈에 대하여 리오우, 데크스, 크리프트는 A/B/C파트를 전투중에 강인하게
합체시켜 Z플러스 2기와 함께 교전. 경이적인 기동성과 공격력을 보이는 제크쯔바이, 그러나 S건담에 극비리에 탑제되었던 [교육형 컴퓨터]는
제크쯔바이를 그리고 셔틀을 파괴시키게 되고 대기의 벽을 목전에 둔 뉴디싸이즈의 야망을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이한건은 다시 연방군내의 결속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네오지온군은 아직 초기단계였다고 한다.
기체설명 Z plus는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가 개발한 MSZ-006·ζ(제타) 건담을
대기권내 장거리 비행용의 가변 MS로 재설계한 것이다(A1 형태). A1 형태의 생산수는 소수이지만 지구상에 있어서 카라바에 의해 대단히
유효하게 사용되었다. 이것을 다시 한번 우주용으로서 재설계했던 것이 MSZ-006C1이다. C1 형태는 진공 내에서의 냉각·생명 유지 장치를
추가하고, 엔진,프로펠런트 탱크 용량의 개선, 윙·바인더와 테일·스테이블라이저 사이에 소형의 열핵 제트를 4기 넣은 백 팩을 장비한 타입이다.
무장은 A1 형태로 개발된 무버블·프레임 지지의 빔·캐논이 1 문씩 대퇴부에 장비되고 있다. 옵션 무장의 빔·스마트 건에는 디스크·레이돔에 의해
아웃 레인지에서의 저격에 있어서도 높은 명중율을 올리는 것이 가능했다.
Z plus의
형식 번호 A1: 대기권 내 타입으로 006계를 양산한 타입. 우주 활동용 각 시스템의 생략,대기권 내용의 윙
바인더의 채용 등 외관은 006과 꽤 다르다.
A1B: A1 형태를 공격기로서 개량. 기수에 6 문의 개틀링포, VG 날개 밑면에
좌우 계 4부분의 하드 포인트가 설치됐다. 소수가 생산되었다.
B:훈련용. A1 형태를 개조했다.
복좌기(2인승).
BN: A1 형태에 대지·대함 공격 임무에 적합한 개량을 포함. 주익과 수직 안정판을 대형화, 비행용 서브 유닛에
열핵 팬·제트·엔진을 2기 탑재, 센서 같은 종류도 임무에 적합 한도에서 교환하였다.
C1: 우주용. WR 모드만의 한정이지만
MSA-0011과 동시에 개발된 부스터·유닛을 팔다리의 변신 부분에 4기 장비한 C1[Bst](통칭 허밍버드)가 계획되고
있었다.
C1/2: C1 형태에, 두부에 하이·메가·캐논을 장비.
C4: 저 궤도∼대기권 상층용. 쇼크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는 플라잉·아머를 장비한 타입.
키트설명 건담센티넬」에
등장의 제타플러스 C1 전작인 아므로 레이버젼 A1의 마이너 아이템. 동일한 변형 구조이지만 무장이 약한 A1에 비해 대형의 빔스마트건이
압권!
세부디테일은 조정석 해치 개폐식으로 내부도 디테일하게 재현. 뒤쪽의 테일 스테빌라이져, wing은 가동식. 빔 캐논은
가동식. 빔세이버는 착탈 가능. 다리 내부 프레임도 재현. 무릎부의 케이블에는 메쉬 파이프를 사용.
발매 일자: 2002년
2월 |
첫댓글 캬 멋찌다
머지죠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