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일 너희가 하나가 되지 아니하면, 너희는 나의 것이 아니니라”
- 주일학교 공과 - 04월21일 - 04월27일 -
커틀랜드로 이주하는 성도들 그림의 일부, 샘 롤러
4월 21일~27일:
“만일 너희가 하나가 되지 아니하면, 너희는 나의 것이 아니니라”
초기 성도들에게 교회는 일요일에 설교를 듣는 장소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그들에게 주어진 계시에는 대업, 왕
국, 시온, 그리고 제법 자주, 일 등의 단어가 사용되었다. 사람들은 이러한 것들로 인해 회복된 교회로 이끌렸을
것이다. 그들 중에는 교리를 사랑하는 만큼 자신의 삶을 헌신할 거룩한 과업을 바라는 이들이 많았다.
그렇다 하더라도 1830년에 주님께서 오하이오주로 집합하라고 명하셨을 때 그에 순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
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안락한 집을 두고 낯선 국경 지대로 떠나는 것을 의미했다.
(“회복의 소리: 오하이오로 집합하다” 참조)
당시 성도들이 오직 신앙의 눈으로만 볼 수 있었던 것들을 오늘날 우리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주님께서는 오
하이오에 그들을 위해 큰 축복들을 예비해 두셨음을 우리는 안다.
오하이오로 집합해야 할 필요성은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오늘날의 성도들도 “시온을 일으”킨다는
(교리와 성약 39:13) 똑같은 대의를 위해 단합하고 있다.
초기 성도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 역시 “세상의 염려”를(교리와 성약 40:2) 떨쳐 버리라는 권유를 받으며 “네
가 이제까지 결코 알지 못하였던 큰 축복을 받게 되리라” 라는 주님의 약속을 믿는다.(교리와 성약 39:10) 또한
『성도들』, 제1권, 109~111쪽을 참조한다.
가정 및 교회에서 배우기 위한 아이디어
*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축복하기 위해 우리를 모으신다.
1831년 겨울, 뉴욕주 페이에트의 교회 회원들은 (400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오하이오주로 이주하기 위해 어려
운 희생을 감수해야 했다. 교리와 성약 37편 3~4절에 나오는 주님의 명에 대해 읽으면서, 주님께서 여러분에게
요구하신 희생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런 다음 교리와 성약 38편 1~33절을 공부하면서, 구주에 관한 진리 가운데 그분의 권고를 따르겠다는 신앙을
북돋워 주는 것들을 찾아본다.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으로서 함께 모일 때 오는 축복에 관해 11~33절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나의 음성을 듣고 나를 따르라.”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를 여러분의 “입법자”로 세우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그분의 법을 따를 때 여러분
은 왜 “자유로운 백성”이 될 수 있는가? 또한 니파이후서 2장 26~27절을 참조한다.
* 준비되어 있으면 두려워할 필요 없다.
주님께서는 교리와 성약 38편 30절에서 “너희가 준비되어 있으면, 두려워하지 않게 되리라.”라는 원리를 밝히셨
다. 여러분은 이 원리를 언제 경험해 보았는가?
38편을 공부하면서, 성도들이 용기를 내어 미래를 맞이할 수 있도록 주님께서 그들을 준비시키시는 방식에 주목
한다. 그분은 두려워할 필요 없는 상태가 되기 위해 여러분이 어떻게 어려움에 대비하기를 바라시는가?
또한 데이비드 에이 베드나, “이로써 우리는 그들을 시험하여”, 『리아호나』, 2020년 11월호, 8~11쪽을 참조
한다.
*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가 되”기를 원하신다.
오하이오에 모인 성도들은 저마다 다른 환경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여러분 와드에 있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
이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백성들에게 “하나가 되라”라고 명하신다.(27절) 우리는 이러한 단합을 이뤄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교리와 성약 38편 24~27절을 읽으면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르는가?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기 위해 왜 단합
해야 하는가? 이 성구들을 읽으면 가족, 와드 회원, 정원회 또는 반 회원들과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봐야겠다는 마
음이 들 수 있다.
여러분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가 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구주께서는 여러분이 “하나가 되”
도록 어떻게 도와주실 수 있는가? 동영상 “A Friend to All”[모든 사람의 친구] 또는 “Love in Our Hearts”
[우리 마음에 사랑을 품고](복음 자료실)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리아호나』, 2021년 11월호, 83~85쪽에 나오는 데일 지 렌런드 장로의 말씀,
“그리스도의 평안은 적대감을 없앱니다”에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A Friend to All
Love in Our Hearts
여러분은 이들이 더욱 단합하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예를 들어, 정원회나 반 회원 또는 가족에게 다정한 내
용의 손 편지를 전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연락해 봐야겠다는 느낌이 드는 사람이 있는가?
에베소서 2장 14, 18~22절과 니파이후서 26장 24~28절에 나오는 구주의 모범에서 어떤 점이 여러분에게 영감
을 주는가? 또한 다음 자료를 참조한다. 쿠엔틴 엘 쿡, “의로움과 단합으로 맺어진 마음”, 『리아호나』, 2020년
11월호, 18~21쪽; “서로 사랑해”, 『찬송가』, 193장; 복음 자료실의 주제 및 질문,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에 속
함”.
*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나에게 영원한 부를 주고자 하신다.
“땅의 부”와 “영원한 부”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교리와 성약 38:39) 여러분은 영원의 부를 소중하
게 여기라는 가르침을 얻게 된 계기가 있는가? 그때 무엇을 경험했는가?
이 점을 염두에 두고 39~40편(머리말에 나오는 역사적 배경 포함)에 나오는 제임스 코빌의 이야기를 읽어 본다.
그의 경험이 여러분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 생각해 본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마음[이] [하나님] 앞에서 옳았”
던 때를 떠올려 본다.(교리와 성약 40:1)
여러분은 충실했을 때 어떤 축복을 받았는가? 또한 여러분 앞에 놓인 “세상의 염려”에 대해 생각해 본다. 그러한
염려는 여러분이 하나님의 말씀을 “즐거이” 받는 데 어떻게 방해가 될 수 있는가?(교리와 성약 39:9; 40:2) 39~40
편에서, 하나님께 더 한결같이 순종해야겠다는 마음이 들게 하는 부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마태복음 13장 3~23절을 참조한다.
너희는 집합을 이루도록 부름을 받았나니
ㅡ 경전을 삶에 적용한다.
“학습자들이 [경전 내용이] 자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깨닫도록 돕는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것이다. ‘이 진리는 현재 여러분이 삶에서 경험하고 있는 것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이 사실을 아는 것
은 왜 중요할까요?’
‘이 진리를 통해 여러분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요?’”(『구주께서 보여 주신 방법으로 가르침』, 25쪽)
교리와 성약 39~40편에 관해 이런 질문들을 적용한다면 이러한 계시를 삶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으려면, 이번 달 『리아호나』 및 『청소년의 힘을 위하여』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ㅡ 인물, 장소, 사건
3. 오하이오로 가라’
4. 클릭해서 내용 더 보기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아이디어
* 하나님은 우리를 축복하시기 위해 우리를 모으세요.
1. 이 개요 마지막 부분에 있는 지도와 활동 페이지를 활용하면 아이들이 하나님께서 교리와 성약 37편 3절에서
명하신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이들이 이 계시에 언급된 장소들을 찾도록 도와준다.
또한 교리와 성약 38편 31~33절에서 하나님께서 그분의 백성이 함께 모이기를 바라시는 이유를 설명하는
문구를 찾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오하이오로 집합하다: 루시 스미스의 신앙과 기적
*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가 되”기를 원하세요.
1. 아이들과 함께 교리와 성약 38편 24~25절을 읽으면서, 형제 자매를 자기 자신과 같이 여긴다는 말의 의미에
관해 이야기 나눈다.(또한 마태복음 7:12 참조) 성구에서 “자기 형제” 부분에 서로의 이름을 넣어 다시 한번
읽어 보게 한다.
2. 아이들에게 “하나가 되라”라는 말의(교리와 성약 38:27)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 숫자 1을 크게 그린 뒤 가족이
나 반원들의 이름과 그림, 또는 사진으로 장식하도록 도와준다. 숫자 1 옆에 여러분이 더욱 단합하기 위해 할 일
들을 적어 볼 수 있다.
3. 천 조각이 모여 하나의 퀼트를 이루고 여러 재료가 합쳐져 한 덩이의 빵이 되는 것처럼, 여러 개가 하나가 되려
면 어떤 조합 또는 결합을 이뤄야 하는지를 실물 공과로 보여 줄 수 있다.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가 되는 것
에 관해 이러한 예시들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 준비돼 있으면 두려워할 필요 없어요.
1. 아이들과 함께 교리와 성약 38편 30절을 읽으면서, 최근에 겪은 일 가운데 준비가 필요했던 상황에 관해 이야
기해 본다. 그런 다음,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무엇을 준비하기 바라실지 질문한다. 준비된 덕분에 두려
워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경험을 아이들에게 들려준다. 또한 동영상 “사람들이 기절하리니”(복음 자료실)를 함
께 시청할 수 있다.
사람들이 기절하리니
* 나는 확인을 받을 때 성신의 은사를 받아요.
1. 확인받는 사람의 사진을 보여 준다. 아이들에게 사진 속 모습을 설명해 보라고 한다.
또한 교리와 성약 39편 6절과 23절을 읽어 주면서, 성신이라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사진을 가리켜 보라고 한다.
(또는 『어린이 노래책』, 56쪽, “성신”을 활용할 수 있다.) 성신의 은사를 통해 받은 축복을 함께 이야기해 본다.
아이디어가 더 필요하면, 이번 달 『친구들』 잡지 기사를 참조한다.
-2025년 04월달 주일학교 교재에서-
첫댓글 ♣~문장 중간에 파란 글씨로 된 곳을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