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삼매 (禪定三昧);
‘삼매경’, ‘독서삼매’에서 인용되는 삼매(三昧)는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켜 깊은 경지에 이른
상태’를 말한다. 삼매는 결합된 것, 짜여진 것 등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사마지’를 음역한 말로,
마음을 한곳에 집중시켜 흔들림이 없는 평등심(平等心)을 뜻한다. 예컨대 어떤 일에 마음을 듬뿍 쏟아
일심불란한 경지를 일컫는다. 선정(禪定)이라 의역하기도 한다.
완전히 하나에 몰두해 깊은 명상에 잠긴 무아 상태를 일컬어 흔히 ‘삼매경(三昧境)에 빠지다’라고 하며,
때문에 삼매는 불교 정신수행의 절정으로써 염불, 간화선, 위빠사나 등 모든 수행법의 기본이 된다.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 삼매는 필수 조건이다. 산란한 마음을 하나의 생각,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켜
흩어지지 않게 해 삼매에 빠져들고 또 이로써 마음의 산란을 막고 평정을 얻기 때문이다.
수행자는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진정한 삼매는 바르다든가 바르지 못하다든가 하는 상대적인 관념이 아니다.
생각이나 생각 아닌 것까지 넘어선 것이다. 삼매를 가장 명확하게 정의하고 분류한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원효스님이다.
원효스님은 <금강삼매경론>에서 삼매를 가리켜 마음이 하나의 대상을 관찰하면서도 치우침 없이 평등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봤다. 원효스님에 의하면 삼매를 이룬다는 것은 쉽게 풀이해서 주관과 객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음이 올바른 관찰과 마음가짐을 통하여 일체가 되고, 마침내 그 세 가지에 대한
생각까지 잊어버린 경지에 들어간 것을 뜻한다.
삼륜청정(三輪淸淨):
“보시에는 네 가지가 있다. 주는 사람은 깨끗한데 받는 사람이 깨끗하지 못한 것, 받는 사람은 깨끗한데
주는 사람이 깨끗하지 못한 것,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다 깨끗하지 못한 것,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다 깨끗한 것이 그것이다. 보시란 다 훌륭하지만 가장 훌륭한 보시는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 모두
깨끗할 때 공덕이 가장 크다.”
중아함 47권 〈구담미경〉에 나오는 가르침이다.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주는 사람(施者), 받는 사람(受者)이
다 깨끗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러자면 당연히 주고받는 물건(施物)도 깨끗해야 한다.
이를 ‘삼륜청정(三輪淸淨)’이라 한다.
<금강경>에서 무주상의 보시를 강조하는 것도 같은 뜻이다. 앞의 이야기는 이 세 가지가 다 깨끗했음을
보여준다. 만약 삼륜이 깨끗하지 않다면 설사 부처님께 올린 공양이라도 아무 공덕이 없다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관계는 주고받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부모와 자식, 출가와 재가, 스승과 제자 도
거래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어떤 대가를 염두에 둔 거래는 옳지 않다. 연인들끼리 작은 선물을 주고받더라도
삼륜이 청정해야 아름다운 선물이 된다. 환심을 사려고 훔친 물건을 주는 것은 못된 짓일 뿐이다.
해설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