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상거래 5가지 종류
B2B (Business-to-Business, 기업 대 기업 거래)
B2B는 기업 간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기업 대 기업의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기업은 다른 기업에 상품, 서비스, 솔루션을 판매하거나 구매합니다.
주요 고객은 다른 기업 또는 조직이며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일반적으로 장기 계약과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상품이나 서비스는 대량으로 구매되며 거래 규모가 크기 때문에 가격 협상 및 계약 조건이 중요합니다.
예
제조업체가 원자재를 공급하는 경우, IT 솔루션 제공업체가 다른 기업에 대량 라이선스를 판매하는 경우
https://en.wikipedia.org/wiki/Business-to-business
B2C (Business-to-Consumer, 기업 대 소비자 거래)
B2C는 기업과 개인 소비자 간의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기업 대 소비자 간의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기업은 개인 소비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요 고객인 개인 소비자에게 직접 마케팅 및 판매가 이루어지며 가격은 고정 또는 소비자 시장의 경쟁에 따라 결정됩니다. B2C 거래는 소비자 경험과 브랜딩에 큰 중점을 둡니다.
예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개인 고객이 의류, 전자제품, 식품 등을 구매하는 것
https://en.wikipedia.org/wiki/Direct-to-consumer
C2C (Consumer-to-Consumer, 소비자 대 소비자 거래)
C2C는 개인 소비자간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합니다. 이 모델에서 개인 간 거래가 이루어지며 판매자와 구매자는 모두 개인 소비자 입니다. 개인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개인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거나 교환하는 상호 작용이 이루어집니다. C2C 거래는 일반적으로 온라인 플랫폼이나 중개 업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
옥션, 이베이, 에어비앤비
C2B (Consumer-to- Business, 소비자 대 기업 거래)
C2B는 소비자가 주체가 되어 기업간의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 합니다.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형태를 제안하고 기업은 여기에 맞는 제품을 추천하는 마케팅 방법.
이 모델에서는 소비자와 기업 간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예 협찬이나 광고,
공동 구매, 역경매 따위의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B2A (Business-to-Administration, 공공기관 또는 정부기관 간의 거래)
B2A는 B2G(Business-to-Government)라고도 함. 공공기관 또는 정부기관 간의 거래를 의미.
예
사회, 고용, 법률 등의 영역에서 서비스를 포함하는 영역임
C2A (Consumer-to -Administration , 소비자 대 공공기관 거래)
C2A는 소비자가 지역 정부당국에 직접 공공부문에 관한 질문을 게시하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델로 소비자와 정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공함
예
세금 신고서 제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