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과 호흡관리
❤ 폐의 용적과 폐용량
- 폐활량 (Lung volume)
① 1회 호흡량(tidal volume : TV)
: 안정 상태에서 매 호흡 시 들이마시거나 내쉬는 공기량. 약 500ml
② 흡기보유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 IRV)
: 정상적인 흡기가 끝난 후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약 3000ml
③ 호기보유량(expiratoy reserve volume : ERV)
: 정상적인 호기가 끝난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량. 약 1100ml
④ 잔기량(residual volume : RV)
: 최대 호기가 끝난 후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량. 약 1200ml
- 폐용량 (Lung capacities)
① 흡기용량(inspiratory capacity : IC)
: 정상적인 호기가 끝난 후 최대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량 (흡기보유량+1회 호흡량=3500ml)
② 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 FRC)
: 정상 호기가 끝난 후에도 폐에 남아있는 공기량 (호기보유량+잔기량=2300ml)
③ 폐활량(vital capacity : VC)
: 힘껏 들이 마신 후, 내쉰 공기의 최대량 (흡기보유량+1회 호흡량+호기보유량=4600ml)
④ 전폐용량(total lung capacity : TIC)
: 최대 흡기가 끝난 후에 폐에 들어있는 공기량 (폐활량+잔기량=5800ml)
❤ 호흡조절
- 호흡중추는 연수와 뇌교이다.
- 혈중 CO2 증가 → pH 감소 → 호흡증가
- 물리적 자극 : 기침반사
- 화학적 자극 : 혈액 내 산소분압이 낮아지면, 환기의 깊이와 속도가 증가된다.
❤ pH조절
- 완충제 : H+가 과다하게 유입되면 H+와 결합하고, 염기가 과다하게 유입되면 H+를 방출한다.
¤ 중탄산염 완충제 : 탄산 : 중탄산나트륨 = 1 : 20 로 유지될 때 체액이 7.4로 유지된다. 신장에서 조절한다.
¤ 인산염 완충제 : 소변에서 주로 완충작용을 한다.
¤ 단백질 완충제 :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완충효과의 3/4를 단백질이 담당한다.
- 호흡기계통 : pH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여 체액의 pH를 정상 범위 내로 되돌린다.
① 내보내거나 남아있게 할 수 있는 CO2양이 제한 ∴75% 효과
② 혈중 CO2 증가 → pH 감소 → 호흡증가
- 신장 : 불균형 교정에는 다소 느리지만 가장 근본적 해결을 하는 최종적인 기관이다.
① 소변으로 배설되는 수소이온의 양을 조절
② 신장에서 재흡수 되거나 생성되는 중탄산이온의 양을 조절
❤ 비침습적 혈액가스 감시방법
- 맥박산소 측정검사는 안전하고 비침습적이며 간단하고 지속적인 산화사정 방법이다. 간호사는 맥박산소 측정계수를 판독하여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산소의 비 포화상태를 알 수 있다. 맥박산소 측정기는 적외선 불빛의 파장과 대상자의 손끝, 발끝, 앞이마, 귓불 혹은 코에 부착한 감지기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를 확인한다.
❤ 비정상 호흡음
- 나음(rales)
: 거품이 부글부글 끓는 소리, 분비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가 폐포 내의 수분을 통과 할 때 발생. 예)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 수포음(bhoncia)
: 큰 기도에 분비물이 있을 때 들림. 예) 만성 기관지염
- 천명음(wheezing)
: 기관지 협착이나 점액 증가로 기도가 좁아져 기도저항이 높아져서, 호기 시 공기가 기도를 통과 할 때 유발하는 고음의 리듬성 또는 휘파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늑막마찰음(preural rub)
: 늑막끼리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소리. 흡기 말 호기 초에 잘 들림. 예) 늑막염
- 협착음(stridor)
: 코고는 소리와 비슷하다. 부분적으로 폐쇄된 공간을 공기가 통과할 때 호기 시 들림.
거칠고 높은 음조의 긴장된 호흡음. 예) 후두와 기관지 폐쇄
❤ 기계적 환기보조 적용의 적응증
- 호흡성 산증과 함께 저 산소혈증, 진행성 폐포 저 환기 대상자에게 흔히 사용
- 심한 가스교환 장애 대상자의 근본 문제가 해결되거나 적절하게 치료될 때까지 사용
- 대상자 : 의식수분 저하로 반사 능력이 상실 되었을 때, 양압이나 고농도 산소를 주기 위해, 기도폐쇄를 피하기 위해, 대상자가 분비물을 처리
할 수 없을 때 분비물을 흡인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 기계적 환기보조를 위한 기도확보
- 인공기도
: 기도 폐쇄를 막기 위해, 기계적 환기 이용 시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
- 기관내관
: 코나 입을 통한 기관 내 삽관법은 기도를 개방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 다. 기관내관을 부풀릴 수 있는 커프가 있다. 커프는 대상자가 호흡할 때 관의 주위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막아주고, 또한 폐 안으로 관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 기관절개술
: 응급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하며, 보통 국소 마취 하에 목을 신장 시킨 자세 를 취한 후 기관의 2~3번째, 3~4번째를 절개하여 기관절개관을 삽입한다.
❤ 환기보조기의 종류
- 음압 인공호흡기
: 압력의 차이로 공기가 대기(고압)에서 흉강(저압) 내로 빠르게 이동
신경근육질환, 중추신경계장애, 척수손상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대상자를 위해 사용한다.
머리는 노출시키고 흉부나 몸 전체를 둘러싸는 장치이다.
- 양압 인공호흡기 : 흡기 동안 압력으로 공기를 폐안으로 밀어 넣어서 흉곽을 확장시킴
① 압력조절 인공호흡기
: 미리 설정한 압력에 이를 때까지 폐에 공기를 밀어 넣는다. 회복실에서 사용
② 시간조절 인공호흡기
: 미리 설정한 시간이 될 때까지 공기를 폐에 밀어 넣는다. 소아와 신생아에게 사용
③ 용적조절 인공호흡기
: 미리 정한 용량이 전달될 때까지 폐에 공기를 밀어 넣는다.
④ 마이크로프로세서 인공호흡기
: 가장 고성능으로 심한 폐질환자, 인공호흡기 중단이 지연되는 대상자, 용적조절 인공호 흡기로 환기할 수 없는 노인 등에게 적당하다.
❤ 환기의 종류
- 정상환기 ․ 관류부족
: 폐포 내로 공기는 정상적으로 유입되나, 폐 모세혈관의 혈류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출혈, 탈수 와 같은 전체혈액량의 감소, 폐색전증, COPD시 환기가 낭비된다.
- 환기부족 ․ 정상관류
: 폐 모세혈관의 혈류는 정상이지만,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다.
- 환기부족 ․ 관류부족
: 폐포 내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지 못하고, 폐 모세혈관으로 혈액이 충분히 흐르지 못하는 상 태이다. 폐렴, 폐수종, COPD같은 경우에 폐포의 환기가 심하게 저하되거나 없어지게 된다.
❤ 산소요법
- 저산소혈증(혈액 내 산소 농도의 감소)과 저산소증(조직 산화 감소)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의사 처방에 따라 산소를 사용한다. 대기 중의 산소로 신체의 산소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산소요법을 처방한다. 산소요법은 혈액과 조직 내 산소 감소를 의미하는 PaO2(동맥혈 산소분 압)나 SaO2(맥박산소측정 산소분압) 감소와 관련된 급 ․ 만성 호흡 상태를 위해 사용된다.
비강캐뉼라 |
만성 폐질환이나 다른 질병이 있는 대상자에게 장기간 산소를 투여하기 위함. 1~6L/분의 유통속도로 사용. |
단순안면 마스크 |
단기간 산소를 투여하거나, 응급상태에서 40~60%의 산소를 전달하기 위함. 호기된 공기의 재호흡을 막기 위해 최소 5L/분의 유통속도 필요. |
부분 재호흡 마스크 |
6~11L/분의 유통속도로 60~75% 산소를 제공. |
재호흡 방지 마스크 |
저유통체계 가운데 가장 높은 농도제공, 호흡 상태가 악화되어 삽관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적용. |
Venturi 마스크 |
가장 정확한 산소농도 전달. COPD 대상자에게 주로 사용. |
안면텐트 |
높은 습도를 주기 위함. 얼굴 외상이나 화상이 있는 경우 사용. |
분무 마스크 |
발관이나 상기도 수술 후 진한 분비물 제거를 위해 높은 습도 필요시 사용. |
기관절개술 칼라 |
기관절개술 대상자에게 높은 습도와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 |
T-piece |
기관절개술, 후두절개술, 기관내관 등이 있는 대상자에게 원하는 FiO2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 호기 쪽에서 분무가 사라지지 않도록 유통 속도를 조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