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사흘[삼일, 三日] 동안에 작업한 '숫자 이름 다듬는 벼름[안, 案]'입니다.
자세히 살펴 보시면, 민우리말[순우리말] 숫자 이름이 한자식 숫자 이름에 밀려 죽은 지, 몇 온[백, 百] 해[년, 年] 만에 다시 민우리말 숫자 이름을 되살려 쓰자는 마음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차례<정재도 벼름[안]에 따르면 '차례'가 '次例'가 아님을 알 수 있음.>)
3. 숫자를 적는 미립[숫자를 표기하는 (방)법]
4. 달, 날짜 이름 다듬기[월, 날짜 이름의 순화]
3. 숫자를 적는 미립[숫자를 표기하는 (방)법]
1) 한자리[일단위] 숫자인,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이 열의 자리[십단위] 숫자인, '열', '스물', '서른', '마흔', '쉰', '예순', '일흔', '여든', '아흔' 뒤에 오려면, 먼저 열의 자리 숫자를 쓰고, 그 다음, 한자리 숫자를 나중에 씁니다. 열의 자리 숫자와 한자리 숫자는 붙여 씁니다.
열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열하나, 열둘, 열셋, 열넷, 열다섯, 열여섯, 열일곱, 열여덟, 열아홉
스물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스물하나, 스물둘, 스물셋, 스물넷, 스물다섯, 스물여섯, 스물일곱, 스물여덟, 스물아홉
서른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서른하나, 서른둘, 서른셋, 서른넷, 서른다섯, 서른여섯, 서른일곱, 서른여덟, 서른아홉
마흔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마흔하나, 마흔둘, 마흔셋, 마흔넷, 마흔다섯, 마흔여섯, 마흔일곱, 마흔여덟, 마흔아홉
쉰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쉰하나, 쉰둘, 쉰셋, 쉰넷, 쉰다섯, 쉰여섯, 쉰일곱, 쉰여덟, 쉰아홉
예순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예순하나, 예순둘, 예순셋, 예순넷, 예순다섯, 예순여섯, 예순일곱, 예순여덟, 예순아홉
일흔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일흔하나, 일흔둘, 일흔셋, 일흔넷, 일흔다섯, 일흔여섯, 일흔일곱, 일흔여덟, 일흔아홉
여든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여든하나, 여든둘, 여든셋, 여든넷, 여든다섯, 여든여섯, 여든일곱, 여든여덟, 여든아홉
아흔 +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 아흔하나, 아흔둘, 아흔셋, 아흔넷, 아흔다섯, 아흔여섯, 아흔일곱, 아흔여덟, 아흔아홉
2)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이 '온', '즈믄', '거믄'(골), '잘', '울' 앞에 오려면, 앞가지[접두사] '한', '두', '세', '네',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으로 적고 '온', '즈믄', '거믄'(골), '울' 앞에 붙여 씁니다.
(다만, '둘'을 '울' 앞에 적을 때 '두울'로 적으면, 말할 때 상대방이 '둘'로 잘못 듣기 쉬우므로 '둘울'[이조, 二兆, 2조]로 적습니다.)
하나 + 온[백],즈믄[천],거믄[만] 또는 골[만],잘[억],울[조]
= 한-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한온, 한즈믄, 한거믄 또는 한골, 한잘, 한울
둘 + 온[백],즈믄[천],거믄[만] 또는 골[만],잘[억],울[조]
= 두-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두온, 두즈믄, 두거믄 또는 두골, 두잘, 둘울
셋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세-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세온, 세즈믄, 세거믄 또는 세골, 세잘, 세울
넷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네-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네온, 네즈믄, 네거믄 또는 네골, 네잘, 네울
다섯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다섯-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다섯온, 다섯즈믄, 다섯거믄 또는 다섯골, 다섯잘, 다섯울
여섯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여섯-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여섯온, 여섯즈믄, 여섯거믄 또는 여섯골, 여섯잘, 여섯울
일곱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일곱-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일곱온, 일곱즈믄, 일곱거믄 또는 일곱골, 일곱잘, 일곱울
여덟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여덟-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여덟온, 여덟즈믄, 여덟거믄 또는 여덟골, 여덟잘, 여덟울
아홉 + 온[백], 즈믄[천], 거믄[만] 또는 골[만], 잘[억], 울[조]
= 아홉- + 온, 즈믄, 거믄 또는 골, 잘, 울
= 아홉온, 아홉즈믄, 아홉거믄 또는 아홉골, 아홉잘, 아홉울
3) 열의 자리[십단위] 숫자와 한자리 숫자가 더한 숫자가 '온', '즈믄', '거믄'(골), '잘', '울'의 자리 숫자가 만날 때, 먼저, 2)에 나와 있던, '온', '즈믄', '거믄'(골), '잘', '울'의 자리 숫자를 이들의 내림차례[내림차순]인, '울', '잘', '거믄'(골), '즈믄', '온'의 자리 숫자 차례[순서]대로 쓰고, 그 다음, 1)에 나와 있던, 열의 자리 숫자, 한자리 숫자 따위를 적습니다.
(1)온의 자리[백단위] 숫자 + 열의 자리 숫자 + 한자리 숫자
보기> 200 - 두온 <온의 자리 숫자>, 40 - 마흔 <열의 자리 숫자>, 3 - 셋 <한자리 숫자>
(열의 자리 숫자가 없는 갈음에[대신], 한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200 + 3 = 203
두온 + 셋 = 두온셋
(열의 자리 숫자만 들어 있고, 한자리 숫자가 들어 있지 않을 때,)
200 + 40 = 240
두온 + 마흔 = 두온마흔
(열의 자리 숫자와 한자리 숫자가 모두 들어 있을 때,)
200 + 40 + 3 = 243
두온 + 마흔 + 셋 = 두온마흔셋
(2)즈믄의 자리[천단위] 숫자 + 온의 자리 숫자 + 열의 자리 숫자 + 한자리 숫자
<보기> 3000 - 세즈믄 <즈믄의 자리[천단위] 숫자>, 400 - 네온 <온의 자리 숫자>,
70 - 일흔 <열의 자리 숫자>, 5 - 다섯 <한자리 숫자>
(온의 자리 숫자, 열의 자리 숫자가 없는 갈음에[대신], 한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5 = 3005
세즈믄 + 다섯 = 세즈믄다섯
(온의 자리 숫자, 한자리 숫자가 없는 갈음에[대신], 열의 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70 = 3070
세즈믄 + 일흔 = 세즈믄일흔
(열의 자리 숫자, 한자리 숫자가 없는 갈음에, 온의 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400 = 3400
세즈믄 + 네온 = 세즈믄네온
(온의 자리 숫자가 없고, 열의 자리, 한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70 + 5 = 3075
세즈믄 + 일흔 + 다섯 = 세즈믄일흔다섯
(열의 자리 숫자가 없고, 온의 자리, 한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400 + 5 = 3405
세즈믄 + 네온 + 다섯 = 세즈믄네온다섯
(한자리 숫자가 없고, 온의 자리, 열의 자리 숫자가 들어 있을 때,)
3000 + 400 + 70 = 3470
세즈믄 + 네온 + 일흔 = 세즈믄네온일흔
(모두 들어 있을 때,)
3000 + 400 + 70 + 5 = 3475
세즈믄 + 네온 + 일흔 + 다섯 = 세즈믄네온일흔다섯
(3)거믄(골)의 자리[만단위] 숫자 + (2) 번의 보기
보기> 40000 - 네거믄/네골 <거믄(골)의 자리 숫자>, 나머지는 (2) 번의 보기를 참조.
(적을 때, 거믄(골)의 자리 뒤에는 띄어 씁니다.)
40000 + 3000 + 400 + 70 + 5 = 43475
네거믄/네골 + 세즈믄 + 네온 + 일흔 + 다섯 = 네거믄(네골) 세즈믄네온일흔다섯
(4)잘의 자리[억단위] 숫자 + (3) 번의 보기
(5)울의 자리[조단위] 숫자 + (4) 번의 보기
나머지, '거믄'(골), '잘', '울' 앞에 올 때, 한자리 숫자, 열의 자리 숫자, 온[백]의 자리 숫자, 즈믄[천]의 자리 숫자의 한글 적기는 '거믄'(골), '잘', '울' 앞에 붙여 쓰고, (다만, 즈믄의 자리 숫자, 온의 자리 숫자, 열의 자리 숫자, 한자리 숫자 차례 대로 적고 '거믄(골)', '잘', '울'앞에 붙여씁니다. 또, 열의 자리 숫자인 '스물'이 '울'앞에 올 때, '스물울'로 적습니다. '스무울'로 잘못 적으면, 상대방이 '스물'로 잘못 듣기 쉽습니다.). 뒤에 올 때, 한자리 숫자, 열의 자리 숫자, 온의 자리 숫자, 즈믄의 자리 숫자는 '거믄'(골), '잘', '울' 뒤에 적고 띄어 씁니다.<골, 잘, 울의 자리 숫자표는 항목 3-4)를 참조>
(1) 앞에 올 때,
<보기> 한자리 숫자<셋> + 거믄(골), 잘, 울 = 세- + 거믄(골), 잘, 울
= 세거믄/세골[삼만], 세잘[삼억], 세울[삼조]
열의 자리 숫자<스물> + 거믄(골), 잘, 울 = 스무- + 거믄(골), 잘, 울
= 스무거믄/스무골[이십만], 스무잘[이십억], 스물울[이십조]
온의 자리 숫자<다섯온> + 거믄(골), 잘, 울 = 다섯온 + 거믄(골), 잘, 울
= 다섯온거믄/다섯온골[오백만], 다섯온잘[오백억], 다섯온울[오백조]
즈믄의 자리 숫자<세즈믄> + 거믄(골), 잘, 울 = 세즈믄 + 거믄(골), 잘, 울
= 세즈믄거믄/세즈믄골[삼천만], 세즈믄잘[삼천억], 세즈믄울[오천조]
(2) 뒤에 올 때,
<보기> 거믄(골)[만, 萬]의 자리 + 즈믄[천, 千]의 자리 + 온[백, 百]의 자리
+ 열[십, 十]의 자리 + 하나[일, 一]의 자리(한자리 숫자)
11,111 - (한)거믄/(한)골 (한)즈믄(한)온열하나
22,345 - 두거믄/두골 두즈믄세온마흔다섯...
잘[억, 億]의 자리 + 즈믄[천, 千]의 자리 + 온[백, 百]의 자리
+열[십, 十]의 자리 + 하나[일, 一]의 자리(한자리 숫자)
111,110,000 - (한)잘 (한)즈믄(한)온열한거믄, (한)잘 (한)즈믄(한)온열한골
122,345,123 - (한)잘 두즈믄두온서른네거믄 다섯즈믄(한)온스물셋
, (한)잘 두즈믄두온서른네골 다섯즈믄(한)온스물셋...
울[조, 兆]의 자리 + 즈믄[천, 千]의 자리 + 온[백, 百]의 자리
+ 열[십, 十]의 자리 + 하나[일, 一]의 자리(한자리 숫자)
4) 골, 잘, 울의 자리 숫자표
(1)골(거믄)[만, 萬]의 자리 숫자
|
자릿수 | |||
한자리 |
열의 자리 |
온의 자리 |
즈믄의 자리 | |
하나 |
(한)골/(한)거믄 |
열골/열거믄 |
(한)온골/(한)온거믄 |
(한)즈믄골/(한)즈믄거믄 |
둘 |
두골/두거믄 |
스무골/스무거믄 |
두온골/두온거믄 |
두즈믄골/두즈믄거믄 |
셋 |
세골/세거믄 |
서른골/서른거믄 |
세온골/세온거믄 |
세즈믄골/세즈믄거믄 |
넷 |
네골/네거믄 |
마흔골/마흔거믄 |
네온골/네온거믄 |
네즈믄골/네즈믄거믄 |
다섯 |
다섯골/다섯거믄 |
쉰골/쉰거믄 |
다섯온골/다섯온거믄 |
다섯즈믄골/다섯즈믄거믄 |
여섯 |
여섯골/여섯거믄 |
예순골/예순거믄 |
여섯온골/여섯온거믄 |
여섯즈믄골/여섯즈믄거믄 |
일곱 |
일곱골/일곱거믄 |
일흔골/일흔거믄 |
일곱온골/일곱온거믄 |
일곱즈믄골/일곱즈믄거믄 |
여덟 |
여덟골/여덟거믄 |
여든골/여든거믄 |
여덟온골/여덟온거믄 |
여덟즈믄골/여덟즈믄거믄 |
아홉 |
아홉골/아홉거믄 |
아흔골/아흔거믄 |
아홉온골/아홉온거믄 |
아홉즈믄골/아홉즈믄거믄 |
|
자릿수 | |||
한자리 |
열의 자리 |
온의 자리 |
즈믄의 자리 | |
하나 |
(한)잘 |
열잘 |
(한)온잘 |
(한)즈믄잘 |
둘 |
두잘 |
스무잘 |
두온잘 |
두즈믄잘 |
셋 |
세잘 |
서른잘 |
세온잘 |
세즈믄잘 |
넷 |
네잘 |
마흔잘 |
네온잘 |
네즈믄잘 |
다섯 |
다섯잘 |
쉰잘 |
다섯온잘 |
다섯즈믄잘 |
여섯 |
여섯잘 |
예순잘 |
여섯온잘 |
여섯즈믄잘 |
일곱 |
일곱잘 |
일흔잘 |
일곱온잘 |
일곱즈믄잘 |
여덟 |
여덟잘 |
여든잘 |
여덟온잘 |
여덟즈믄잘 |
아홉 |
아홉잘 |
아흔잘 |
아홉온잘 |
아홉즈믄잘 |
|
자릿수 | |||
한자리 |
열의 자리 |
온의 자리 |
즈믄의 자리 | |
하나 |
(한)울 |
열울 |
(한)온울 |
(한)즈믄울 |
둘 |
둘울 |
스물울 |
두온울 |
두즈믄울 |
셋 |
세울 |
서른울 |
세온울 |
세즈믄울 |
넷 |
네울 |
마흔울 |
네온울 |
네즈믄울 |
다섯 |
다섯울 |
쉰울 |
다섯온울 |
다섯즈믄울 |
여섯 |
여섯울 |
예순울 |
여섯온울 |
여섯즈믄울 |
일곱 |
일곱울 |
일흔울 |
일곱온울 |
일곱즈믄울 |
여덟 |
여덟울 |
여든울 |
여덟온울 |
여덟즈믄울 |
아홉 |
아홉울 |
아흔울 |
아홉온울 |
아홉즈믄울 |
1) 달 이름
1월, 일월, 一月, January<재뉴어리>, 준말:Jan
→ 해오름달, 해솟음달, 준말:해오 또는 해솟
2월, 이월, 二月, February<페브루어리>, 준말:Feb → 시샘달, 준말:시샘
3월, 삼월, 三月, March<마치>, 준말:Mar → 물오름달, 준말:물오
4월, 사월, 四月, April<에이프럴>, 준말:Apr → 잎새달, 준말:잎새
5월, 오월, 五月, May<메이>, 준말:May → 푸른달, 준말:푸른
6월, 유월, 六月, June<준>, 준말:Jun → 누리달, 준말:누리
7월, 칠월, 七月, July<줄라이>, 준말:Jul → 견우직녀달, 준말:견우
8월, 팔월, 八月, August<오거스트>, 준말:Aug → 타오름달, 준말:타오
9월, 구월, 九月, September<셉템버>, 준말:Sep → 열매달, 준말:열매
10월, 시월, 十月, October<악토버>, 준말:Oct → 하늘연달, 준말:하늘
11월, 십일월, 十一月, November<노벰버>, 준말:Nov → 미틈달, 준말:미틈
12월, 십이월, 十二月, December<디셈버>, 준말:Dec → 매듭달, 준말:매듭
2) 날짜 이름
1일, 일일, 一日 → 하루, 하룻날
2일, 이일, 二日 → 이틀, 이튿날
3일, 삼일, 三日 → 사흘, 사흗날
4일, 사일, 四日 → 나흘, 나흗날
5일, 오일, 五日 → 닷새, 닷샛날
6일, 육일, 六日 → 엿새, 엿샛날
7일, 칠일, 七日 → 이레, 이렛날
8일, 팔일, 八日 → 여드레, 여드렛날
9일, 구일, 九日 → 아흐레, 아흐렛날
10일, 십일, 十日 → 열흘, 열흘날
11일, 십일일, 十一日 → 열하루, 열하룻날
12일, 십이일, 十二日 → 열이틀, 열이튿날
13일, 십삼일, 十三日 → 열사흘, 열사흗날
14일, 십사일, 十四日 → 열나흘, 열나흗날
15일, 십오일, 十五日 → 열닷새, 열닷샛날
16일, 십육일, 십륙일, 十六日 → 열엿새, 열엿샛날
17일, 십칠일, 十七日 → 열이레, 열이렛날
18일, 십팔일, 十八日 → 열여드레, 열여드렛날
19일, 십구일, 十九日 → 열아흐레, 열아흐렛날
20일, 이십일, 二十日 → 스무날
21일, 이십일일, 二十一日 → 스무하루, 스무하룻날
22일, 이십이일, 二十二日 → 스무이틀, 스무이튿날
23일, 이십삼일, 二十三日 → 스무사흘, 스무사흗날
24일, 이십사일, 二十四日 → 스무나흘, 스무나흗날
25일, 이십오일, 二十五日 → 스무닷새, 스무닷샛날
26일, 이십육일, 이십륙일, 二十六日 → 스무엿새, 스무엿샛날
27일, 이십칠일, 二十七日 → 스무이레, 스무이렛날
28일, 이십팔일, 二十八日 → 스무여드레, 스무여드렛날
29일, 이십구일, 二十九日 → 스무아흐레, 스무아흐레
30일, 삼십일, 三十日 → 서른날
31일, 삼십일일, 三十一日 → 서른하루, 서른하룻날
32일, 삼십이일, 三十二日 → 서른이틀, 서른이튿날
33일, 삼십삼일, 三十三日 → 서른사흘, 서른사흗날
34일, 삼십사일, 三十四日 → 서른나흘, 서른나흗날
35일, 삼십오일, 三十五日 → 서른닷새, 서른닷샛날
36일, 삼십육일, 삼십륙일, 三十六日 → 서른엿새, 서른엿샛날
37일, 삼십칠일, 三十七日 → 서른이레, 서른이렛날
38일, 삼십팔일, 三十八日 → 서른여드레, 서른여드렛날
39일, 삼십구일, 三十九日 → 서른아흐레, 서른아흐렛날
40일, 사십일, 四十日 → 마흔날
50일, 오십일, 五十日 → 쉰날
60일, 육십일, 六十日 → 예순날
70일, 칠십일, 七十日 → 일흔날
80일, 팔십일, 八十日 → 여든날
90일, 구십일, 九十日 → 아흔날
100일, 백일, 百日 → (한)온날
365일, 삼백육십오일, 삼백륙십오일, 三百六十五日 → 세온예순닷새, 세온예순닷샛날
1000일, 천일, 千日 → 즈믄날...
<한 달의 마지막 날 : 그믐>
3) 날짜 적기
(열(10)의 하나치[십단위] 이상의 숫자로 된 날짜 수를 나타낼 때,)
열(10)의 하나치[십단위] 이상의 숫자(단, 한자리 숫자와 '열흘'은 제외)
<항목 4-4)을 참조.> + 날
<보기> 스물+날 = 스무날, 서른+날 = 서른날, 마흔+날 = 마흔날,]
(한)온+날 = (한)온날, (한)즈믄+날 = (한)즈믄날...
(숫자로 적으면),
<보기> 20날 <읽음:스무날>, 30날 <읽음:서른날>, 40날 <읽음:마흔날>,
100날 <읽음:한온날 또는 온날>, 1000날 <읽음:한즈믄날 또는 즈믄날>...
(열(10)의 하나치[십단위] 이상의 숫자와 한자리 숫자로 된 날짜 수를 나타낼 때,)
열(10)의 하나치[십단위] 이상의 숫자<항목 4-4)을 참조.> + 한자리 숫자 + 날
또는 열(10)의 하나치[십단위] 이상의 숫자 + 한자리 숫자로 된 날
(단 스무날[이십일]과 서른날[삼십일] 사이의 날짜는 모두 한자리 숫자(1 - 9)로 된 날짜 이름 앞에 '스무'로 적습니다.)
<보기> 스물+하루+날 = 스무하룻날, 스물+이틀+날 = 스무이튿날,
스물+사흘+날 = 스물사흗날, 마흔+하루+날 = 마흔하룻날,
마흔+이틀+날 = 마흔이튿날...
스무+하루 = 스무하루, 스무+이틀 = 스무이틀,
스무+사흘 = 스무사흘, 마흔+하루 = 마흔하루,
마흔+이틀 = 마흔이틀...
(한)온+스물+하루 = (한)온스무하루,
(한)온+스물+이틀 = (한)온스무이틀,
(한)즈믄+스물+하루 = (한)즈믄스무하루...
(숫자로 적으면),
<보기> 21날 <읽음:스무하룻날>, 22날 <읽음:스무이튿날>, 23날 <읽음:스무사흗날>,
41날 <읽음:마흔하룻날>, 42날 <읽음:마흔이튿날>...
20하루 <읽음:스무하루>, 20이틀 <읽음:스무이틀>, 20사흘 <읽음:스무사흘>,
40하루 <읽음:마흔하루>, 40이틀 <읽음:마흔이틀>...
이보다 자세하게 읽는 미립[방법]은 항목 4-5)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4) 10(열)의 하나치[10 단위] 이상의 숫자
10 열
100 온
1,000 즈믄
10,000 거믄/골<축구 쓰임말 '골'(goal)의 뜻과 다르다.>
100,000 열거믄/열골
1,000,000 온거믄/온골
10,000,000 즈믄거믄/즈믄골
100,000,000 잘
1,000,000,000 열잘
10,000,000,000 온잘
100,000,000,000 즈믄잘
1,000,000,000,000 (한)울<잉글랜드 말로 '양털'을 뜻하는 '울'(Wool)의 뜻과 다르다.>
10,000,000,000,000 열울
100,000,000,000,000 온울
1,000,000,000,000,000 즈믄울
5) 우리말 날짜의 숫자 적기
숫자+한글 |
읽는 적기 |
숫자+한글 |
읽는 적기[독음 표기] |
1날 |
하룻날 |
하루 |
하루 |
2날 |
이튿날 |
이틀 |
이틀 |
3날 |
사흗날 |
사흘 |
사흘 |
4날 |
나흗날 |
나흘 |
나흘 |
5날 |
닷샛날 |
닷새 |
닷새 |
6날 |
엿샛날 |
엿새 |
엿새 |
7날 |
이렛날 |
이레 |
이레 |
8날 |
여드렛날 |
여드레 |
여드레 |
9날 |
아흐렛날 |
아흐레 |
아흐레 |
10날 |
열흘날 |
열흘 |
열흘 |
11날 |
열하룻날 |
10하루 |
열하루 |
12날 |
열이튿날 |
10이틀 |
열이틀 |
13날 |
열사흗날 |
10사흘 |
열사흘 |
14날 |
열나흗날 |
10나흘 |
열나흘 |
15날 |
열닷샛날 |
10닷새 |
열닷새 |
16날 |
열엿샛날 |
10엿새 |
열엿새 |
17날 |
열이렛날 |
10이레 |
열이레 |
18날 |
열여드렛날 |
10여드레 |
열여드레 |
19날 |
열아흐렛날 |
10아흐레 |
열아흐레 |
20날 |
스무날 |
20날 |
스무날 |
21날 |
스무하룻날 |
20하루 |
스무하루 |
22날 |
스무이튿날 |
20이틀 |
스무이틀 |
23날 |
스무사흗날 |
20사흘 |
스무나흘 |
24날 |
스무나흗날 |
20나흘 |
스무사흘 |
25날 |
스무닷샛날 |
20닷새 |
스무닷새 |
26날 |
스무엿샛날 |
20엿새 |
스무엿새 |
27날 |
스무이렛날 |
20이레 |
스무이레 |
28날 |
스무여드렛날 |
20여드레 |
스무여드레 |
29날 |
스무아흐렛날 |
20아흐레 |
스무아흐레 |
30날 |
서른날 |
30날 |
서른날 |
100날 |
(한)온날 |
100날 |
(한)온날 |
1000날 |
(한)즈믄날 |
1000날 |
(한)즈믄날 |
... |
... |
... |
... |
만든 날짜 : 두즈믄넷-잎새달-나흘(일) 2004-04-04(일)
올린 날짜 : 두즈믄넷-잎새달-나흘(일) 2004-04-04(일)
첫댓글 방송에서 북쪽 사람인지 중국 연길 사람인지가 "2년 되었습니다." 하지 않고 "두 해 되었시오."라고 말하는 걸 들을 일이 있습니다. 말도 길들이기 나름입니다. 우리 새말을 말들고 또 옛 우리말을 찾아 쓰다가 보면 민우리말이 눈과 귀에 잘 들어올 겁니다. 지난날 우린 새말 만들기에 힘쓰지 않은 잘못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