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정의 | -산: 대체로 수백미터 이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한 것(지리산, 배두산) -구릉: 높이가 400미터 이하의 돌출부를 구릉이라한다. 구릉(丘陵)이란 완만한 기복의 낮은 산이나 언덕이 계속되는 지형을 말하고 대략 100만년 전에서 30만년 전에 생겼다. 대부분 남부지방 -산맥: 수십 개의 산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산 (태백산맥) -산은 峰, 臺, 岩, 岳, 丘, 德,谷, 溪, 峴, 嶺, 峙, 古介, 窟 등을 포함한다. -봉: 산의 정상 ( 지리산 천왕봉, 설악산 대청봉) 봉(峰) : 크고 작은 봉우리가 연이어 있거나 길이 있는 산봉우리 봉(峯) :크고 작은 봉우리 속에서도 우뚝 쏫은 산봉우리( 길이 없음) -산과봉: 산은 하나이고 봉은 여러개이다. 지리산(천왕봉,중봉,제석봉,반야봉,촛대봉,토끼봉 등 20여개) -대 臺: 그 산의 높은 곳으로 전망이 좋은 곳 (정자 지을 수 있는곳, (설악산 비선대, 무등산 입석대, 마이산 비룡대) -덕(德): 오늘날 고을 뜻한다( 단천 검의덕, 회령 내지덕) -오름: 제주도 방언으로 악(岳)과 봉(峯)을 말한다 -고개; 순수 우리말이며 고개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부분이다. 대체로 산등성 이를 넘는 도로가 통하는 곳을 말한다 -재:순수 우리말이나 한자를 빌려 쓸 때 재(岾)로 쓰기도 한다. 때론 한자의 음을 빌려 재(才, 在, 財) 등 으로 표현하기도 한다사람이 다니던 고개 -치: 언덕의 한자 말,치峙 (우뚝솟을치, 언덕, 고개)...언덕,고개,재,우뚝솟다 원래 험한 산지형을 말하는데 우리말 티를 한자로 표현하다 보니 치자로 치환되었다. 현보다 험한 고개 - 령(고개 령嶺): 험준한 고개, 두 봉우리 사이 가장 낮은 곳으로 마차가 다니던 고개, 교통,생산,방어를 갖춘 고개 (대관령, 백소령) -현: 재현峴 낮은고개, 고개, 재, 산이름, 작고 험한 산 |
대동여지도 | 11,580 지명수록 산지 : 山(산), 岳(악), 岩(암), 峯(봉), 丘(구), 臺(대), 德(덕), 谷(곡), 溪(계), 峴(현), 嶺(령), 峙(치), 古介(고개), 窟(굴) 하천 : 江(강), 川(천), 水(수), 灘(탄) 평야 : 坪(평), 野(야), 伐(벌, 火), 夫里(부리) 호소 : 湖(호), 潭(담), 沼(소), 堤(제), 淵(연), 池(지) 해안 : 串(곶), 仇非(구비), 梁(량), 島(도), 灣(만) 기타 : 溫泉(온천), 不毛(불모), 毛老(모노)
산지에 해당되는 지명 중 山(3,017)의 명칭이 가장 많고 峯(139), 岩(130), 谷(80), 溪(49), 岳(44), 丘(3)의 순으로 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