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데이터방송
(1) 데이터방송의 정의
최근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은 데이터의 전송량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다. 인터넷을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량은 대략 3∼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전화선의 전송속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진다.
반면에 방송네트워크는 넓은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있어 방송의 전송속도는 인터넷보다 빠르다는 장점을 갖으며, 동시에 많은 최종 이용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많은 채널을 통해서 정보의 바다에서 서핑을 하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50개이상의 채널을 가진 위성방송이나 케이블TV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면, 방송을 통해 초당 약 750[Mbps] 전송할 수 있는 반면, 인터넷을 통해서는 20[Kbps] 정도만 전송할 수 있다.
[표 1.1-3-3] 가입자망 인터넷 서비스 속도
구분 |
위성인터넷 |
ISDN |
케이블TV 모뎀 |
ADSL |
LMDS |
전송속도 (하향) |
1.5∼8Mbps |
56∼128kbps |
1.2∼27Mbps |
1.5∼8Mbps |
10Mbps |
전송속도 (상향) |
전화선 |
56∼128kbps |
128kbps∼19Mbps |
12∼500kbps |
2Mbps |
비고 |
미국 Direc PC에서 서비스 |
최고속도가 128kbps로 제한 |
상향신호의 잡음 제어가 문제 |
전화국에서 반경 3∼4km 이내 서비스 가능 |
가시거리(line of sight) 가 요구됨 |
종류 |
특징 |
실예 |
프로그램 연동형 |
방송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 |
스포츠, 드라마, 게임, 광고 |
프로그램 독립형 |
방송 프로그램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서비스 |
EPG, 날씨, 뉴스 |
대화형 서비스 |
상향 채널을 사용하여 교육, 쇼핑, 이메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TV 방송과의 비동조성 서비스 |
교육, 쇼핑, 뱅킹, 주식, 이메일 |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에는 [표 1.1-3-4]에서와 같이 데이터방송을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방송, 그리고 대화형 서비스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러한
분류는 분류의 편리와 포괄적인 적용을 위한 것이므로 각각의 하위 개념들이 반드시 상호 배타적
인 관계는 아니다.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방송(enhanced TV)의 경우, 본 프로그램과 관련된 내용의 동기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관련 정보를 검색, 열람,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들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화면 위에 반투명 배경을 바탕으로 관련
텍스트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프로그램 독립형 데이터방송(virtual channel)의 경우, 이 서비스는 보조적인 서비스가 아니라
독립채널에서 제공되는 별도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주로 오디오와 비디오가 없이 적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비동기적 형태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예를 들어, EPG 서비스는
독립된 채널로 구성되어 주제별, 시간대별, 시청자의 특성별로 구분해 프로그램 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뿌려준다.
대화형 서비스의 경우, 대화형 서비스는 디지털시대의 데이터방송의 가장 핵심적인 서비스로서,
상향채널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정보검색, 저장, 처리 및 의견표출을 가능하게 한다. 처음 상향
채널이 방송에 도입되었을 때에는 간단한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수준의 서비스가 제안되었으나,
현재에는 교육, 이메일, 전화,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대화형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방송의 다기능 및 고기능을 실현하는 서비스이므로 시청자들에게
가장 강력한 디지털 전환동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실시간 여론 설문조사 및 홈뱅킹,
대화형 교육방송을 비롯하여 궁극적으로 T-commerce를 실현시킬 수 있으므로, 대화형 서비스
는 그 자체만으로 큰 규모의 산업을 형성할 것이고, 이로 인해 방송망의 디지털 전환 및 유관산업
발전 기반을 구축하는 원동력으로 기능할 것이다.
(3) 데이터방송 시스템의 구성과 요소기술
데이터방송 시스템은 [그림 1.1-3-11]과 같이 방송국, 하향채널, 셋탑박스, 상향채널로 구성된
다. 데이터방송 시스템이 기존 아날로그방송 시스템과 다른 점은 각 부문의 기술이 디지털화된
다는 것이고, 그 중 가장 핵심적인 변화는 상향채널이 형성되어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과 셋탑박스의 기능이 향상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데이터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와 기반기술은 다음과 같다.
[그림 1.1-3-11] 데이터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가) 저작 툴(Authoring Tool)
데이터방송의 컨텐츠는 각각의 모노미디어로 제작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각 미디어간의 링크
관계를 만들어 주고, 데이터의 흐름을 서비스 시나리오의 관점에서 구성하여 이용자의 수신
단말에서 브라우징 되도록 만드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저작툴은 바로 이러한 과정을 가능
하게 하는 도구이다. 서버와 셋탑박스 간에 형성되는 통신 프로토콜 방식 및 적용하는 대화형식
의 정도 등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저작툴은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 객체들,
스크립트, 바이트 코드, 혹은 애플릿 형식으로 이루어진 서비스 패킷을 제작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해당 서버에 그 내용을 전달하여 서비스를 등록시킴으로써, 이용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OpenTV, MediaHighway 등은 대화형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손쉽게 저작할 수 있는 응용환경을
제공하는 자체방식의 저작툴을 제공하고 있으며, DAVIC의 표현방식인 MHEG, 인터넷의 HTML,
Java 등도 대표적인 저작툴들이다.
(나) 데이터 서버(Data Server)
데이터 서버는 저작된 데이터방송 컨텐츠를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만들어 다중화기
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서버는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외에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비디오서버를 제어하여 본 프로그램과 시간동기를 맞추고,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프로그램을 스케쥴링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향채널을 통한 시청
자의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하여 통신서버와 연결되어 인터넷서비스 및 각종 통신서비스 공급
자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서버는 DVB의 DVB-SIDAT와 ATSC의 T3/S13 등이 대표적이다.
(다) 비디오 서버(Video Server)
비디오서버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발생시키는 서버로서, 현재는 실시간 엔코더가 주로 사용
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디지털화의 진행에 따라 비디오서버가 주로 사용될 것이다.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을 데이터 서버의 제어를 통해 데이터와 동기화시켜 다중화기로 출력하면, 이용자의
최종 단말에서는 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이 브라우징된다.
(라) 통신서버
통신서버의 역할은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상향채널을 만들어 주어, 수신기로부터 방송국
으로 들어오는 신호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기로 들어오는 신호를 모두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하향채널은 방송파를 사용하지만 상향채널은 기존 통신형태와 동일하게 모뎀을 통해 형성되므
로, 가입자수를 고려하여 동시에 접근 가능한 최대 이용자수를 정하여 그에 맞는 통신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마) 다중화기
다중화기의 주요 기능은 비디오 서버로부터 들어오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서버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변조기로 보내는 것이다. 이때 가입자 이외의 이용
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수신을 위한 스크램블링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 기 타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 및 데이터 서비스의 유료화와 전자상거래를 위하여 SMS(subscriber
Management System)가 중요한 기술이 되며, 서비스 개발을 위해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장치 등도 데이터방송의 중요 기술 중의 하나이다.
(4) 데이터방송 기술의 세계 표준화 동향
데이터방송의 표준은 디지털 TV방송의 표준방식과 마찬가지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양분되
어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 TV방송의 표준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방식과
미국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방식이 주도하고 있으며, 일본은 독자
적인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유럽의 DVB방식과 유사하므로, 사실상 미국방식과 유럽방식으로 양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방송 표준도 [그림 1.1-3-12]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유럽의 DVB-MHP
(Multimedia Home Platform)와 미국의 ATSC-DASE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국제적으로 통일된 데이터방송 규격은 없는
상황이다.
국제적으로 통일된 데이터방송 규격이 없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자체개발한 독자규격으로 서비
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서비스로는 Canal+의 MediaHighway와 Thomson Sun
Interactive의 OpenTV 등이 있다.
[그림 1.1-3-12] 데이터방송 표준화 발전 동향
(가) DVB-MHP
DVB는 ELU(European Launching Group)에 의해 디지털방송의 공동기술 개발을 위해 설립
되어 현재 방송사업자, 케이블 및 위성 운용자, 가전업체, 그리고 방송장비회사 등 30여 개국의
220여 회원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DVB는 1997년에 위성, 케이블, 지상파를 통해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규정한 데이
터방송 및 대화형TV를 위한 표준안을 발표하였다. 이 중 데이터방송을 위한 표준안은 DVB-Data
이고, 대화형TV를 위한 표준안은 DVB-I 이다. 현재의 미디어 시장이 방송사업자, 네트워크 운용
자, 제조업자,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 등에 의해 분산된 수직적 구조를 이루고 있어, 당시 DVB가
발표한 데이터방송 및 대화형TV를 위한 표준안도 각 시장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별
시장만을 고려한 기술표준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방송과 통신영역의 발전과 더불어 향후에는 컨텐츠 사업자, 프로그램/서비스 사업자,
제한수신 사업자, 네트워크 운용자, 수신기 제조업자 등이 수평적으로 경쟁하는 시장구조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이들 각각의 표준안은 현재 DVB-MHP(Multimedia Home
Platform)라는 이름으로 규격화되고 있다. [그림 1.1-3-13] 이러한 DVB-MHP의 개요를 나타
낸다.
DVB-MHP에서는 각각의 다양한 사업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표준 수신기와 가정용
기기들을 정의하여 참조모델을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enhanced 방송, 대화형 방송, 인터넷
접속서비스 등 대화형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DVB 데이터방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면에서 서로 다른 요구사항을 가지는 4가지 응용
분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데이터방송 규격을 규정하고 있다.
1) 데이터 파이핑(Data Piping)
DVB 호환 방송망 상에서의 간단하고 비동기적인 데이터 전송서비스를 의미하며, 이 경우 데이
터는 MPEG-2 TS(Transport stream) 패킷의 페이로드에 직접 실려 전송된다. 다른 응용 영역
과 비교하여 서비스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가 없으므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소프
트웨어나 하드웨어에 관한 특정 정보가 많이 필요하다.
2) 데이터 스트리밍
흐름형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MPEG-2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부분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한다. 이때 비동기적 스트리밍은 시간조절요구가 없는 데이터만의 스트림
이고, 동기적이라는 것은 연속된 패킷들 사이에 주기적인 간격을 가지고 전송되어 수신측에서
시간적 요구사항을 가지고 재구성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동기화된 데이터 스트리밍은 다른
PES와 동기화될 수 있는 시간적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3) 다중 프로토콜 캡슐화(Multi- Protocol Encapsulation)
DSM-CC형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MPEG-2 섹션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부분이다. IP와
같은 임의의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패킷을 전송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며, 하나의
수신기, 수신기의 그룹, 모든 수신기에 대해 전송할 수 있다.
4) 데이터 주기전송과 객체 주기전송(Data and Object Carousel)
Data Carousel은 DVB 호환 방송망 상에서 데이터 모듈을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수신기에서 데이
터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며, Object Carousel은 디렉토리, 파일, 스트림 등의 객체들을
이용해서 방송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구조화된 데이터 그룹을 전송하는 것이다.
DVB-I는 대화형TV를 위한 표준안으로서 네트웍에 독립적인 DVB-NIP와 네트웍 의존적인
DVB-IP, DVB-IC, DVB-ID, DVB-IM이 있다. DVB-NIP (Network Independent Protocols)은
MPEG-2 TS 패킷에서의 세션제어와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규정하는 프로토콜이며, DVB-IP
(Return Channel for PSTN and ISDN)는 응답채널에 사용될 물리적 네트워크로서 PSTN이나
ISDN을 사용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DVB-IC(Return Channel for CATV systems)는
CATV 네트워크에 대해, DVB-ID (Return Channel for DECT)는 무선망 네트워크에 대해,
그리고 DVB_IM(Return Channel for LMDS)은 LMDS(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
네트워크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DVB-I는 이처럼 각각의 네트워크 사업이 수직적으로 분포
되어 있는 것으로 전제하고, 이에 따라 개별시장에 적합한 표준을 규정하고 있다.
DVB-data나 DVB-I 등은 각 시장들간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DVB- MHP는 향후 이
서비스들이 방송, 통신, 컴퓨터 및 가전의 융합이 가속화되어 수평적 시장의 형성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DVB-MHP는 1996년 EBU의 UNITEL 프로젝트에서
제안되었다.
DVB-MHP는 사용자와 시장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TV뿐만 아니라 가정용 단말기인 STB, PC,
그리고 기타 가정용 디지털 네트워크를 모두 수용하는 수신기에서 쌍방향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의 다양한 사업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표준수신기와 가정용 기기를 정의하여 참조모델을 정의하였다.
[그림 1.1-3-13] DVB-MHP의 개요도
(나) ATSC-DASE
ATSC는 미국의 지상파 디지털TV 표준안을 제정하는 단체로서 198개의 회원사를 가지고 있다.
ATSC는 1999년 10월에 위성을 통한 디지털TV 신호의 전송규격도 승인하여, ATSC 표준방식은
위성방송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표준안도 완료되어
1998년부터 본방송을 하고 있으며, 데이터방송에 관해서는 산하기술그룹들에서 표준안을 만들
고 있다. [그림 1.1-3-14] ATSC-DASE의 개요를 도시한다.
ATSC도 DVB와 같이 4가지 방법으로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이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가지 방법은 DSM-CC User-
to-Network Download Protocol, DSM-CC Addressable Section, Synchronous and
Synchronized Streaming Data, 그리고 Data Piping이다.
[그림 1.1-3-14] ATSC-DASE의 개요도
ATSC도 DVB와 같이 4가지 방법으로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이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가지 방법은 DSM-CC User-to-Network
Download Protocol, DSM-CC Addressable Section, Synchronous and Synchronized
Streaming Data, 그리고 Data Piping이다.
DSM-CC User-to-Network Download Protocol은 ISO-IEC 13818-6 DSM-CC User-TO-Net
work의 DSM-CC 데이터 캐러셀 시나리오를 통해 데이터 모듈, 비동기 및 동기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비디오 스트림과 동기되어 짧은 시간 내에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유리하다. DSM-CC Addressable Section은 데이터를 MPEG-2
private section 형태로 addressable section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비동
기적인 방법으로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며, Synchronous and Synchronized Streaming
Data은 MPEG-2 오디오나 비디오처럼 PE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된
다. Data Piping은 ATSC 방식의 방송망 상에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임의
의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T3/S16은 디지털방송에서의 양방향 서비스와 표준안 마련을 위해 1999년 8월에 Draft 0.67을
발표하였으며, 여기에 필요한 4가지 프로토콜로 서비스 표현 프로토콜(Service Announcement
and Description Protocols), 대화형 프로토콜(Interactive Session Protocol), 정보구조 프로
토콜(Information Structuring Protocols), 그리고 객체 주기전송(Object Carousels)을 정의
하였다.
서비스 표현 프로토콜은 데이터방송 규격에서 정의된 PSIP 추가부분과 Service Description
Frame Work를 기본으로 하는 프로토콜이며, 대화형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session layer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서, 여러 구현들간의 상호동작을 지원한다. 정보
구조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service layer 서비스간의 상호동작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정의하며, 객체주기전송은 서버에서 수신기까지 객체 구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렉토리, 파일, 스트림 객체 등과 객체 주기전송 서비스의 전송과 부호화, 그리고 다운로드
방법 등을 정의한다.
DASE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데이터방송 서비스용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환경 표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만약 데이터방송에서 새로운 응용을 서비스 할 때 수신기는 하드웨어나 OS에 관계
없이 동일하게 작동해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신기의 모든 기능은 ATSC
T3/S17에서 정의하는 DASE의 API를 통해 제공되도록 설계되었다.
[표 1.1-3-5] ATSC와 DVB 데이터방송의 비교
방송서비스 |
DVB |
ATSC |
어플리케이션 코드 |
Native/MHEG/Java |
Java |
API |
MHEG interpreter & Java TV API |
Java TV API |
Presentation Engine |
MHEG/xHTML |
xHTML & Java |
AEE(Application Executuion Engine) |
Java VM |
Java VM |
표준화 작업시 T3/S17 DASE와 더불어 고려해야될 표준으로는 T3/S8 PSIP(Program & Service
Information Protocol), T3/S13(Data Broadcasting), T3/S16(Interactive Service) 등이 있다.
ATSC-DASE에서는 DVB-MHP의 DVB-J와 유사한 ATSC-J가 JavaTV로 추진되고 있는데, DVB
보다 더 세분하여 PE(Presentation Engine)는 xHTML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또한 Java 형태
로 실험적인 대화형TV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하기 위한 FloraTV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다.
(다) ATVEF
ATVEF(Advanced TV Enhanced Forum)는 방송사, 가전사, PC 제조업자, 소프트웨어 개발업자
등이 모여 만든 단체로서, HTML 기반의 향상된 TV용 프로토콜의 규격화 등의 노력을 통해 산업
체 표준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송매체로는 아날로그, 디지털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의무적인
컨텐츠 규격으로 HTML 4.0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에 CSS1, ECMA Script/ DOM0
(Java Script 1.1) 등을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전송규격은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의 변형인
UHTTP(Unidrectional HTTP)를 사용한다. UHTTP는 단방향 방송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규격으로 아날로그 TV의 수직귀선구간(VBI) 등을 이용하는
단방향 IP 멀티캐스트용으로 적합하다.
ATVEF 목적은 개발되는 스펙의 호환성이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중요한 수요층을 형성하는 것과 광범위하게 인정되는 표준에 기초
하여 서비스와 표준간의 국제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ATVEF의 참여업체는 케이블사, 방송사업자, TV 전송업자, 가전사 등으로, 주요 업체는
CableLabs, CNN Interactive, DirecTV, Intel, Sony, NBC Multimedia, MS&WebTV Networks,
Walt Disney Company, Waner Brothers, Tribune, Liberate Technology, PBS 등이다.
ATVEF는 디지털 수신기가 일반화되는 2004년이면 대화형 서비스의 제공은 필수적일 것으로
예측하고, 마이크로 소프트, 소니, 인텔, 디즈니를 중심으로 대화형 서비스의 컨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T-Commerce도 계획중이다.
(라) ISDB
ISDB는 일본의 디지털방송 표준으로서 NHK를 중심으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999
년 5월에 있었던 NHK 연구소에서 몇몇 서비스에 대한 시연을 가졌다. ISDB는 언제, 어디서, 누구
든지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송을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지상, 위성, 케이블
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포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계획하고 있다.
Open TV는 프랑스의 Thomson과 Sun Interactive사에서 대화형 TV 응용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한 멀티미디어 쌍방향 방송시스템으로서 현재 50개국 34개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선택
되어 전세계 930만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Open TV는 방송국에서 수신기까지 모든 툴을 제공
하는 end-to-en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위성, 케이블, 지상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바) MediaHighway
Media Highway는 프랑스의 Canal+사에서 개발한 디지털 쌍방향 방송시스템으로서 셋탑박스
와 대화형 TV를 위한 기술은 MediaHighway이고,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접근제어와 인증 및
과금처리 시스템 기술은 MediaGuard이다.
MediaHighway의 시스템은 DLI(Device Layer Interface)와 Virtual Machine과 어플리케이션
들과의 인터페이스의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DLI는 20여개의 셋탑박스 제조업체 파트너에게
배포되어 있으며, 자체개발한 Pan Talk 인터프리터가 주로 사용된다.
현재 업계에서는 주요 표준화 그룹과 별도로 회사 고유의 규격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규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상용화되기는 쉬운 반면에 단일표준으로 채택
시 특정사업자에게 기술이 종속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폐쇄적인 기술개발 방식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이들 서비스는 주로 위성
방송에서만 상용화되고 있는데, 업체 독자 규격으로 위성방송사업자가 개발한 컨텐츠는 지상파
방송에서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매체에 이용시 중복투자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DVB나 ATSC와 같은 표준 규격을 사용할 경우에는 오랜 규격화작업으로 인해 서비스를 개시하는
데에 다소 지체될 수 있으나 많은 사업자들이 경쟁하는 시스템이므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저렴한
비용에 개발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