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2. 대창중고등학교 직원 친목회 규약 개정
1991년 4월 1일에 친목회 규정을 직원회의를 통해 개정하였는데, 그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조 본회는 대창중고등학교 직원친목회라 칭한다. 제2조 대창중고등학교 직원의 경사, 흉사 및 전·퇴직 때의 상호 부조와 친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본회는 대창중고등학교 직원으로 구성하며,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회장 1명, 부회장 1명, 감사 2명, 중고에 각각 총무 1명씩을 두며, 임기는 2년으로 한다. 1) 경사 ① 본 회원의 회갑, 결혼, 정년퇴임 때 1인당 6,600원정, ② 본 회원의 배우자, 부모 회갑 때 1인당 5,200원정, ③ 본 회원의 자녀 출산 때 1인당 660원정, ④ 본 회원의 직계 자녀 결혼 때 1인당 5,200원정, 2) 흉사 ① 본 회원의 사망 때 1인당 13,000원정, ② 본 회원의 부모, 배우자, 직계 자녀 사망 때 1인당 6,600원정, ③ 본 회원의 조부모 사망 때 1인당 3,900원정, 3) 전·퇴직 ① 만 1년 이상 2년 미만은 1,000원으로 하되 2년 이상일 때는 1년에 200원씩 가산한다. 2년 이상 근무한 회원은 1년 미만이더라도 6개월 이상이면 1명으로 계산한다. 단, 경사, 흉사 각 1항과의 중복 때2중 부담은 하지 않고 많은 쪽의 항목에 근거한다. 부칙 1) 본 규약의 개정은 회원전원의 찬성으로 한다. 2) 개정안의 금액에 대한 인상은 1992년 1월 1일부터 봉급 인상율을 적용하며 일 단위는 절사한다. 3) 시행은 1991년 4월 1일부터 적용한다. 4) 본회의 회비는 월 1,000원으로 한다. 5) 매월 마지막 목요일에 친목 체육대회를 개최한다. 내부 규정 1) 이 규정은 일숙직 근무 때 도난 사고에 대한 교직원 상호 간의 협조 사항을 말한다. 2) 일숙직 근무 때 도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손해 배상액의 75%를 기금으로 충당한다(근무자 25%). 3) 기금은 매일의 일숙직비를 적립하여 사용한다. 4) 적립된 기금은 연간 사고 발생이 없을 때 학년 말(2월 말) 협의에 의하여 사용 용도를 결정하고, 일정액은 적립한다. 5) 이 규정은 1991년 4월 1일부터 적용한다. 6) 단, 이 규정은 강제성은 없고 희망자에 한한다.
93. <동문소식> 제4호 발간
1991년 5월 1일 <동문소식(同門消息)> 제4호가 간행되어 나왔다. 재경 대창중고등학교 동문회(회장 안정모)에서 간행하였는데, 가로 19cm, 세로 26cm, 4쪽이다. 1면에는 동문회 정기총회가 1991년 6월 14일 오후 7시에 용산구 남영동 미선회관에서 열린다는 안내와 회장 인사말이 있고, 제2,3,4면은 뉴스란으로, 현민기(고 11)가 기초지방자치단체 의회 의원 잠실 5동에서 당선되었다고 한다. 예천군 출신 세무공무원으로 1990년 8월 25일에 창립된 천우회(泉友會, 회장 김문한, 초대재경대창중고등학교동문회장)의 회원 45명의 명단이 실려있다.
94. 예천군 교육연구회 총회 개최
1991년 5월 1일 오후 2시에 대창중학교에서 예천군내 초중고 전교원과 예천교육청 전경화 담당 장학사가 참여, 총회를 개최하여 임원 개선 및 사업 계획 수립을 하였다. 연구회 이름은 다음과 같다. ( ) 안은 총회 장소, 모임의 회장이다.
민주시민교육연구회(대창중 2-1교실, 대창중 김교용), 교도교원연구회(1-3, 대창고 오수영), 영어교원연구회(1-1, 대창고 정재형), 중등역사연구회(3-3, 대창고 장병창), 음악교육연구회(1-4, 대창고 김명찬), 중등미술연구회(2-3 권영춘), 수학교육연구회(1-2, 예천여고 남순섭), 체육교육연구회(2-2, 대창고 김길영), 농업교육연구회(3-1, 예천종고 윤희동), 중등과학연구회(3-2, 예천여중 임운진), 상업교육연구회(용궁상고, 용궁상고 김헌상)이다.
95. <동문소식> 제5호 발간
1991년 8월 1일 <동문소식(同門消息)> 제5호가 간행되어 나왔다. 재경 대창중고등학교 동문회(회장 이근복)에서 간행하였는데, 가로 19cm, 세로 26cm, 4쪽이다. 1면에는 1991년 6월 14일 오후 7시 용산구 한강로 소재 '미성'에서 열린 정기총회 때
개선된 임원 명단이 있는데, 고문에 김문환(1회), 이의택(2회), 안정모(3회), 회장에 이근복(4회), 수석부회장에 정용인(5회), 부회장에 박정웅(6회), 정무열(7회), 권석기(8회), 금동옥(9회), 황태섭(10회), 감사에 황중태(5회), 이철환(13회), 사무국장에 황효섭(9회), 이사에 변병채(1회), 안승해(1회), 강홍원(2회), 박경근(2회), 김태우(3회), 윤상식(3회), 김동수(4회), 김익동(4회), 변우홍(4회), 장세강(4회), 권영세(5회), 변명직(5회), 안준(6회), 박효서(6회), 임병훈(7회), 김주현(7회), 현정기(8회), 최형명(8회), 장인식(9회), 권영탁(9회), 김창선(10회), 유창종(10회), 권영벽(11회), 권만화(11회), 민규식(12회), 김종록(12회), 박영준(13회), 권기진(13회), 정승남(14회), 진성규(14회), 권오봉(15회), 김정호(15회), 엄재유(16회), 오창석(17회), 황덕이(17회), 김석우(18회), 권오진(18회), 권오진(18회), 김두일(19회), 김희태(20회), 우병훈(20회), 김종석(21회), 이기준(22회), 정용정(22회), 윤대섭(23회), 박완수(24회), 최종민(24회), 장한로(25회), 고재호 (25회), 강순성(26회), 강신구(27회)이다.
2,3면에는 회장의 인사말이 실려 있고, 4면에는 기별 동기회 모임이 실렸는데, 1991년 7월 13일에 22회 모임(송대창우회)에서 회장에 이기준이 선임되었고, 1991년 7월 16일 9회 모임에는 12명이 참가하였고, 1991년 8월 10일 6회 모임에서는 14명이 참석하였다고 한다. 또 윤기서(고 1회) 씨가 광역의회 의원(도의원)에 경북 예천에서 당선되었다고 실려있다.
96. 개교 70주년 행사
1) 초대장(招待狀) 발송
1992년 4월 6일에 초대장을 보냈다. 그 모시는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거룩한 3.1정신의 여운(餘韻)이 교육 구국의 신념으로 승화되어 1922년 대창학원(大昌學院)이 창설된 이래 일제의 질곡(桎梏) 속에서는 민족의 맥을 이어왔고, 광복이후 오늘 날까지는 오로지 참다운 한국의 민주 시민 육성에 이바지해온 본교가 금년으로 개교 7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기약하면서 다음과 같이 자축(自祝) 행사를 마련하오니 부디 오셔서 자리를 빛나게 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992.4.6 大昌中高等學校長 金敎容/ 學校法人 大昌學園 理事長 趙東輝/ 大昌中高等學校 育成會長 金是鎬/ 大昌中高等學校 總同窓會長 黃柄湜
2) 시가행진(市街行進)
1992년 4월 19일 오전 8시부터 40분 간 시가행진이 있었는데, 오전 7시 30분에 학교 운동장에 집합하여 40분에 출발, 영남병원(嶺南病院) 앞 →중파(中派) →황금주유소(黃金注油所, 左廻轉) →백한의원(白韓醫院, 左廻轉) →권병원 앞(右回轉) →공설운동장 후문 →공설운동장 입장(8時 40分)하였다.
행진 순서는 악대(樂隊) →현수막(懸垂幕, 慶祝 開校 70週年 記念) →선도차(先導車, 學校長, 理事長) →피켓(3.1精神의 繼承과 大昌 →고3 가장 행렬(33인, 두루막
31, 僧服 2) →피켓(1922 大昌學院 創設) →피켓(後援 醴泉儒道會) →고 2-4(한복, 상투) →피켓(後援 醴泉靑年會) →고 2-5(校服 正裝) →피켓(8.15의 感激) →고 1 가장행렬(50명, 태극기 들고) →피켓(1949 大昌中學校 開校) →중 3(校服 正裝, 6列
橫隊) →피켓(靑軍, 白軍) →청백 각 4열 종대(體育服) →농악(農樂, 6명)이다.
3) 기념식과 기념체육대회
1992년 4월 19일 오전 9시 예천공설운동장에서 개교 70주년 기념식과 체육대회를 가졌다.
기념식은 개회 선언에 이어 국민의례, 국민교육헌장 낭독, 본교를 설립하신 벽천(碧泉) 선생님께 대한 묵념, 근속자 표창 및 감사패 증정, 대회사, 학교법인이사장치사, 축사, 선수대표 선서, 준비 체조(中高 1,273名, 35分)로 계속되었다. 그 중 이사장의 치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년으로 우리 대창중고가 개교 70주년을 맞이합니다. 이 뜻깊은 70주년 기념 식전에 참석해 주신 유학성(兪學聖) 국회의원, 그리고 이상화(李相和) 예천군수님과 지원식(池源植) 교육장님을 비롯한 군내의 여러 기관장님들과 학부형님 및 육성회 임원 여러분, 그리고 멀리 가까이에서 옛 배움터를 찾아오신 동문 여러분, 이렇게 성황을 이루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이 행사 준비를 위해 밤낮 없이 오랜 기간을 애쓰셨을 본교 여러 선생님들께와 재학생 여러분의 노고에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저 자신 학교법인(學校法人) 책임자로서 여러 선생님들을 자주 찾아뵙고 격려도
해야 될 터이나 지금까지 소임에 소홀했던 점을 통감합니다.
그리고 우리 대창중고등학교는 저 3.1 독립 정신을 바탕에 깔고,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라는 교육 구국(救國)의 숭고한 이념이 승화(昇華)되어 1922년 2 월 15일 창설되었습니다. 당시 벽천 김석희(碧泉金碩熙) 선생께서 이끄시던 예천청년회(醴泉靑年會)가 주체가 되어 예천유도회(醴泉儒道會)의 후원 하에 지금의 대창중고등학교 자리에 문을 열어서 이 고장 예천을 비롯한 경북 북부 지역 7개 군의 배움에 굶주린 이들이 모여드니, 10세 전후의 어린이로부터 38세의 고령자까지였다고 합니다. 그러니 경북 북부 지역의 문맹 퇴치(文盲退治)는 우리 대창학원(大昌學院)의 차지였습니다. 이로 미루어도 당시의 시대 상황을 짐작하게 합니다. 그 때로부터 70년을 한결같이 우리 대창중고(大昌中高)를 육성 발전시켜 명실상부(名實相符)하는 예천 문화의 산실이 되게 하고,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여 이 나라 이 민족의 동량재(棟梁材)가 되게 하여 민족중흥을 기약하게 하신 벽천 선생의 영령(英靈) 앞에 옷깃을 여미고 숙연히 묵념을 드리는 바이며, 대를 이어서 오늘의 대창중고(大昌中高)가 있게 하신 송원 김교용(松園金敎容) 교장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대창의 70년은 근대 한국의 민족사와 맥을 함께 하여 왔습니다. 일제 질곡기(桎梏期)에는 민족의식의 고취를 위해서 선생님들은 일제의 감시를 피해 가면서 우리나라의 바른 역사를 가르칠 때 스승과 제자가 한마음이 되었으니, 이 한 가지만으로도 당시를 회상하고 남음이 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3.1 운동 직후에 전국 방방곡곡(坊坊曲曲)에 세워졌던 학원들이 일제의 탄압으로 거의 문을 닫았으나 우리 대창학원(大昌學院)은 경북도(慶北道)에서 유일하게 존속한 학교이니, 이 얼마나 자랑스럽습니까!
광복 후에는 신생 조국(新生祖國)의 동량재(棟樑材)을 육성할 목적으로 벽천 선생께서 전 재산을 희사하여 재단법인 대창학원(財團法人大昌學園)을 구성하고 대창중학교(大昌中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에 취임하셨고, 1950년 6월 24일 교사(校舍) 증축을 위한 자재를 구입하려고 상경하셨다가 한국전쟁을 만나 순직하신 일은 우리 모두의 가슴 속에 생생한 사실이며, 한국전쟁의 수복 직후에 지금의 교장 선생께서 가정적 불행은 뒤로한 채 선대(先代)의 뒤를 이어 학교를 맡으시고 1952년 재단(財團)을 보강하여 대창고등학교(大昌高等學校)를 설립하고 42년간을 한결같이 대창중고등학교(大昌中高等學校)를 육성 발전시켜 오늘이 있게 하셨습니다. 그 사이 학력면에서나 체력면에서 대창(大昌)이 명문(名門)으로 성장한 것은 결코 우연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고, 값진 피땀의 노력에서 빚어진 결과이므로 이 명성을 길이 빛내기 위한 책임은 재학생 여러분에게 있습니다.
항상 우리 대창(大昌)의 교시(校是)인 호연(浩然), 용성(勇誠), 지지(至知)와 교훈(敎訓)인 정심(正心), 자립(自立), 협동(協同)을 체득해서 긍지 높은 대창인(大昌人)이 되어 주시기 바라면서, 오늘의 체육대회를 비롯한 여러 행사가 원만하게 치루어 지기를 빌고 치사(致辭)에 가름합니다. 1992.4.19 學校法人 大昌學園 理事長 趙東輝"
곧이어 체육대회가 시작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공위성(人工衛星) 띄우기(高, 147명, 15분), 달리기 200m(高, 132명, 7분), 교훈 완성(敎訓 完成, 中, 146명, 15분), 달리기 100m(中, 98명, 10분), 거북이 공굴리기(高, 88명, 15분), 2인 3각(二人三角, 中, 87명, 10분), 달리기 200m(高, 103명, 10분), 졸업생 달리기 100m(10분), 기마전(騎馬戰, 高, 299명, 12분), 라켓스푼(高, 87명, 10분), 할아버지 담배피우기 100m(15분), 국민학교 대항 남 400m(5분), 육성회 임원 럭비공차기(12분), 달리기 200m(高, 129명, 10분), 부인바늘꿰기 100m(10분), 내빈 경기 강태공(姜太公, 12분), 5색 비가 내린다(中 137명, 14분), 줄 당기기(中, 176명, 15분), 달리기 200m(高, 147명, 10분), 마라톤 왕복 8km, 달리기 100m(中, 48명, 5분), 새마을어머니회 굴레벗기(12분), 중학교 대항 남 400mR(10분), 긴줄 넘기(高, 86명, 10분), 달리기 100m(中, 87명, 10분), 동창회원 얼굴 화장(13분), 달리기 100m(中, 87명, 10분), 마스게임(中高, 700명, 10분), 조심조심 이어달리기(中, 89명, 10분), 차전(車戰)놀이(高, 500명, 20분), 달리기 200m(高, 150명, 10분), 고지 탈환(高地奪還, 高, 261명, 15분), 교직원 청백 계주(中高, 15분), 학생 청백 계주(中高, 56명, 15분) 등으로 오후 5시에 끝났다.
이어서 폐회식이 있었는데, 학생 입장, 정리 체조, 성적 발표, 학교장 식사, 국기강하, 교가제창(校歌齊唱), 주악, 폐회 선언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대회 임원은 대회장에 김교용, 부대회장에 정양수 배순택, 총무에 장병창 오수영, 식전(式典)에 권태한 조원희, 진행(放送)에 안두식 현우택, 보도 게시(報道揭示)에 권영춘 현범구 손범석, 경기(競技)에 김길영 권중섭, 심판에 신인수 김병훈 남병규 정억진, 시상(施賞)에 소경섭 김상덕, 준비에 권영식 김세용 이준희 이병열 조동수, 기록에 윤주능 권오경 권오휘 최규영, 섭외에 김화동 박용태 도기철 최철영 김흥식, 구호에 고병갑 강미영 김점숙, 시설에 권영춘 현범구 윤장식 손범석, 악대에 김명찬, 녹화에 김삼능 김중희, 응원(靑)에 박재영 정재형 정일준 권기철 이상준 남일진 배진동 김경민 최국락, 응원(白)에 황덕수 강해원 구자일 김종보 이원섭 김경현 장관수 김용각 노춘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