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진딧물아목
* 처녀 생식 [處女生殖]
진딧물류들은 양성생식도 하지만
처녀생식도 한다고 한다.
처녀생식에 대해 알아보자.
미수정란이 단독으로 발생하여
새로운 개체가 되는 일.
특히 암컷의 생식 세포가 수컷의 생식 세포와
수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을 이른다.
꿀벌, 물벼룩, 진딧물 따위의 동물과
약모밀, 껄껄이풀, 민들레 따위의
식물에서 볼 수 있다.
단성생식(單性生殖), 단위생식(單爲生殖),
난자생식(卵子生殖)이라고도 한다.
반대되는 표현은
유성 번식(有性繁殖),양성생식 (兩性生殖),
합성 생식(合性生殖)이라고 한다.
* 일반적 특성
_ 발목마디가 한두 마디로 이루어졌다.
_ 암컷과 애벌레가 활동적이지 못해
멀리 이동하지 못하는 종이 있다.
_ 모두 육지에서 산다.
* 바이러스 감염원
진딧물류는 식식성으로
식물의 즙을 빨아 먹고 살며
식물을 힘들게도 하지만, 바이러스 병을 옮겨 농작물에게 피해를 주기도 한다.
깍지벌레류는
밀납을 분비한 뒤 그 속에서 빨아 먹기 때문에 농민들에게 원성을 사기도 합니다.
* 하위분류
우리나라의 진딧물아목은 분류학적으로
가루이상과, 진딧물상과, 깍지벌레상과
나무이상과 들로 나눕니다.
① 나무이상과
_ 암컷과 수컷 모두 주둥이가 있고
_ 더듬이는 보통 열 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_ 날개는 두 쌍으로
보통 앞날개가 뒷날개보다 단단합니다.
_ 매우 활발하여 빠르게 뛰거나 날 수 있습니다.
긴 시간 동안 비행은 못하며
뒷다리를 써서 뛰는 것을 좋아합니다.
_ 우리나라에 사는 나무이상과에는
알락나무이과, 넓은맥나무이과,
주걱나무이과, 참나무이과 들이 있습니다.
② 가루이상과
_ 암컷과 수컷 모두 주둥이가 있고
_ 더듬이는 보통 일곱 마디로 이루어졌습니다.
_ 날개는 두 쌍으로 매우 넓으며
막질이라 질감이 부드럽습니다.
_ 날개의 색깔은 보통 흰색이지만
때때로 날개에 어두운 색 점무늬나 줄무늬가
그려져 있을 때도 있습니다.
_ 다리는 가늘고 깁니다.
_ 우리나라에는 가루이과가 있습니다.
③ 깍지벌레상과
*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가 다른 곤충
_ 암컷의 생김새는 애벌레와 비슷해
날개가 없어 날지를 않으며 보통 충영이나
비늘 모양의 식물 조직에 싸여 있거나,
왁스나 가루를 뒤집어쓰고 살며
주둥이는 기능적입니다.
_ 수컷의 날개는 두 장이며
주둥이는 흔적만 남아 있습니다.
* 일반적 특징
_ 몸집은 매우 작으며,
_ 진딧물처럼 꿀똥을 눠서 개미를 불러들이며
공생하는 종도 있습니다.
_ 대부분 양성생식을 하지만
때때로 단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습니다.
_ 깍지벌레상과에는
공깍지붙이과, 표주박깍지벌레과,
밀깍지벌레과, 깍지벌레과, 주머니깍지벌레과
들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④ 진딧물상과
_ 암컷과 수컷 모두 주둥이가 있고
_ 더듬이는 4~6마디로인데
대부분 여섯 마디로 이루어졌습니다.
_ 날개 달린 유시형의 날개는
부드럽고 투명한 막질입니다.
_ 다리는 가늘고 깁니다.
_ 5~6번째 배마디의 등면에
한 쌍의 뿔관이 있고,
배꽁무니에 끝편이 붙어 있습니다.
_ 우리나라에는 진딧물과가 있습니다.
_ 진딧물은 체관부에 주둥이를 찔러
즙을 먹습니다.
_ 기주특이성이 매우 강해 대개 좋아하는
먹이식물이 정해져 있습니다.
_ 식물 줄기, 새 잎 또는 잎사귀 뒷면에
집단으로 모여 생활합니다.
_ 계절이 변함에 따라 월동기주(1차 기주)에서
여름기주(2차 기주)로 이동합니다.
_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날개 있는 유시형과 날개가 없는 무시형이
나오기도 합니다.
* 세대교번하여 번식
_ 처녀생식과 양성생식을 번갈아 하는
세대교번으로 번식한다.
_ 아한대에서 온대 지역에 주로 사는데,
온대 지역일수록 종 다양성이 높습니다.
_ 온대 지역과 아한대 지역에서 사는 진딧물들은
겨울에 나무 기주식물(1차 기준)에
수정란을 낳고, 여름철에는 초본성
여름기주(2차 기주)로 이동해
처녀생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_ 따뜻한 열대 지역과 온실 안에서는
1년 내내 단위생식을 하며 번식하는데,
이 경우에는 유성생식을 하지 않습니다.
* '완전생활환'과 '불완전생활환'
_ 유성생식 세대가 있는 '완전생활환'으로
겨울의 온도가 추울때의 형태로
단식형과 이주형이 있습니다.
(단식형은 1년 내내 먹이식물을
바꾸지 않습니다.
즉, 3~4월에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자라
어른벌레가 되어 같은 종류 먹이식물에서만
번식하며 살아가는데,
이때 여름 기주식물은 이동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왕진딧물류를 들 수 있습니다.
이주형은 먹이식물에서 수정란으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부화한 애벌레가 자라
어른벌레가 되고 나서 먹이식물에서
번식합니다. 그러다 먹이식물을 바꿔
여름 기주식물로 이동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여러 식물을 먹는
목화진딧물을들 수 있습니다.)
_ 유성생식 세대가 없는 '불완전생활환' 으로
겨울의 온도가 따뜻할때의 형태로
유성세대 없이 처녀생식만 계속하는
경우입니다.
열대지방에 사는 진딧물들은 거의가
처녀생식만으로 번식합니다.
우리나라에 사는 버들왕진딧물은
수컷이 없으며 처녀생식만 하며
대를 이어 갑니다.
(사진과 글은 정부희님의 곤충학강의에서
전제한 것으로 제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과 사진이니 타 용도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