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주의(Positivism)
1. 맨처음 이 단어가 쓰이기는 19세기의 프랑스 철학자 꽁트(Auguste Com- te)에 의해서 기초된 철학적, 종교적 운동을 가리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지 금은 직접 꽁트에 의존하지 않아도 일반적이고 널리 퍼져 있는 철학적 입장을 가리키기 위하여 쓰인다. 꽁트는 '실증적'이라는 단어를 '억측'과 반대되는 뜻 으로 사용하면서, 원인들을 연역해 내는 '사변적' 철학이 아니라, 이미 알려진 사실과 부합하는 철학을 건설할 것을 요구하였다. 꽁트는 인간의 지성이 어떻 게 신학적 단계에서 형이상학적 단계로, 다시 마지막 실증적 단계로 옮아 가는 가를 기술하기 위해서 유명한 삼단계의 법칙을 만들어 내었다.
실증주의라는 용어가 좀더 일반적으로 쓰일 때에는, 사실이나 감각 경험에 의거하지 않은 모든 사변들에 대하여 의심하는 사조를 뜻한다. 실증주의자들은 모든 지식은 사실에 대한 기술이거나, 논리와 수학에 의거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뜻에서 실증주의는 철저한 경험론이다.
2. '실증주의'라는 용어는 콩트 드 생시몽 앙리(Comte de SaintSimon Hen- ri)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과학적인 방법을 가리키며 그 방법을 철학에까지 확 장한 것을 의미한다. 콩트(Auguste Comte)에 의하여 채택된 이 용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서구 세계의 모든 나라들에서 영향력이 있었던 중요한 철학 적 운동을 지시하게 되었다.
실증주의의 특징적인 주제는 과학이 유일하고 확고한 지식이며, 사실들이 지식의 유일하고 가능한 대상이라는 것, 철학이 과학과 다른 방법을 가지고 있 지는 않다는 것, 그리고 철학의 과제는 모든 과학에 공통적인 일반원리들을 발 견하고 이 원리들을 인간 행위의 지침으로 인정하며 사회 조직의 기초로 사용해 야 한다는 것 등이다. 결과적으로 실증주의는 과학에 의하여 확인되는 사실들 과 법칙들을 넘어서 있는 힘들이나 실체들의 존재나 가지성을 부인한다. 실증 주의는 모든 종류의 형이상학과 아울러 일반적인 과학적 방법으로 환원될 수 없 는 어떤 연구 과정도 반대하고 있다.
실증주의의 주요 철학적 근원들은 프란시스 베이컨의 저술들과 영국의 경 험주의자들, 그리고 계몽주의의 철학자들이다. 그러나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었 던 문화적 풍토는 18세기 산업혁명의 풍토와 산업, 생산기술의 첫 성공이 가져 다 주었던 낙관주의의 거대한 사조였다. 실증주의는 이 풍조를 철학적인 프로 그램-즉 인간 생활을 위한 보편적인 계획-으로 만들었다. 그것은 과학적 타당 성의 조건들과 한계들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은 채(현대 실증주의는 이것을 하 고 있다) 과학을 찬양했고, 윤리학과 정치학은 물론 종교도 과학적 학문이 되어 야 함을 주장했다. 한편으로 실증주의는 전통적인 신학적 종교들의 자리에 하 나의 '실증적' 종교를 확립하려는 시도를 유발했다. 자연의 무한성의 개념과 역사의 개념, 아울러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진보의 개념을 받아들임으로 실증주 의는 19세기의 다른 중요한 철학 운동 즉 절대적 관념론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 었고, 그것과 더불어 일반적인 범주의 낭만주의에 속하고 있다.
실증주의에는 근본적으로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공공연하게 실제 적이고 정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회적 실증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공히 이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진화론적 실증주의이다. 그 둘이 모두 진보에 대 한 일반적인 관념을 가지고 있으나, 사회적 실증주의가 진보를 사회와 역사에 대한 사로로부터 추론하는 반면에, 진화론적 실증주의는 그것을 물리학과 생물 학의 영역들로부터 추론하고 있다. 콩트와 J.S. 밀이 사회적 실증주의의 일차 적인 대표자들이고, 허버트 스펜서가 진화론적 실증주의의 대표자이다. 유물론 적인 혹은 유심론적인 형이상학이 흔히 진화론적 실증주의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경험비평주의(empiriocriticism)로도 알려져 있는 세번째 유형인 비평적 실증주의는 사회적 실증주의나 진화론적 실증주의와 구분되어야 한다. 실증주 의의 현대적인 형태들-논리적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와 신실증주의(neo- positivism)-은 비평적 실증주의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