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향선생의 직계 5대손은 조선초에 황해도 해주목사(海州牧使)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추증된 안종약(安從約)선생입니다. 안 종약공은 슬하에 4남2녀를 두었는데, 두따님중 둘째따님이 청백리공 수지(遂智)할아버지의 아내이며, 진사공 이온(以溫), 회산공 이양(以良),군수공 이공(以恭),훈도공 이근(以謹),생원공 이신(以信)선조님의 어머니되십니다.
配貞夫人順興安氏吏判從約女 (배 정부인 순흥안씨 이판(이조판서의 줄임) 종약 여.)
(배우자: 정부인:남편의 관직이 2품관인경우 그 아내에게 붙이는 호칭. 순흥안씨 황해도 해주목사를 역임하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안 종약의 딸.
청백리공 수지 할아버지는 예산현감-북평사-경차관-사헌부집의-최종관직 좌찬성에 이름.
行 北評事 執義至左贊成 子孫世受蔭職 兪相拓基 撰墓表建祠于 寶城酉山.
행 북평사 (사헌부)집의 좌찬성에 이름. 자손 대대로 음직을 받고, 조선숙종때 영의정 유척기(兪拓基)가 손수지은 청백리공 표문이 있고, 보성군 유산에 사우(당)가 건립됨.
유산사(酉山祠).-전남 보성군 보성읍 옥평리에 광주에서 보성으로 처음 이주하신 청백리공의 둘째아드님 회산공 이량의 후손들이 회산공의 아버지인 청백리공과 청백리공의 5대손 가선대부 행 양주목사,증 병조판서 박성인,활효재 박헌가를 모시기위해 건립한 사당.
행-행하다,실제 부임하여 활동한.
북평사-함경도병마절도사를 보좌하며, 중앙정부로부터 함경도병마영의 행정총괄,감사기능을 수행한 문관.
고려시대
1세 善(선) 상서공-고려 예부상서(禮部尙書:조선시대 예조판서)
2세 仁挺(인정)
3세 信淸(신청)
4세 允禎(윤정)
5세 臣蕤(신유)
6세 之文(지문) : 군기소감공 (최초 경남 함양에서 전라도 나주로 이주/정착) 신유공의 여섯아드님중 첫째아드님 -함양박씨 육지파六之派중 장파(長派)의 파조(派祖)
부인: 나주정씨(羅州鄭氏) :군기소감께서 고려시대 개경(개성)에서 관직생활을 마치시고, 함양으로 가지않으시고 처가집이 있는 전라도 나주로 오심.-함양박씨 동정공파후손들이 영남인에서 호남인이 된 계기
7세 冏(경)
8세 洪貯(홍저)
9세 儉(검)
조선시대
10세 得時(득시) : 나주-> 광주 (入光州) 부인 합천이씨 陜川李氏
11세 鮮(선) : 동정공 부인(광산김씨 光山金氏 )
12세 遂智(수지) : 청백리공 부인(순흥 안씨 順興安氏) :안 종약님
둘째따님
子
13세 이온(以溫), 이량(以良), 이공(以恭), 이근(以謹), 이신(以信)
12세 遂和(수화) : 황산공 부인(언양 김씨 彦陽金氏)
子
13세 이관(以寬), 이홍(以洪)
소수서원에 배향된 안향, ‘무너진 학문을 다시 이어서 닦는다’
|
|
‘사람됨이 장중하고 조용하면서 착실하여 많은 이들이 존경했다. 계획을 잘 세우고 판단력도 뛰어나 동료들이 그를 순순히 따랐다. 늘 인재 양성과 학문 부흥을 자신의 중대한 임무로 여겼다. 손님 대접을 좋아하고 남에게 자기 것을 내어주기를 좋아했다. 문장은 맑으면서도 힘이 있었고 사람을 판단하는 능력도 뛰어났다.’
|
‘내가 일찍이 중국에서 주회암(朱晦菴, 주자)의 저술을 보니 성인의 도를 밝히고 불교를 배척하는 공이 공자에 짝할 만하였다. 공자의 도를 배우려면 회암을 배우는 것보다 우선할 것이 없다. 학생들은 새로 들어온 (주자의) 서적을 읽기에 힘써 게으르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만년에는 항상 회암 선생(주자)의 진영(眞影)을 걸어놓고 경모하여 자신의 호를 회헌(晦軒)이라 하였다.’
[고려사] 열전 ‘안향’
|
‘재상의 임무 가운데 인재를 양성하는 것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다. 그런데 지금 양현고가 비어 인재를 기를 길이 없다. 육품 이상은 은 한 근씩을 내고, 칠품 이하는 등급에 따라 포(布)를 내게 하자. 그 늘어나는 이식(利息)으로 섬학전(贍學錢, 교육기금)을 조성하자.’ ([고려사] 열전 ‘안향’)
|
‘공자(孔子)의 가르침은 만세의 규범이다. 신하가 임금에게 충성하고 아들이 어버이에게 효도하며 아우가 형을 공경하는 것은 누구의 가르침인가? ‘무인인 내가 무엇하러 돈을 내어 문인 생도들을 가르치는 데 보태느냐’ 한다면, 이는 공자를 무시하는 것이니 가당한 일인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