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성 결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 / 박영년, 박찬일
BRIEF HISTORY
56세 남자환자가 신체검사중 발견된 간내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청 검사상 AST/ALT 72/73 IU/L, total bilirubin 0.7 mg/dL였으며, HBsAg(+), HBeAg(+), HBcAb IgG(+)/ IgM(+)이었다. 간분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GROSS FINDING
절제된 간은 4.5×3×2cm 크기로, 절단면상 장경 2cm, 황회색의 둥근 고형성 종괴가 관찰되었다. 종괴의 절단면은 약간의 분엽상을 보였으나, 출혈 또는 괴사의 소견은 없었다. 종괴는 주변 간조직과 경계가 불분명하였으며, 피막의 형성은 없었다. 주변 간조직은 만성 간염및 불분명한 결절의 형성을 보였다.
MICROSCOPIC FINDING
결절내부에서 문맥역이 소수 관찰되며, 대부분의 세포가 지방변성을 보인다. 결절을 구성하는 세포는 주위의 간세포와 비교하여 핵대 세포질의 비가 증가된 소간세포 이형성(small liver cell dysplasia)을 보이며, 핵은 비교적 작고 균일하며 핵소체가 뚜렷하다. Mallory 소체가 자주 관찰된다. 이상의 소견은 이형성 결절 고등도의 소견에 부합된다.
종괴의 내부에서 세포밀도가 증가된 부위가 관찰되며, 핵대 세포질의 비가 더 증가된 간세포들이 대부분 1층으로 배열하여 normotrabecular pattern을 보인다. 이 부위는 well differentiated hepatocelllular carcinoma (HCC) (Edmondson- Steiner grade I)으로 생각되며, cell proliferating nuclear antigen에 대한 면역염색상 세포증식능이 현저히 증가되어 있다. 따라서 이형성 결절 고등도에서 well differentiated HCC가 발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면역조직화학염색상 α- smooth muscle actin에 표지되는 담관을 동반하지 않는 신생혈관(unpaired artery) 및 CD34를 표지하는 동양구조의 모세혈관화가 자주 관찰된다. 결절을 구성하는 간세포는 α- fetoprotein을 표지하지 않았다.
DIAGNOSIS
※ Dysplastic nodule, high grade with microscopic foci of well differentiated HCC
※ Chronic hepatitis, B viral, moderate lobular activity, severe portoperiportal activity with fibrous septa formation (transition to cirrhosis)
COMMENT
1.이형성 결절(dysplastic nodule)의 정의
이형성 결절은 선종성 증식(adenomatous hyperplasia, AH), 거대증식성 결절(macroregenerative nodule, MRN) 등으로도 불리우던 병변으로서, 1994년 working international party에서 현재로서는 양성인지 악성인지 확실히 결정하기 어려우나 앞으로 HCC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물학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제정한 명칭이다.
2.이형성 결절의 분류 및 병리학적 소견
이형성 결절은 이형성을 동반한 장경 1mm이상의 간의 결절성 병변으로 대부분 간경변증에서 발생한다. 육안 소견상 이형성 결절은 대부분 주위 간 조직과 색, 성상 등이 틀리며 절단면이 불룩하게 나오는 특징을 보인다. 이형성 결절의 내부에서는 비교적 정상의 문맥역(portal tract)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형성 결절은 구성하는 간세포의 이형성 정도에 따라 저등도 (low grade)와 고등도 (high grade)로 분류된다. 즉 이형성 결절 저등도에서는 간세포의 이형성이 적으며, 이형성 결절 고등도는 중등도 이상의 이형성을 보이나 HCC의 진단에는 부족한 소견을 보인다. 이것을 이전의 분류와 비교하여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연관지어 볼 수 있다.
Type I MRN - ordinary AH - dysplastic nodule, low grade
Type II MRN - atypical AH - dysplastic nodule, high grade
이형성이 심해질수록 즉 간경변 결절, 이형성 결절 저등도, 이형성 결절 고등도, HCC가 발생함에 따라 간세포의 증식능이 증가되며, 신생혈관의 증식 즉, 담관을 동반하지 않는 muscular artery (unpaired artery)의 증식, 동양구조의 모세혈관화 즉 혈관내피세포의 유창 감소, 기저막 축적, factor VIII 및 CD34 의 표현 등이 의의있게 증가된다.
3. 다단계 간암발생에서 이형성 결절의 의의 및 조기 간세포암종 (Early HCC)
동물의 간암발생실험에서 밝혀졌듯이 인체의 간암발생과정도 다단계의 발생과정을 거쳐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의 이형성결절에서 microscopic HCC가 발생하거나, 또는 HCC의 변연부에서 이형성결절의 자취가 관찰되는 소견은 이형성 결절이 다단계 간암발생의 조기단계임을 뒷받침한다 (그림 1).
대한간학회지 제 6 권 제 3 호, 2000
간의 이형성 결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 교실 / 박영년
서 론
최근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조기 및 전암 병변을 진단하고자 하는 노력 및 영상 진단학의 발달로 만성 간질환에서, 특히 간경변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큰 크기의 결절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결절이 발견되어 병리조직학적으로 살펴보면, 소간세포암종(small HCC)인 경우도 있으나, 그 밖에 결절내부에서 비교적 정상크기의 문맥역(portal tract)들이 존재하며, 결절을 구성하는 간세포들에서 세포학적 및 구조적 비정형성이 관찰되지 않거나, 비정형성이 관찰되나 HCC의 진단에는 부족한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결절들은 그 동안의 추적 관찰을 통하여 간의 다른 부위에 HCC가 존재하거나, 또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이 알려졌으며, 이러한 결절의 내부에서 microscopic HCC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다. 이 병변들은 그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보고되었는 데 ‘선종성 과증식 (adenomatous hyperplasia, AH)’은 Edmondson이 한정된 성장능을 가진 병변이란 의미로 처음 기술한 이래 주로 일본의 연구자들 사이에 널리 사용되어왔으며, 거대증식성 결절(macroregenerative nodule, MRN)은 구미의 연구 논문에서 주로 쓰여왔다. 그 밖에 borderline lesion, hepatocellular pseudotumor 등의 이름으로도 불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들은 병변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다소 부적절한 점이 있어, 최근 working international party에서 이형성 결절(dysplastic nodule)로 명명하기를 제안하였다.
이형성 결절의 정의
1994년 world congress of gastroenterology에서 working international party의 토의를 거쳐 제정한 새로운 명칭인 이형성 결절은 현재로서는 양성인지 악성인지 확실히 결정하기 어려우나 앞으로 간세포암종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물학적 특성에 중점을 둔 명칭이다. 이형성 결절 (dysplastic nodule)은 이형성을 동반한 장경 1mm 이상의 간의 결절성 병변으로 확실한 악성의 조직학적 소견 은 없으며 대부분 간경변증에서 발생한다. 육안 소견상 이형성 결절은 대부분 주위 간조직과 색, 성상 등이 틀리며 절단면이 불룩하게 나오는 특징을 보인다 (Fig. 1). 이형성 병소 (dysplastic foci)는 장경 1mm 이하의 간세포 군집으로 이형성은 관찰되나 확실한 악성의 조직학적 소견은 없다.
그 동안 여러 논문에서 쓰여져 왔던 MRN 또는 AH는 장경 0.8cm 또는 1.0cm 이상의 결절 만을 지칭하였으나, 새로운 정의에서는 장경 1mm 이상은 이형성 결절로, 그 이하는 이형성 병소(dysplastic foci)로 정의함으로써 이형성 결절을 진단시 병변의 크기는 중요성이 적어졌다.
이형성 결절의 발생 빈도
이형성 결절의 발생빈도는 간경변 환자의 14- 25%으로, 이는 장경 0.8cm 또는 1cm이상의 결절 만을 연구대상으로한 보고들에 의한 것이다. 이형성 결절은 대부분 간경변 환자에서 발생되나, 드물게는 간경변이 발생되지 않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이형성 결절이 발생된 경우 간경변 및 만성 간질환을 일으킨 원인은 다양하며, 미국에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 155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 보고에 의하면, 그 중 44예 (28%)에서 이형성결절이 발생되었으며, 원인별로는 C형 간 염에서 71%, B형 간염에서 67%,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33%, 자가면역성간염에서 20%,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에서 18%,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에서 12%의 이형성 결절의 발생율을 보였으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간경변증에서도 60%의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 저자가 경험한 이형성결절은 B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발생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형성 결절의 분류 및 감별 진단
1) 이형성 결절의 분류
이형성 결절은 병리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저등도 (low grade)와 고등도 (high grade)로 분류된다. 저등도 이형성 결절에서는 결절을 구성하는 간세포의 이형성이 미약하며, 고등도 이형성 결절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이형성이 관찰되나 악성 종양의 소견은 없다 (Fig. 2 와 3). 이것을 이전의 분류와 비교하여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연관지어 볼 수있다.
Type I MRN - ordinary AH - dysplastic nodule, low grade
Type II MRN - atypical AH - dysplastic nodule, high grade
이형성 결절의 분류에 따른 병리조직학적 진단기준은 학자들간에 다소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인 진단기준은 Table 1과 같다.
2) 조기 간세포암종이란?
조기 간세포암종 (early HCC)은 이형성 결절에서 HCC가 발생된 것을 지칭하며, HCC의 다단계 발생 과정 중 이형성 결절과 HCC의 중간 단계로 생각된다. 대부분 기존의 간엽 구조의 파괴없이 분화가 좋은 HCC가 발생하며, 병변내에 문맥역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적이다(Fig 3).
연구보고자들에 따라서는 이형성 결절에서 육안적으로는 관찰되지 않는 즉 microscopic HCC가 발생된 경우를 early HCC으로, 이형성 결절에서 육안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HCC가 발생되는 경우, 즉 macroscopic HCC 주위로 고등도 이형성결절가 관찰되는 경우를 early advanced HCC (HCC with early component)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에 반하여 소간세포암종 (small HCC)은 이러한 조기 병변, 즉 이형성 결절의 소견없이 전체 병변이 HCC의 소견을 보이는 장경 2cm 이하의 결절을 지칭한다.
이들 병변을 방사선학적 소견 또는 육안 소견만으로 이형성 결절, early HCC 또는 small HCC인지 감별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불가능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리조직학적 검색이 필수적이다.
3) 거대 재생결절 (Large regenerative nodule)과의 감별
거대 재생결절이란 간경변의 재생결절들 중 장경 약 0.5cm 이상의 큰 크기의 결절을 지칭한다. Kondo 등은 17명의 간경변 환자에서 발생한 거대 재생결절들을 치료하지않고 13 - 52 개월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 4개의 결절은 관찰기간 중 소실되어 더 이상 방사선학적 검사상 관찰이 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결절들도 크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생검 소견상 비정형성이 관찰되지 않아 이 결절들은 전암병변으로서의 특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거대 재생결절과 이형성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병리학적 소견은 Table 2와 같다. 그러나 실제로는 거대 재생결절과 이형성이 미약한 이형성 결절 저등도는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분자병리학적 검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Hytiroglou 등은 155 예의 간 이식시 적출된 간 조직을 검색한 결과, 10예에서 무수히 많은 결절의 발생이 관찰되었으며, 육안 및 현미경적 소견이 이형성 결절 저등도와 유사하였다. 이 예들은 모두 간염으로 인한 괴사후 발생된 간경변에서 발생되었으며, 발생 연령이 통상의 이형성 결절이 발생된 환자들에 비해 의의 있게 낮았다 (평 균연령 31세 vs. 48세). 또한 이 예들에서의 HCC의 발생 빈도는 10%로 전체 간경변 환자의 HCC발생 빈도인 8%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이들 병변은 거대 재생결절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 하였으며, 간염에 의한 괴사후 발생된 간경변증에서 10개 이상의 결절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는 이형성 결절이라기 보다는 거대 재생결절일 가능성이 더 높음을 시사하였다.
이형성 결절의 전암병변으로서의 의의 및 증거
현재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 이형성 결절은 전암병변으로 생각되며, 이를 지지하는 소견들은 다음과 같다. 이형성 결절은 주로 HCC가 발생된 간의 종괴 주변에서 발견되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다. 이형성 결절에서 한개 또는 서너개의 microscopic HCC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분자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이형성 결절이 단일 클론의 증식임이 증명되었다. 이형성 결절 고등도에서는 비배수성의 발생이 증가된다. 이형성 결절의 세포증식능의 증가는 이형성 결절 저등도, 고등도 및 HCC가 발생함에 따라 의의있게 증가되나, 저등도 이형성 결절에서는 주위 간경변 결절과 비슷한 정도의 세포증식능을 보인다. 그 밖에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 이형성 결절에서는 전암병변의 특성으로 알려진 다음과 같은 병리 조직학적 소견이 자주 관찰된다; 소간세포 이형성 (small liver cell dysplasia), Mallory 소체의 출현, 이형성 결절내 철분 축적 증가, 철분이 과축적된 결절 내에서 철분의 축적이 없는 병소의 출현, 이형성이 심해질수록 동양구조의 모세혈관화 즉 혈관내피세포의 유창 감소, 기저막 축적, factor VIII 및 CD34 의 표현 등의 증가, 지방변성. 저등도 이형성 결절에서는 위에 기술한 고등도 이형성 결절에서 자주 관찰되는 전암병변으로서의 병리학적 특성들 및 세포증식능의 증가, DNA의 비배수성의 출현 등이 관찰되지 않아, 저등도 이형성 결절의 전암병변으로서의 의의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이형성 결절만으로도 HCC의 발생과 의의있는 연관성을 보이며, 저등도 이형성 결절에서 주위의 간경변 결절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된 신생혈관의 증식을 보이는 점은 저등도 이형성 결절가 아직 병리조직학적 비정형성은 보이지 않으나 전암병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과 같이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 이형성 결절과 HCC는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적어도 이형성 결절의 존재는 앞으로 HCC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것을 예견하는 지표로 생각된다. 고등도 이형성 결절을 절제한 후 3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고등도 이형성 결절에서 microscopic HCC가 관찰된 경우에는 모든 예(3/3)에서, microscopic HCC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36%(4/11)에서 HCC가 발생되었으나, 저등도 이형성 결절 10예에서는 HCC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고등도 이형성 결절가 관찰되어 연속 생검을 통해 추적 관찰한 보고에 의하면 HCC가 발생되기까지의 최단 기간은 4개월이었다. 그러나 아직 모든 고등도 이형성 결절에서 장차 악성 종양이 발생될 것인지 또는 HCC의 어느 정도가 이형성 결절에서 발생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이들 병변의 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분자병리학적 연구를 포함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Screening은 어떻게 할 것인가?
이형성결절을 어떻게 screening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치 않으며, Fig 4는 최근 제안된 한 예이다. 이형성 결절을 조기 진단하는데 있어 문제가 되는 점은 통상의 검사방법이 대부분 비효과적이라는데 있으며, 아래 기술한 내용은 이형성 결절을 screening시 고려하여야할 점이다.
혈청 alpha-fetoprotein (AFP)을 검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인가?
이형성 결절 및 이형성 결절에서 microscopic HCC가 발생된 early HCC 환자들의 혈청 AFP에 대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대부분의 환자 (82%)에서 혈정 AFP 수치가 20ng/ml 이하로 정상이었으며, AF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본 결과 이형성 결절 부위에서는 AFP가 표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혈청 AFP 수치가 정상이어도 이형성 결절 또는 early HCC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2) 이형성 결절의 혈액공급의 특성은?
이형성 결절의 형태구축학적 연구를 통해 이형성 결절의 혈관과 담관은 주위 간조직의 문맥역과 연결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형성 결절내에서는 주위 간경변과 비교하여 문맥(portal vein)의 총단 면적은 감소되어 있으나 동맥의 총단면적은 비슷하거나 증가되어있는 반면, 간세포암종은 동맥혈만을 공급받는다. 또한 신생혈관의 증식 즉, 담관을 동반하지 않는 muscular artery의 증식이 간경변 결절, 이형성 결절 저등도, 이형성 결절 고등도, 간세포암종이 발생함에 따라 의의있게 증가됨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형성 결절의 이중 혈액공급구조 (동맥 혈과 문맥혈의 공급)가 동맥혈의 공급으로만 바뀌어도, 이것이 꼭 악성으로의 전환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양성 종양인 간세포선종 (hepatocellular adenoma)은 동맥혈만 공급받는다.
3) 영상진단학적 검사 방법은 얼마나 정확히 진단할 수 있을까?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 (computered tomography, CT) 등의 통상의 영상진단학적 검사가 이형성 결절의 진단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나, 영상진단 분야에서의 빠른 발전은 매우 고무적이다. 최근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형성결절 진단의 민감도(sensitivity)는 초음파검사 23%, CT 4%, angiography 0%, CT arteriography 25%, CT arterial portography 40%, 수술중 초음파검사 54% 정도였으며, early HCC 진단의 민감도는 초음파검사 64%, CT 58%, angiography 31%, CT arteriography 50%, CT arterial portography 71%, 수술중 초음파검사 88%이다. 각 병변의 방사선학적 특징은 Table 3와 같으며, 한가지 이상의 진단방법을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시 더욱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이 형성 결절의 영상진단에 대한 최근의 연구보고들이다.
간의 결절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결과 간세포암종은 portal venous flow가 없으므로 CT arterial portography상 clear defect로 나타나는데 반해, 이형성 결절은 CT arterial portography상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우며 이는 이형성 결절이 주위의 간경변 결절처럼 portal venous blood flow를 받기때문인 것 같다. 이형성 결절의 4%에서만 동맥혈의 공급이 주위 간조직에서 보다 증가된 반면 간세포암종에서는 94%에서 증가되어 있으며, 동맥내 lipiodol를 주입후 CT를 시행하거나 동맥내 carbon dioxide microtubbles을 주입후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면 이형성 결절은 어느 정도 저관류를 보인다. Color Doppler flow imaging시 pulsating afferent arterial vessels이 관찰되면 HCC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와같이 이형성 결절과 소간세포암종과의 감별에 혈류 공급 유형에 대한 조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이러한 결절에서의 동맥혈 증가의 정확한 평가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MRI상에서 이형성 결절은 T1-weighted image 상에서 hyperintensitiy를 보이는 반면, 소간세포암종은 hyper-, iso- 또는 hypo-intensity를 보인다. T2- weighted image 상에서는 이형성 결절은 hypointensity를 보이며, 소간세포암종은 hyperintensity를 보인다. T1 weighted image상의 hyperintense pattern은 결절내의 지방변성 또는 출혈의 소견과 연관이 있는듯 하나, 조영신호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병리학적 소견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thin section MR imaging이 이형성결절을 발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이 보고되었다.
크기만을 기준으로 거대 증식결절, 저등도 이형성 결절, 고등도 이형성 결절 및 소간세포암종과의 감별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나, 결절의 크기가 1.5cm 이상일 경우에는 악성 병변이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악성병변이 발생되지 않은 이형성 결절은 대부분 장경이 1.2cm 이하이다. 이형성 결절내에 구리 또는 철의 축적, 지방변성 등의 특성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견이 방사선학적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 결절의 세침 생검의 유용성 및 진단의 정확성은 ?
최근 초음파검사하의 간의 세침생검은 점점 자주 쓰이는 진단방법의 하나로, 결절에서 정확히 생검 되었느냐 하는 것이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생검된 검체 내에 이형성 결결 부위와 주변 간조직이 포함되면 두 병변을 비교하여 검색할 수있으므로 진단에 도움이 된다.
세침 생검조직을 이용하여 이형성 결절을 진단시의 진단의 정확도 및 재현율에 대한 연구보고는 아직 없으며, 악성에 대한 진단기준도 학자간에 다소 다르다. Nagato 등은 형태계측학적 연구를 통해 핵면적, 핵대 세포질의 비, 핵 밀도 등이 악성도의 진단에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실제로 생검조직의 진단시 언제나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변화가 재생결절을 구성하는 간세포에서도 반응성 변화 (reactive change)로서 관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형성 결절의 치료 방침은 ?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의 이형성 결절일 경우, 그 생물학적 특성이 좀더 확실히 밝혀질 때까지는 "malignant" 또는 "potentially malignant"로 준하여 치료방침을 세우는 것이 권장된다. 이형성 결절의 치료방법은 수술적 절제 등 그 동안 소간세포암종에 이용되었던 방법들이 실험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특별히 권장되는 방법은 아직 없다.
이형성 결절은 문맥혈의 공급도 받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transarterial embolization (TAE)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이형성 결절에서 간세포암종이 발생된 경우, 특히 피막이 형성된 경우에는 TAE를 시도하고 있다. 경피적 알코올 주입 (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은 현재 일본에서 많이 쓰이는 치료방법이다.
고등도 이형성결절를 절제후에도 남아있는 간조직에서 HCC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간이식이 하나의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소간세포암종으 로 간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HCC의 재발율은 8- 15%인데 반하여, 이형성결절로 간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의 HCC의 발생율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간이식의 시기도 중요하다. .
결 론
간암의 발생과정에는 일련의 동물실험에서 밝혀 졌듯이, 간암종의 형성 이전에 형태학적 변화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유전생물학적 변이가 선행 될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되는 이형성 결절, 특히 고등도의 이형성 결절은 전암병변으로서 다단계 간암발생 과정의 조기 변화로 생각된다. 이러한 병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체의 간암 발생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전암 및 조기 간암종의 진단 및 치료의 새로운 도약이 기대된다.
https://kmbase.medric.or.kr › Fulltext
Korean Journal of HBP Surgery Vol. 1. No. 2. 1997
간의 전암성 병변
이형성 결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