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운동가] 김창숙
출생-사망 : 1879년 7월 10일 (경상북도 성주) - 1962년 5월 10일
수상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경력 : 성균관대학교 학장, 총장
1946 유도회총본부 위원장
비상국민회의 최고 민중지도자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사진]
[생애 및 활동사항]
1879년 7월 10일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동 사월리(沙月里, 사도실)에서 부친 김호림(金護林)과 모친 인동 장씨의 외아들로 출생한 김창숙(金昌淑)은 원래 영남의 문벌사족(門閥士族)인 의성 김씨(義城金氏) 중에서도 이조 중엽의 명현(名賢)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13대 종손으로 남다른 지위와 명망을 지니고 있었다. 김창숙은 자를 문좌(文佐), 호를 심산(心山), 별명을 우(愚)라고 하였다. 또 일제의 고문과 옥중 투쟁으로 하체가 부자유스러운 앉은뱅이가 되자 별호를 벽옹(躄翁)이라고도 하였다. 심산은 재주가 남달랐으나 성품이 얽매이기를 싫어하여, 열서너살이 되어 비로소 사서(四書)를 읽었다. 부친이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에게 교육을 부탁했으나 성리학설(性理學說)을 싫어하여 문하에 들지 못하였다.
갑오년 동학혁명을 즈음하여 서당의 학도들과 함께 부친의 엄명으로 농부들과 같이 모내기를 하고 그 자리에서 문벌과 계급타파 등 사회변혁에 대한 부친의 소견을 들었는데, 그후 이에 감명 받은 심산은 선각적 지식인으로서의 포부를 지니게 되었다.
심산은 1896년 18세 때 부친상을 당한 후 이종기(李鍾杞) 곽종석(郭鍾錫) 이승희 장석영(張錫英) 등 대유(大儒)들의 문하를 두루 찾아가 경서에 대해 질의하였는데, 특히 이승희를 각별히 따랐다. 당시에 이러한 가문의 출신으로 일제하에서도 안일한 삶을 누리고 있던 양반지주들이 많았건만 심산은 젊은 시절부터 모든 것을 뿌리치고 구국활동(救國活動)에 투신하여 스스로 고난의 행로를 택하게 된다.
[애국계몽활동]
구한말의 망국을 앞두고 활동을 시작한 심산은 을사조약 때 스승인 이승희와 함께 상경하여 이완용(李完用) 등 오적(五賊)을 참형에 처하라는 상소를 고종에게 올렸다. 그 뒤 일진회(一進會)의 매국도당들이 한일합병론을 제창할 때에 “역적을 치지 않는 사람 또한 역적이다.”라는 격문을 돌리고 동지를 규합하여 중추원(中樞院)과 일간신문에 성토문을 보냈다. 이 사건으로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어 성주경찰서에서 8개월간의 옥고를 치렀다. 한편 대한협회(大韓協會) 성주지부(星州支部)를 조직하여 “나라를 구하려면 모든 구습을 개혁해야 하고 구습의 개혁은 계급타파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라고 주창하였다. 또한 단연회(斷烟會)를 통한 국재보상운동과 선조 동강 김우옹을 모신 청천서원(晴川書院)에 성명학교(星明學校)라는 사립학교를 설립하여 신교육을 펼쳤다. 심산의 청년기 활동이 비록 지방에 국한된 것이긴 하였지만 구한말 계몽사상가들의 애국적 정치 문화활동의 일환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나라가 경술국치를 당하게 되자 심산은 “선비로서 세상에 산다는 것은 치욕이다.”라며 음주와 미치광이 노릇으로 날을 보내다가 모친의 따뜻한 교훈에 격려되어 4,5년간 두문불출 독서로 유학(儒學)에 정진하였다. 이후 심산의 독립운동에 중요한 소양이 된 학문적 축적과 한문 문장의 창달은 모두 이 시기에 기반을 닦은 것이다.
심산은 원래 행동성이 강한 체질이었으나 청년기에 있어서 그의 스승인 이승희나 곽종석의 의병활동에 참가하지 않았다. 심산의 독립운동은 낡은 화이론(華夷論)에 입각한 ‘척사위정(斥邪衛正)’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근대 국제관계의 현실적 상황 속에서 우리 조선을 위치시켜 그 독립주권의 회복과 보장을 받으려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심산의 독립운동은 자연히 대외적으로 선전 섭외 활동을 중심으로 출발하게 되는데, 이는 바로 대내적인 국내 민중운동이라 할 수 있는 3.1운동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파리장서 사건]
1919년의 ‘파리장서(長書) 사건’은 심산의 대외적인 선전·섭외 활동의 첫걸음이었다. 독립선언서에 서명할 기회를 놓친 심산은 3월 1일 발표된 선언서에 유교 대표가 한 명도 없음을 보고 “망국의 책임을 져야 할 유교가 이번 독립운동에 참여치 않았으니 세상에서 고루하고 썩은 유교라고 매도할 때에 어찌 그 부끄러움을 견디겠는가?” 라고 통탄하였다. 그리고나서 심산은 곧 3·1독립선언이 민심을 고동시켜 국내적으로 큰 전기를 마련했으니 이제 필요한 것은 국제적 활동이라고 생각하였다. 더구나 각 종교 대표자들은 곧 구속될 것이니 불행중 다행으로 남아있는 유교대표가 국제활동의 사명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심산은 전국 유림을 규합하여 파리평화회의에 장서를 제출할 것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거국적 유림의 단합을 얻으려 했던 심산은 일반 보수적 유생들의 지역·학통·사색당파·사고의 차이 때문에 단합을 쉽게 이루어 낼 수 없었고, 곽종석·김복한(金福漢) 등 영남과 충청도 유림 130여명의 연명으로 된 장서(長書)를 작성하여 극비리에 출국 상해를 향했다. 상해에서 독립 운동 동지들과 의논 끝에 독립청원서를 영역(英譯)하여 이미 파리에 가 있는 김규식(金奎植)에게 보내 회의에 제출하게 하였다. 또한 이 장서를 수천 부 인쇄하여 중국의 정계·언론계, 여러 외국의 대사·공사·영사관 그리고 해외 각처 교포들의 거류지와 국내 각 지방 향교에 빠짐없이 우송하였다. 이에 당황한 일제(日帝)는 곧 국내 유림에 대한 일대 검거를 자행, 500여명이나 체포되는 대옥사가 일어났는데, 이것이 소위 ‘제1차 유림단 사건’이다. 그것은 독립운동에 있어서 유림의 참여라는 소극적 의의를 넘어 국내 민중운동을 바탕으로 민족의 의지를 세계만방에 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더욱 큰 것이었던바, 바로 심산의 주동에 의한 것이었다.
[임시정부 및 중국내의 활동]
파리에 가려던 계획을 중지하고 중국에 머물러 있던 심산은 여러 인사들과 회합을 가지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협의하였고, 임시의정원의 개설에는 경상북도를 대표하는 의원으로 활약하였다.
한편 중국과의 대일(對日) 공동항쟁을 위하여 유학과 한문학의 교양을 구사하여 중국인과의 교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산은 중국의 정치지도자, 학계, 언론계 인사 및 외교가들을 상대로 그의 선전·섭외활동의 제 2보를 시작하게 된다. 심산은 손문(孫文)의 광동군정부 계통의 인사들과의 결탁을 추진하기로 노선을 정하였고, 마침내 중국 국민당 중의원 능월(凌越)을 통하여 손문과 단독회견을 가지게 되었다.
심산은 이후 광주로 가서 중국 국민당 군정부 요인들과 두루 접촉하여 각계인사 삼백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독립후원회를 결성하였고, 이어 상해에 있는 임시정부를 돕기 위한 모금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별도로 한국유학생의 학자금을 마련하여 상해의 유학생중 50여명을 광동으로 불러 불어·영어·중국어 특별강습을 시키면서 모든 경비를 부담하였다.
1920년 중국 광동정부가 붕괴되자 후원회 자금을 관리하던 책임자 또한 행방이 묘연하여 심산은 부득이 유학생을 이끌고 상해로 돌아왔다. 그러나 실의에 빠지지 않고 우리 임시정부 인사와 중국 각계 인사 양측 천여명의 회원을 가진 중한호조회(中韓互助會)를 발족시켜 상호간의 유대를 긴밀하게 하였다.
또한 임복성(林福成, 中國孔敎會 會長)의 출자로 상해에서 『사민일보(四民日報)』를 창간하여 일간(日刊) 만여부 중 2천여부를 국내로 우송하였고, 얼마 뒤 북경으로 와서 다시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가 경영하는 『천고(天鼓)』라는 잡지에 가담하여 함께 일하기도 하였다. 그 목표는 동양평화를 위한 일본 제국주의 타도와 한·중 두 민족의 혁명세력의 단결이었다. 이 또한 심산이 추구하였던 선전·섭외 활동의 중요한 업적이었다.
실력 항쟁과 옥중 투쟁
[군자금모금 사건]
1921년을 고비로 국내외의 독립운동은 점차 약화되고 있었다. 국제적 여건이 불리하게 전개되고, 우리 독립운동 진영 내부의 분열과 대립도 점차 심해졌다. 1925년 봄, 북경에서 이회영(李會榮)과 독립운동의 새로운 방략을 강구하던 심산은 일본 세력이 미치지 않는 곳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여 실력을 배양하고 무력으로 일제와 싸우기로 하였다. 만주와 몽골 접경의 수원(綏遠)에 황무지 3만 정보를 얻어내는데 성공한 심산은 20만원 정도로 예산을 잡고 모금활동을 벌이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국내로 잠입하였다. 행동대원을 전국 각지로 파견한 심산은 직접 영남지방으로 뛰어들어 동분서주하다가, 울산에서 버스 추락사고로 친척집에 잠복, 요양을 하기까지 하였다.
3·1운동을 지난 지 겨우 6, 7년 뒤 국내 일반 민심은 독립에 대한 열의가 거의 식은 듯했고, 많은 재산을 가진 부호일수록 비협조적이었다. 모금에 나선 젊은 동지들이 권총으로 협박까지 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진주의 어느 부호는 사람을 시켜 총독부에 알선해 주겠다며 심산에게 전향을 권유하기도 하였다. 심산은 “친일 부호들의 머리를 베어 독립문에 달지 않고는 우리의 독립이 달성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노하였다. 일제가 수상한 기미를 눈치챈 듯 날로 감시망을 좁혀오고 있어, 심산은 국내에서 더 이상의 활동이 불가능하였다. 심산은 다음을 기약하며 부득이 출국을 서두르지 않을 수 없었다. 범어사에서 국내 동지들과 마지막 회합을 하며 심산은 자기의 심경과 함게 앞으로 독립운동의 방향전환을 표명하였다. 모금의 실패원인은 민심이 죽어있기 때문이며, 그것은 일제의 위장된 ‘문화정치’에 매수된 지식층과 주구화된 식민지 관리 및 일부 부호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독립운동에 일대 전환이 있어야 할 것을 통감한 심산은 앞으로의 실행계획을 제출했는데, “먼저 일제 총독 하의 모든 기관을 파괴하고, 다음 친일 부호들을 박멸하고, 그리하여 민심을 고무시켜 일제에 대한 저항을 다시 불붙게 한다”는 것이었다.
심산의 국내잠입 모금활동 사실이 탄로되어 유림의 피검자가 6백여 명에 달하였는데, 이것이 소위 ‘2차 유림단 사건’인바, 일제는 기필코 심산을 체포하려 하였다.
[나석주의거 사건]
상해로 돌아온 심산은 이동녕(李東寧)·김구(金九)에게 취지를 설명하고 모금해온 돈으로 청년결사대를 국내에 파견키로 하였다. 심산은 유자명(柳子明)과 상의하여 무기를 구입한 뒤 그와 함께 북경으로 가서 의열단(義烈團) 단원 중에 일을 맡길 만한 사람을 골랐다. 한봉근(韓鳳根)·나석주(羅錫疇)·이승춘(李承春) 등을 만나보았다. 이들은 모두 강개한 애국청년으로 이런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던 참이었다. 심산은 무기와 자금을 나석주 등에게 건네주면서 독립운동의 역사 위에 영원한 빛이 되라고 격려하였다. 나석주 등은 즉시 위해위(威海衛)로 가서 해로로 입국하기로 하였다. 이것이 1926년 5월이었다. 그런데 7월이 될 때까지 마땅한 입국방법을 얻지 못하자, 나석주 혼자서 무기를 휴대하고 서울로 잠입하였다. 나석주는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회사에 폭탄을 던진 뒤 다시 권총으로 동척사원 및 경찰간부 등 일본인 여러명을 쏘아 죽이고, 추격하는 일본경찰과 교전 중 마지막 수단으로 자결하였다. 다른 두 사람이 동시 입국하여 더 많은 파괴활동을 하지 못해서 대단히 유감이었지만, 나석주의 장렬한 행동은 국내·국외의 모든 사람들에게 커다란 충격과 함께 새로운 용기를 일으켜 주었다. 심산은 이 무렵 의열단의 고문직을 수락하고 계속 파괴활동을 지도하였다. 심산은 이제 실력행사에 의한 파괴 활동으로 독립을 앞당기기 위해 떨쳐 일어선 것이었다.
[옥중투쟁]
1927년, 독립운동 활동 중에 지병이 악화되어 치료를 받던 심산은 맏아들 환기(煥基)의 사망 소식을 접한다. 국내에 보냈던 맏아들이 일경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 끝에 출옥 후 바로 사망한 것이다. 지병이 더욱 악화된 심산은 상해 공동조계의 공제병원(共濟病院)에서 입원치료를 받았다. 심산을 추적하던 일제는 첩자를 통해 심산의 신병을 파악하고 드디어 입원 중이던 병원에 들이닥쳐 심산을 구속하였다.
부산을 거쳐 대구로 압송된 심산은 꺾이지 않는 독립 의지를 시로 썼다.
조국의 광복을 도모한지 십여년 / 가정도 목숨도 돌아보지 않았다.
뇌락한 나의 일생 백일하에 분명하거늘 / 고문을 야단스럽게 벌일 필요가 무엇이뇨.
(「고문하는 자들에게」)
이 시를 읽은 일본인 고등과장은 심산에게 절까지 하였지만 일제는 그의 의지를 꺾고자 계속적인 고문을 가하였다. 고문의 와중에 심산의 병세는 점점 깊어져서 수시로 의사의 치료를 받았으며, 혼절하여 사경을 헤매기도 한두번이 아니었다. 그러나 심산은 당당히 맞섰으며, 무료변론을 자청하는 한국인 변호사들도 거절하였다.
나는 대한 사람으로 일본의 법률을 부인한다. 일본의 법률을 부인하면서 만약 일본 법률론자에게 변호를 위탁한다면 얼마나 대의에 모순된 일인가? 나는 포로다. 포로로서 구차히 살려고 하는 것은 치욕이다.
1928년, 결국 14년형을 받은 심산은 대전형무소로 이감되어 복역하였다. 옥중에서도 심산의 투쟁은 꺾이지 않고 이어졌다. 일본인 전옥(典獄)에게 절을 하지 않았고 읽기를 강요하는 최남선(崔南善)의 「일선융화론(日鮮融化論)」을 찢어버리기도 하였다. 심산의 의지를 일제도 어찌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출옥후의 활동]
1934년, 병이 위독해지자 일제는 가출옥을 허용하였다. 심산은 29년에도 병이 위독하여 형집행정지로 가출옥되었다가 재수감된 일이 있었다. 출옥 당시 이미 중병을 얻어서 불구의 몸이 되었으므로 사람들이 ‘벽옹(躄翁-앉은뱅이)’이라고 부르자 스스로도 이를 별호로 썼다. 그러나 불굴의 저항정신은 전혀 위축되지 않아서 가출옥의 감시 상태에서도 심산의 투쟁은 부단히 계속되었다. 일제의 ‘창씨개명’ 강요를 끝까지 거부한 심산은 대구, 울산의 백양사(白楊寺) 등지에서 요양을 하면서 한용운(韓龍雲)·홍명희(洪命憙)·정인보(鄭寅普) 등 민족적 양심을 지켜온 분드로가 비밀리에 서신을 주고 받으며 뜻을 함께 하였다. 홍명희에게 보낸 시에
벽초(碧初, 홍명희의 호)의 얼굴 본 적 없어도 / 벽초의 마음 잘 알고 있네, / 만나보지 못함이 무슨 한 되리오, / 그대 마음 곧 내 마음인 것을
이라고 하였다. 한용운은 '나는 심산의 마음을 알고 있다. 심산의 얼굴은 몰라도 좋다.'라는 글을 보내오기도 하였다. 심산은 이때까지 이 세 사람 가운데 어느 누구와도 대면한 적이 없었다. 만날 형편이 못되었지만 굳이 만나보아야 할 일도 아니었다. 그 정신을 알기 때문에 곧 동지가 되는, 세속적인 관계를 뛰어넘는 격 높은 교우였다. 바로 마음으로의 사귐이라고 하겠다.
1940년, 일제의 감시가 다소 완화되었다. 마침내 고향집을 찾아 어머님의 묘막으로 가서 42년까지 시묘(侍墓)를 했다. 어머님 돌아가신 지 실로 20년만의 일이었다. 망명지 상해에서 모친의 별세 소식을 듣고도 돌아와 시묘를 할 수 없었던 아들의 마음과 그동안의 경과를 어머님 묘 앞에서 고하고 슬픈 심정을 다 쏟았다.
1943년 심산은 차남 찬기(燦基)를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로 보내기도 하였다. 차남이 혁명사상을 품어 여러번 투옥되었기에, 망명을 시켜 일본 경찰의 미행과 감시를 피해서 활동하게 한 것이었다.
몸은 불구가 되었어도 정신은 대쪽같이 곧고 강했던 심산은 태평양전쟁 중에 지하조직인 건국동맹에 다시 남한 책임자로 참여하였다. 건국동맹은 1944년 8월에 서울에서 여운형을 중앙책으로 조직된 것으로, 불언(不言)·불문(不文)·불명(不名)의 3대 철칙 아래 민족적 양심이 살아있는 인사를 망라하여 공장·회사·학교·대중단체에 세포조직을 확대시켜 가면서 일제의 패망과 민족의 해방에 대비하고 있었다. 심산은 비록 실질적인 활동은 할 수 없었지만 당시 이 나라 전체를 통하여 민족적 양심의 대표적 존재로서 그의 참여는 그것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1945년 8월초, 건국동맹 결성의 사실이 노출되어 일경에 체포되었다. 왜관으로 이송, 수감되어 있던 중 심산은 드디어 해방의 소식을 듣게 된다.
해방 후 통일운동과 반독재 투쟁
[동일정부 수립운동]
조국이 광복되자 심산은 무엇보다도 민족의 분열을 경계했다. 반드시 우리의 손과 힘으로 통일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굳게 주장하였다. 그래서 민족과 국토의 분열을 조장하는 일체의 이기적인 정당활동이나 외부세력의 영입을 단호히 배격했다. 따라서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는 60여 정치단체를 마땅치 않게 보았고, 그와 잘 아는 이들이 조직한 민중당(民衆黨)의 당수 추대도 거절하였다. 하나의 민족이 분열·대립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심산에게는 대의명분에 속한 지상(至上)의 원칙이며 도덕률(道德律)이었다. 여기에는 어떤 조그만 양보도 또 어떤 다른 방편도 있을 수 없다. 처음부터 비정치적인 것이었다.
심산은 난립하는 어떤 정파에도 참여하지 않는 한편, 기선을 잡고자 발빠르게 나서는 인민공화국 선포에도 반대하면서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뭉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신탁통치의 찬반문제, 미소공위 참가문제 등에서 좌익은 물론 이승만을 비롯한 우익 인사들과도 뜻이 맞지 않아 항상 소수파의 고립적 입장을 면할 수 없었다.
해방 이듬해에 심산은 정부수립을 위한 28인의 최고정무위원(最高政務委員)에 뽑혔으나 이 기구가 미군정사련관 하지의 자문기관인 민주의원(民主議院)으로 전락하자 이승만과 대립하여 곧 탈퇴하였고, 민족의 분열과 분단의 조짐을 외면할 수 없어 김구(金九)·김규식(金奎植)·홍명희(洪命憙)·조소앙(趙素昻)·조성환(曺成煥)·조완구(趙琬九) 등과 함께 이른바 ‘칠거두(七巨頭) 공동성명(共同聲明)’을 발표하여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극력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명분과 대의를 앞세우는 외로운 투쟁은 권력욕에 휩싸인 외세 결탁 세력에 의해 번번히 좌절되었다.
결국 한반도에 두 개의 정부가 세워짐으로써 조국은 남과 북으로 갈리었다. 심산은 비통과 격분 속에 두 정권의 수뇌를 향한 신랄한 비판과 미·소 양군의 철수를 시와 성명 등을 통해 극력 주창하기도 하였다. 심산의 의롭고 예리한 필설(筆舌) 앞에는 거칠 것이 없었다. 심산은 언제나 분열을 꾀하는 자들을 민족반역자로 단죄하여 강력히 비판했으며 또한 이들과 타협하지 않고 끈질긴 저항으로 맞섰던 것이다. 4·19혁명 후 노병객 심산이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의장직을 맡았던 일도 통일운동을 위한 그의 마지막 봉사이며 염원의 실천이었다.
[반 독재 투쟁]
‘남한 단독총선 반대’ 등 끊임없는 반(反)분단 투쟁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조국은 분단되고 이승만의 독재는 도를 더해 갔다. 김구를 비롯한 많은 지도적 인사들이 암살되는 정국의 혼란을 거치면서 친일파가 다시 정권과 유착하여 실세가 된 마당에 심산은 이제 이승만정권의 부패와 독재에 단신으로 정면 투쟁하였다. 이 대통령 하야 경고문, 부산 피난지에서의 국제구락부 사건 주동, 이승만 삼선취임 반대, 보안법 개악반대, 민권쟁취 구국운동 등 독재와 맞서는 외로운 싸움으로 그는 항상 탄압과 옥고를 반복해 치르게 되엇다.
심산은 1956년 부정한 선거로 3선취임한 이승만에게 “이제 전국의 민심은 이미 떠났다. 금번 부정선거를 무효로 선언하고 전국적 재선거를 특명 실행함이 대통령의 가장 급무(急務)이며, 이것이 민심회복의 유일무이한 방법이다”라고 정면으로 비판하였다. 이에 자유당 정권은 관권과 폭력을 동원하여 성균관, 유도회를 점령하고 심산을 일체의 공직에서 추방하였다. 심산은 병든 몸을 이끌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유도혁신과 대학 설립
[유도 재건 개혁운동]
심산은 민족주의자요, 기본적으로 유학자이다. 그의 민족주의는 유학의 대의명분론에 깊이 뿌리박은 것으로, 그 불굴의 선비정신은 곧 유학의 대의실천(大義實踐)의 자세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를 실천한 심산의 생애 가운데서도 해방을 전후로 그의 사상·정신의 변화를 볼 수 있으니 하나는 파괴와 부정을 주로 하는 반대와 투쟁의 시간이요, 하나는 화합과 질서를 주창하는 윤리와 도덕의 시간이다. 전자가 식민지 시기의 정신이요, 후자가 독립국가와 새로운 사회 건설기의 사상임은 물론이다. ‘화합과 질서를 통한 윤리와 도덕의 구현’을 위해 심산은 정치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오직 유교의 근대화와 교육사업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다.
심산은 일찍이 “성인(聖人)의 글을 읽으면서 성인이 시대를 구하고자 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면 이는 위유(僞儒 - 거짓 선비)이다”라고 하였다. 참다운 선비[眞儒]는 시대적 의리[時義]의 실천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산의 시의(時義) 정신은 유학의 ‘시중지도(時中之道)’에 근거하는 사상이다.
1946년 난립한 유도회(儒道會) 조직을 정비하여 유도회총본부로 출발할 때 심산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인(漢人)은 공자를 ‘꽁쯔’라 하나 우리는 ‘공자’라 한다. 귀한 것은 공자의 성명보다 공자의 심법(心法)이다. 이것이 즉 인류를 지배할 시중(時中)의 대도(大道)다. 잡으면 있고 놓으면 없어지며 행하면 흥하고 반하면 망한다.
우리는 임란(壬亂)·병란(丙亂)과 같은 국치를 당하여서도 하등의 각성이 없었고 시대에 낙후된 껍데기만 고수하다가 경술국치와 같은 대통한사(大痛恨事)를 유치(誘致)하였다. 그러면 우리로 하여금 이와같은 죄과에 함입(陷入)케 한 것은 무엇인가.
1) 대도(大道)의 실질을 파악치 못하고 허문(虛文)의 형식에만 포니(抱泥)하였던 점
2) 사대사상은 의뢰심을 증장(增長)하여 자립의 정신이 소침(消沈)하였던 점
3) 문약(文弱)에 젖은 타성이 실행의 용기를 결핍케 한 점
4) 습속에 고체(固滯)하여 대국(大局)을 규찰치 못하고 맹목적 자존심이 강하여 원만히 단결치 못한 점
그러므로 우리는 명목장담(明目張膽) 백퍼센트의 정력을 기동하여 무용한 형식을 정리하고 사대사상을 청산하고 용기를 분발하고 단합을 견고케하여 시중(時中)의 소재를 정확히 파악하여 재기를 도모치 않으면 안된다.
(「유도회총본부 위원장 취임사」중에서)
이 글에서 심산이 강조하는 것은 유교의 폐단을 청산하는 것이었다. 헛된 형식과 사대사상, 나약한 타성과 인습적 자존심으로 인한 분열을 과감히 청산하고, 실질을 파악하고 자립정신을 배양하며 용기를 분발하고 단합을 견고케 함으로써 재기를 도모하자는 것이다. 요컨대 유도(儒道)의 재건과 개혁운동이었다.
심산이 유도 재건운동에 나섰던 것은, 해방 후 열강에 의한 국토 분단과 이와 결부된 자우 대립의 시대적 혼란을 극복하고 민족의 통일과 단합을 추구하기 위해서였다. 심산은 과거 한국사회의 가장 강력한 이념이었던 유도의 현대적 재건이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중요한 매개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심산의 유도재건운동은 순탄치 않았다. 일제 때 경학원(經學院)을 무대로 친일활동을 벌였던 소위 황도유림(皇道儒林) 세력과 지방향교를 중심으로 한 보수유림의 반대가 격렬했기 때문이다. 이들 부패한 유림세력은 1950년대 중반 자유당 독재정권과 손잡고 심산을 추방하는데 앞장서게 되니 심산이 추진해온 유도개혁도 결국 지속되지 못하고 만다.
[성균관대학의 설립]
심산의 교육운동은 민족운동의 일환으로서 부단히 추구되는 지향적 목표이었다. 애국계몽기 고향에서 펼친 성명학교와 중국 망명시기의 교육사업이 그러하였다. 민족의 맥박이 쇠잔해 가는 마당에 학교를 설립하여 도의와 신사상을 진작하고 강상(綱常)을 부식함으로써 겨레의 정기를 다시 불러일으키겠다는 목표가 심산의 교육운동의 정신이었다. 성균관대학의 설립은 이러한 그의 교육이념과 실천행동의 최대 결실점이었다. 1946년 9월 25일에 성균관대학의 설립인가를 받게 되고 그와 함께 심산은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리하여 심산은 과거 민족의 대학인 성균관과 유교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성균관대학의 지도자가 되었던 것이다.
심산의 평소 기질과 비타협적 행동 특성으로 볼 때 미군정 하에서 대학을 세우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평소 심산의 뜻에 공감했던 많은 인사들의 도움으로 성균관대학이 개교하게 된다. 실제 처음으로 문교부장 유억겸과 차장 오천석 등을 만난 곳은 금화장이었다. 일본기가 꽂혔던 자리에 미국기가 펄럭이는 중앙청에는 들어가고 싶지 않다고 하여 장차관들을 불러내어 만난 것이다. 물론 유억겸은 심산을 존경하고 그의 뜻을 헤아려 적극 협력하고 주선하였다. 그렇다고 심산이 폐쇄적이거나 완고한 전통의식에 고착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심산의 교육정신은 오히려 개방적이며 현실적이었다.
성균관대학 창립식에서 심산은 성균관대학의 특색을 “우리민족의 전통적 윤리도덕의 진수를 천명하여 우리의 문화를 세계만방에 선양하려는 바”라 하였다. 그리고 “동서고금의 가장 좋은 점을 절충하여 우리의 고유한 유교정신에 귀납, 함양시키자”고 하였다. 남의 장점을 받아들여 자아화함으로써 그 진수를 만들고 이러한 자기문화를 세계에 선양하는 일, 이것이 곧 자기 발전의 길이라고 본 것이다.
▲ 유림의 지도자였던 심산은 성균관대학교를 만들어 초대 학장에 취임했다가 이승만 세력에 의해 쫓겨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 심산사상연구회
성균관대학교 이우성(초대회장), 장을병, 정범진 교수 등 28명은 심산의 애국사상과 선비정신을 연구하고 뜻을 기리기 위해 1978년 '심산사상연구회'를 창립했다. 심산사상연구회는 '심산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1979년)', '심산사상연구 제2회 학술발표회(1980년)' 등의 연구발표 활동과 '심산선생 어록비'를 독립기념관 경내에 세우는데 앞장서는 등 추모사업을 전개했다.
[84세로 생애를 마감]
1955년 무렵부터 독재권력과 그 주구들에 의해 소위 성균관 및 성균관대학의 분규가 확산되어 심산은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고 만다. 1960년 4·19혁명 직후 성균관에서는 심산을 다시 모셔 오자고 하였지만 이미 기력이 쇠퇴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대표에 추대되기도 하였으나 5·16으로 그마저 무산되었다.
성균관대학에서 물러난 심산은 서울에서 집 한 칸도 없이 곤궁한 생활 속에 여관과 병원을 전전하는 형편에 처하게 되었다. 심산의 선비정신과 청렴결백한 태도가, 대학을 세우고 학장·총장을 지내고서도 셋집에서 여생을 보내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 심산은 마침내 1962년 5월 10일 서울 중앙의료원에서 84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투철한 선비정신의 소유자요, 불요불굴하는 위대한 저항자세와 과감한 행동주의(行動主義)의 표상이었던 심산이 드디어 세상을 떠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온 국민의 애도 속에 사회장(社會葬)이 엄수되었고, 심산의 유해는 서울 수유리에 안장되었다.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전통적 원칙을 지켜나갈 때 비로소 대의명분이 세워지는 것이라고 심산은 보았던 것이다. ‘마음(心)’에 의한 행동주의, 그리고 시대적 의리에 의한 대의명분론으로 무장된 심산의 사고는 그의 생애를 일관한 백절불굴 정신의 원천이었다.
출처: http://flyturtlestudio.tistory.com/1457 [날아라거북이]
|
첫댓글 심산 김창숙 선생의 애국애족 정신, 우리 모두 가슴에 새깁시다.
심산선생님의 정신 깊이 새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