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부처님 마음으로
 
 
 
 

친구 카페

 
등록된 친구카페가 없습니다
 
카페 게시글
―········ 질 병 치 료 스크랩 복막하 장벽내 가스, Pneumatosis intestinalisㅡ위
목탁소리 추천 0 조회 256 13.08.25 20:42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복막하 장벽내 가스, Pneumatosis intestinalisㅡ위 

검체명: colon 셩별:여자  나이:61세
진단명: 복막하 장벽내 가스, Pneumatosis intestinalis

 [1]정의

공기로 찬 낭종들이 장벽내에 있는 장애 
[2]유병율
흔하지 않은 장애로 확실한 유병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 50대에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고, 남녀 비슷한 비율로 발생한다.
 [3]원인

 여러 가지 질환들이 복막하 장벽내 가스를 만들 수 있다. 장의 감염성 질환- 충수돌기염, 대장염 등-과 연관되어 생기는 경우,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나 수술이나 항암 치료 후, 폐기종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약 20%의 경우에서는 다른 원인이 없이 장벽 내에 가스 낭종이 생긴다.

 [4]육안조직소견
소장이나 대장의 점막 아래 부분에 다양한 크기의 공기 낭종이 보인다.
[5]예후 및 치료
원인 질환의 치료가 중요하고,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산소치료로 좋은 예후를 보인다

샘암종, Adenocarcinoma

검체명:S-colon
성별:남자ㅡ나이:65세
진단명: 샘암종, Adenocarcinoma
[1] 정의
대장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종양이다.
[2] 유병율
대장의 샘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계속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2003년에서 2005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가운데 대장암이 차지하는 비율은 12.0%이며, 남자에서는 위암, 폐암, 간암 다음으로 잘 생기고, 여자에서는 유방암, 갑상선암, 위암 다음으로 발생율이 높다. 대장의 샘암종은 6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3] 원인
식이인자로 흡수되지 않는 식이섬유의 낮은 함량, 정제된 탄수화물의 높은 함량, 지방의 높은 함량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게실 질환, 충수염, 종양성 대장폴립, 염증성 장관 질환 등에서 대장암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4] 육안조직소견
검체는 우측 결장이며 원위부 쪽에 버섯 모양의 융기된 병변이 관찰된다. 이 병변의 중앙에는 괴사되어 움푹 패인 소견이 관찰된다. 단면을 보면 장막 하부까지 종양이 침윤해 있음을 아 수 있다. 우측 대장에는 주로 버섯 모양의 폴립형태로 주로 나타나고 좌측 대장에는 윤상의 협착형으로 잘 나타난다.
[5] 예후 및 치료
대장암의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진단 당시 병의 진행 정도, 즉 stage이다. 따라서 장관 침범의 범위, 림프절이나 기타 장소에 전이 유무 등이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체적으로 대장암의 5년 생존율은 35-49% 이다. 치료는 림프절 청소술을 포함한 광범위한 절제이다.

가족성 선종성용종증

검체명: colon
성별:남자ㅡ나이: 20세
진단명: 가족성 선종성용종증,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1]정의

종양성 샘종이 전 대장에 걸쳐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2]유병율
전체 대자암의 1% 정도를 차지한다. 첫 발견되는 나이는 차이가 많으나 10~20대에 가장 많이 발견되고 40세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도 20%나 된다.
[3]원인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가족샘종폴립증의 원인 유전자는 염색체 5q21에 존재하는 APC유전자의 배돌연변이(germline mutation)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APC 1개의 대립유전자가 돌연변이된 상태로 태어나서 생활을 하는 가운데 나머지 대립유전자에도 돌연변이가 나타나면 암발생이 일어나게 되는 것임이 밝혀졌다.
[4]육안조직소견
대장점막에 무수히 많이 자갈같이 깔려 있는 것이 모두 폴립모양 샘종이다. 다양한 크기의 무경 또는 유경의 폴립소견으로 비교적 매끈한 표면을 보인다.
[5]예후 및 치료
조직학적으로 대부분의 폴립은 관샘종이나, 융모샘종이 섞인 경우도 소수 있다. 이 폴립은 악성 변환의 빈도가 매우 높다. 어떤 환자는 발견 시에 이미 결장이나 직장에 암이 발생해 있기도 하다. 대장을 제거하지 않는 한 이 질환에서는 암이 발생할 확률은 100%이다.

 

가족샘종폴립증이 확진되면 예방적 대장절제술 또는 대장절제술이 권장된다. 또한 발견 즉시 형제 등 가까운 친족에서 이 질환이 발생하였는가를 조사해보아야 한다.

 비호지킨림프종, Non-Hodgikin lymphoma

검체명:Colon
성별:여자ㅡ나이:65세
진단명: 비호지킨림프종, Non-Hodgikin lymphoma
[1]정의
악성 림프종은 호지킨림프종과 비호지킨림프종으로 구분된다. 이중 비호지킨림프종은 B,T 혹은 NK세포의 종양으로 병리소견, 면역형, 임상양상이 다른 이질적인 여러 림프종을 포함하는 질병군이다.
 [2]유병율
비호지킨림프종은 전체 대장암의 0.5% 정도를 차지한다.  
[3]원인
비호지킨림프종의 대부분(80~90%)은 B세포 기원이며, 그 나머지는 T 혹은 NK세포 기원이다. T와 B세포의 종양은 분화과정 중의 어느 일정 단계의 면역표현형을 보이므로 그 단계에서 분화가 정지된 세포로 생각하기도 한다.  
[4]육안조직소견
점막관련 림프조직에서 발생하여 육안적으로 림프절비대가 없는 경우에서부터 다양한 소견을 보인다. 림프절비대가 있는 경우 백색에서 회백색의 결절을 형성하면 주변 점막에 부종이 동반되어 있기도 하다.  
[5]예후 및 치료
대장에서 발생하는 악성림프종의 경우 임상경과와 예후에 대해 많이 밝혀져 있지 않다

점막하 지방종 Submucosal lipoma 

위, 신경초종 神經梢腫  Stomach, schwannoma

위, 신경초종 神經梢腫  Stomach, schwannoma 

66세 여자 위

[1] 정의

말초신경에 있는 슈반세포에서 유래한 양성 종양 

[2] 유병률

위에서 발병하는 신경초종은 매우 드물다. 

[3] 원인

원인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일부는 신경 섬유종증 2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육안조직소견

신경초종은 경계가 분명하고 피막으로 잘 싸여 있으며, 신경에 붙어 있지만 쉽게 분리된다. 종양은 대부분 단단하고 회색인데 낭 모양 변화를 볼 수 있고 황색종과 비슷하게 보이는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체에서는 위 점막하에 경계가 잘 지워지는 연황색의 부드러운 종괴가 관찰된다. 

[5] 치료 및 예후

대부분 무증상이나 복부 불쾌감등을 호소할 수 있고 수술적 절제를 하며, 재발의 가능성은 없다

출처 ; 피부미인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