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IC tag을 이용한 포장
IC tag이란 무선으로 정보를 판독하거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IC chip을 내장한 꼬리표이다. 무선 ID(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일종으로 동작으로 전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품의 생산부터 물류, 판매, 폐기까지의 과정 전체를 파악 가능하고, 유통의 효율화나 재고 관리의 간략화가 가능하게 된다. RFID 시스템의 구성 내용을 가운데 그름에 나타내었는데, 카드, 라벨의 형상이 있고, 이것을 판독하여 전산기로 처리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 IC tag을 넣은 포장 등을 “스마트 포장”이라고 말한다.
특징은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복수의 tag을 일괄로 판독하여 포장 상자 내에서도 가능하고, 표면이 오염되어 있어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에 의해 10배 이상의 정보를 입력 가능하고, 첨부 후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자에 의한 생산, 상품 정보에 더하여 유통의 각 단계에 입고, 출고 정보 등을 추가하는 것으로, 수송, 재고 관리의 효율화와 생산부터 유통에 달하는 상품 이력의 추적(traceability)도 가능하게 된다.
Privacy 보호의 입장으로부터 총무성이 “전자 tag에 관한 privacy 보호 가이드 라인”을 작성하고 있고, 사업자 등에 주지시키고 있다.
① Tag가 장착되어 있는 표시
② Tag 판독에 관한 소비자의 최종적인 선택권의 유보
③ 개인 정보의 기록은 정보 수집이나 이용의 제한
④ 정보관리자의 설치
⑤ 소비자에 대한 설명이나 정보의 제공
미국의 “Amazon Go”는 cashless인데, IC tag를 이용하지 않는다. 중국의 “Bingo Box”는 IC tag를 이용한 컨테이너형 무인 편의점으로 화상 인증이나 중량 인증의 기술을 아우른 점포이다. 일본에서도 무인 register가 시작되고 있는데, IC tag이 고가이기 때문에, 포장 품 개개로의 장착에는 아직 시간이 걸린다.
요점 BOX 바코드의 10배 이상의 정보 기록 상품 이력의 추적(traceability)도 가능 절도 대책에도 유효 |
<바코드와 IC 코드의 비교>
| 바코드 | IC Tag |
정보의 기억 용량 | 적음 | 많음(10배 이상) |
암호 처리 | X | O |
판독 거리 | 수㎝ | 수㎝ |
복수 동시 판독 | X | O |
입력 | X | O |
오염 | X | O |
코스트 | 저가 | 고가 |
#RFID #스마트포장 #traceability #cash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