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Focus] Hyperlocal e-commerce platforms taking off amid disputes over taxation (뉴스 포커스) 과세논란속에 초지방적 이커머스 플랫폼이 유행
당근마켓이 중고품시장 거래 플랫폼에서의 성공을 중심으로 중고품시장의 이커머스 시장의 형황을 알아봅니다.
Danggeun Market's trailblazing success sending shockwaves throughout Korea's mobile e-commerce market, sparking a boom of community-based trade of used items
당근마켓의 선구적인 성공은 한국의 모바일 이커머스시장에 충격파를 던졌고 중고품의 지역사회에 근거한 거래의 붐을 촉발
By Yang Sung-jin 양성진 기자
Published : Oct 13, 2021 - 18:13 Updated : Oct 13, 2021 - 18:13
Korea Herald
Trading of secondhand goods is nothing new. But when it is combined with a convenient mobile app and hyperlocal community functionalities, something radically different can be envisioned.
중고품을 거래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편리한 모바일 앱과 초지방적인 기능과 결합할 때는 전혀 다른 것이 생겨난다.
A striking case in point is the soaring success of Danggeun Market, a startup which has popularized hyperlocal e-commerce app Karrot. “Danggeun,” which means carrot as well as an abbreviation for “in your neighborhood” in Korean, is now a symbol of mobile secondhand item trading here.
놀랄 만한 경우는 인기있는 초지방적 이커머스 앱인 당근마켓의 치솟는 성공이다. “당근”은 한국어로 먹는 당근이라는 뜻 외에 “당신의 근처”라는 말을 축약한 것으로 이제는 모바일 중고거래의 상징이 되었다.
According to data by Mobileindex, the number of people using secondhand marketplace apps has jumped 141 percent on-year to 16.4 million as of April this year. Of the total, Danggeun Market’s share reached 93 percent, holding an absolute grip on the rapidly-growing sector.
모바일 인덱스의 데이터에 의하면 올해 4월현재 중고시장 앱 사용자는 천640만명으로 전년대비 141% 성장했고 급속하게 성장하는 시장의 93%를 완전히 장악했다.
Karrot has become one of the most downloaded apps among Korean users, outpacing Netflix, Instagram and TikTok. “Doing Danggeun” is widely accepted as selling or buying used goods via the app, and a slew of webtoons and entertainment programs have featured or parodied the app’s popularity.
당근은 한국사용자들 사이에서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틱톡 보다 많이 다운로드 받는 앱이 되었다. “당근하는 것”은 앱을 통해 중고품을 사거나 파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고 많은 웹툰과 오락프로그램이 이 앱의 인기를 패러디 하거나 묘사하고 있다.
As of August, Danggeun Market’s registered users stand at 21 million, or one user per Korean household across the nation. The number of monthly active users is estimated at around 16 million.
8월현재 당근 마켓에 등록된 사용자는 2천백만명으로 전국의 모든 가구당 1명은 가입되어 있다. 매월 활동중인 사용자는 1천 6백만명 정도이다.
Buoyed by its soaring popularity, the startup has raised a total of $205 million in a series of funding, with its enterprise value set at $2.7 billion. In the process, Danggeun Market became the 16th Korean “unicorn,” or privately-owned company with a valuation of over $1 billion, in August,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치솟는 인기와 함께 이 스타트 업은 기업가치를 27억달러로 설정하고 2억5백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로써 중소벤처기업부에 의하면 당근 마켓은 8월에 한국에서 16번째 기업가치1조이상인 “유니콘”이 되었다.
Danggeun Market’s trailblazing success is sending shockwaves throughout the local e-commerce market, which has long relied on social media, online advertising and platform power. Existing e-commerce companies are rushing to introduce similar services to carve out a share in the mobile commerce of used items, signaling heightened competition in the coming months.
당근마켓의 선구적인 성공은 오랫동안 소셜미디어, 온라인 광고와 플랫폼파워에 의존한 지역 이 커머스시장에 충격을 일으켰다. 기존의 이 커머스 회사들이 중고품거래를 모바일 커머스로 제공하는 유사한 서비스를 소개하기시작해서 향후 경쟁심화를 예고했다.
Formula of success for hyperlocal apps
초지역적 앱의 성공공식
Danggeun Market is now deemed a front-runner in the new business category of hyperlocal e-commerce, but it was a latecomer in the online trade of used items. Joonggo Nara, a massive online community on web portal Naver, was the pioneer that powered the steady growth of online sales of pre-owned goods since its foundation in 2003.
당근마켓은 초지역적 이 커머스 분야라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선두주자로 여겨지고 있지만 중고품의 온라인 거래의 후발주자였다. 네이버의 대규모 온라인 커뮤니티인 중고나라는 2003년에 생긴 이래 중고품의 온라인 판매의 지속적인 성장한 개척자였다.
In 2011, Bunjang was launched to compete with Joonggo Nara. Bunjang secured some 16 million users, while Joonggo Nara boasted over 20 million users. The two-way competition, however, was disrupted with the debut of Danggeun Market in 2015 and its expanded service coverage throughout the nation in 2018.
2011년에 번장은 중고나라와 경쟁하기위해 설립되었다. 중고나라는 2천만명이상 사용자가 있는데 번장은 1천6백만명정도를 확보했다. 그러나 이 양강구도는 2015년 당근마켓의 등장으로 깨졌고 2018년에는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In terms of trade value, Joonggo Nara ranked first with 5 trillion won ($4.18 billion) last year, followed by Bunjang with 1.3 trillion won. Industry watchers estimate that Danggeun Market executed mobile transactions worth 1 trillion won last year. 중고나라는 지난 해 거래규모가 5조원(41억 8천만달러)으로 1의를 기록했고 번장이 1조3천억원으로 2위였다. 산업전문가들은 당근마켓이 작년에 1조원의 모바일 거래를 했다고 예측했다.
Danggeun Market’s noticeable expansion is largely due to its easy access. The sign-up process requires a user’s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Trading used items via Karrot is available only among local residents living in a radius between 4 kilometers to 6 km, and most users meet with their counterparts in person in the same neighborhood without sharing their address or telephone number.
당근마켓의 주목할 만한 확장은 주로 쉬운 접근 때문이다. 등록절차에 사용자의 위치와 연락처만 있으면 된다. 당근마켓을 통한 중고품은 4~6km반경내의 거주민들 사이에서 가능하고 대부분 사용자들은 전화번호와 주소 정보를 교환하지 않고 상대방을 만난다.
The unique mix of privacy protection, a lower entry barrier and in-person trade among neighbors has worked to reduce the number of fraud cases that are routinely found in the online trade of used goods.
사생활보호의 독특한 방법은 진입장벽을 낮추고 이웃 간의 개인적인 거래는 중고품의 온라인 거래에서 발견된 부정행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작용했다.
Many Karrot users also place sundry items on the app that will otherwise be thrown away, asking others to take them free-of-charge -- a sort of creative community-based recycling.
많은 당근 사용자들이 앱에 본인이 버리고 싶은 잡다한 물건을 다른 사람이 무료로 가져갈 수 있게 함으로써 일종의 창조적인 지역 재활용방법을 제시했다.
Danggeun Market’s innovative business has spurred the growth of the local consumer-to-consumer used goods market. The market of trading used goods is expected to grow from 20 trillion won last year to 24 trillion won this year. This has enticed other companies to consider introducing similar hyperlocal services.
당근마켓의 혁신적인 비즈니스는 소비자간의 중고품 거래시장의 성장을 자극했다. 중고품거래시장은 작년 20조원에서 올해 24조원으로 성장할 것이 예상된다.
For instance, Lotte Himart, a shopping mall unit of Lotte Group, launched Heart Market, a community-based used-item platform on its website on Oct. 5. Unlike other neighborhood trade services, Heart Market offers Himart’s 430 offline stores around the country as a place where buyers and sellers meet and trade. It offers escrow services to prevent fraud and ensure safe transactions, an extra layer of protection for trading high-priced items.
예를 들어 10월 5일 롯데그룹의 쇼핑몰인 롯데 하이마트는 지역사회중심 중고품 플랫폼인 하트마켓을 웹사이트에 개시했다. 다른 지역사회거래 서비스와는 달리 하트마켓은 하이마트의 전국의 430개 오프라인 점포에서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만나서 거래할 수 있게 했다. 사기거래를 막고 안전한 거래를 위해 고가제품거래를 위한 보증금서비스를 제공한다.
Growing pains
늘어나는 고통
Not all things are going smoothly with the hyperlocal business though. As Danggeun Market relies on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some disputes cannot be avoided. The issue is the lack of regulatory and policy systems that deal with the growing number of complaints.
이 초지역적 비즈니스가 모두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 않는다. 당근마켓이 개인간의 거래에 의존하고 있어서 일부 논란은 피하기 어렵다. 증가하는 불만사례를 처리할 제도와 정책 시스템의 부재가 문제이다.
According to data filed to the National Assembly late last month, the number of dispute arbitration applications involving Danggeum Market during the January-August period this year was 1,167, more than a 60-fold jump from 19 in 2019.
지난 주 국회에 제기된 자료에 의하면 올해 1월에서 8월까지 당근마켓에 관련된 불만중재 건수는 2019년의 19건보다 60배가 많은 1,167건이다.
Disputes over trades in Joonggo Nara and Bunjang also climbed to 500 and 534 during the same period, reflecting an upward trend in conflicts among users over the quality of items, prices and other issues.
같은 기간의 중고나라와 번장에 관련된 거래불만건수는 500건과 534건으로 제품의 품질, 가격 및 다른 문제의 증가추세를 반영하고있다.
Rep. Kim Sang-hee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of Korea said, “The e-commerce market is expanding rapidly due to the protracted pandemic but the number of e-commerce disputes arbitration staff is far lower than the surging demand.”
집권 민주당의 김상희 의원은 “이 커머스 시장은 연장된 팬데믹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이 커머스 불만중재 담당인원은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현저히 적다.”고 말했다.
Rep. Kim said new staff members should be deployed to specialize in disputes involving the trade of used items online and mobile platforms.
김의원은 온라인이나 모바일에서 중고품거래에 전문화된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Meanwhile, Rep. Park Hong-keun revealed on Monday that more luxury items are being traded on the mobile platforms. Some luxury business operators reportedly exploit the loopholes of regulations related to such platforms to avoid paying taxes.
한편 지난 월요일 박홍근 의원은 모바일 플랫폼에서 럭셔리 품목의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럭셔리 상품취급자들은 세금을 피하기위해 플랫폼에 관련된 규정상 허점을 이용하고 있다.
Kim said that there is no effective way to prevent or clamp down on such illegal transactions by some business operators which sell luxury items through mobile platforms.
김의원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서 럭셔리 제품을 파는 일부 업자들의 불법적인 거래를 방지하거나 단속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Kim Dae-ji, commissioner of National Tax Service, told lawmakers last week that a formal opinion would be issued for the taxation policy when high-priced used items are repeatedly sold by business operators on digital platforms, after consulting with other government agencies.
김대지 국세청장은 지난 주 정부 관계기관과 상의한 후 디지털 플랫폼에서 반복적으로 고가의 중고품을 파는 영업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세금부과 정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국회의원들에게 말했다.
Despite concerns, Danggeun Market and its rivals are taking steps to move forward with more streamlined mobile payment systems. Joonggo Naro introduced its own payment system last month and Danggeun Market is also preparing to launch “Danggeun Pay” by the end of this year. Bunjang has been operating its payment solution since 2018.
염려에도 불구하고 당근마켓과 경쟁업체들은 보다 합리적인 모바일 지불 시스템을 개발하기위한 조치를 하고 있다. 중고나라는 지난 주에 자체 지불시스템을 시행하기 시작했고 당근마켓도 올해말까지 “당근 페이”를 시행하기 위해 준비중이다. 번장은 자체 지불시스템을 2018년부터 운영 중이다.
#당근마켓 #중고나라 #번개장터 #이커머스 #온라인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