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쪽으로는 옛 수산현(守山縣)의 진산(鎭山)인 덕대산(德大山)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 산의 한 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내려와 남전리(南田里) 효자문(孝子門)에 이른다. 이 산의 능선을 경계로 상남면과 하남읍의 경계를 이룬다. 이 아래 산간분지에 남전리(南田里)가 있다. 또 한 줄기가 초동면(初同面) 소구령동(小龜齡洞)과 보담(寶潭) 마을 사이에 있는 뻔덕고개로 한 줄기가 내려와 초동면(初同面) 성만리(星萬里)의 뒷산에 이른다. 다시 이 산줄기가 동쪽으로 병풍을 두른 듯 파서리까지 펼쳐져 있다. 이 산줄기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구명산(九明山) 아래쪽에 귀명동(貴明洞)이 있고, 그 동쪽에 있는 청룡등(靑龍嶝)의 아래쪽에 양동리(良洞里)가 있다. 남전현(南田峴)의 아래쪽에 대사리(大司里)가 있고, 풍류현(風流峴) 아래쪽에 파서리(破西里)가 있다. 덕대산(德大山)의 한 줄기가 남으로 나즈막하게 뻗어 내려와 구령산(龜齡山), 검암리(儉岩里)로 해서 서말리산, 당말리산에 이른다. 이 산을 중심으로 수산리(守山里)가 있다. 하남평야(下南平野)의 중간에 백산리(栢山里), 그 동쪽에 명례리(明禮里)가 있다. 남으로는 낙동강이 이 읍(邑)을 돌아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있다.
이 읍(邑)의 동쪽 경계는 구박천(仇朴川)을 사이에 두고 상남면(上南面) 인산리(仁山里)와 인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초동면 검암리와 인접해 있다. 남쪽에는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창원군.김해군과 군계(郡界)를 이룬다. 북쪽으로는 초동면과 상남면이 인접하고 있다. 이 읍(邑)은 북쪽으로는 산이 병풍처럼 첩첩이 둘러 싸여 있으며, 남쪽으로는 옛 국농소(國農所)와 넓은 하남평야가 펼쳐져 있다. 하남읍(下南邑)은 삼국 시대부터 신라의 대서방진출(對西方進出)의 전략 기지였으며, 후에는 천산부곡(穿山部曲)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 수산현(守山縣)이 되어 밀성군(密城郡)의 속현(屬縣)이 되었다. 일명 은산(銀山)이라고 했다. 그것은 낙동강의 은빛 모래 사장이 아름답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와서 면리제(面里制)가 실시됨에 따라 부남면(府南面)이 되었다. 부남면(府南面)이라고 한 것은 그 위치가 밀양부(密陽府)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연유한 것이다. 이 때의 관할은 지금의 상남면도 포함되었다. 1769년(영조 45년)에 본군(本郡) 방리(坊里) 개편에 따라 부남면(府南面)은 상남면과 하남면으로 나누어졌다. 밀주지(密州誌)에 있는 부남면(府南面)의 방리(坊里) 중에서 일부는 상남면으로 넘어 가고, 수산(守山), 백산(栢山), 멱례(覓禮), 서전(西田), 곡량동(谷良洞), 파서막(破西幕), 귀명(貴明), 양동역리(良洞驛里) 등 8개리만 하남면에 예속되었다. 1860년 경에도 본군(本郡) 관내의 면방(面坊) 이름을 바꾸고 구역을 조정한 일이 있었는데 상남, 하남으로 분리된 종전의 부남면(府南面)을 통합하여 다시 부남초동(府南初同), 부남이동(府南二同), 부남삼동(府南三同) 등 세개의 면으로 분할하였는데, 이 때 하남면은 부남이동(府南二同). 부남삼동면(府南三同面)으로 분리되었다. 1880년 경에 부남초동면은 재차 그 명칭이 상남면으로, 부남이동.부남삼동면은 다시 하남면이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에도 하남면이 되었으며, 수산리에 면사무소가 있었다. 1973년 3월 12일 대통령령 제 6543호에 의거하여 동년(同年) 7월 1일자로 邑으로 승격되어 하남읍이 되었다.
이 읍은 선사 시대부터 중요한 지방이었다. 유적으로는 남전리, 수산리 동촌동, 양동리 소바우, 파서리 은산 등지에 지석묘군(支石墓群)이 있고, 귀명리, 양동리, 효자문 등지에 고분군도 있다. 그리고 삼국 시대에는 신라의 대서방 진출의 전략 기지였다. 그래서 신라왕이 이궁(離宮) 유행(遊行)하면서 남긴 설화가 곳곳에 지명으로 남아 있다. 옛 수산제(守山堤), 세누정(洗陋亭), 어정(御井), 파서막(破西幕), 풍류현(風流峴), 정남정(定南亭) 등이 잘 입증해 주고 있다. 그리고 파서방부곡지(破西防部曲址), 덕민정지(德民亭址), 남수정(攬秀亭) 등이 있고, 성현도(省峴道), 자여도(自如道), 황산도(黃山道)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양동역(良洞驛), 임강원(臨江院), 해양원(海陽院), 백산봉수대(栢山烽燧臺), 수산진(守山津), 용진(龍津) 등과 같은 교통, 통신의 유적지도 있다. 현재 읍내(邑內)에는 8개의 법정리, 33개의 행정리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