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의 장례문화 변화 및 우리의 대책
1.기본적인 변화 개념
-.죽음은 슬픈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기억하는 개념으로 전환
-.자기가 원하는 방식으로 인생을 마무리하기 위해 일찍 죽음 준비
2.구체 사례
-.건강할 때 장례식을 열어 감사 인사하는 『생전장례식』 급속 확산
☞.일반 파티처럼 웃고 떠들며 유쾌한 분위기에서 진행 ⇒ 생전장례식 후 실제 사후엔 장례식 생략
-.유골을 바다에 뿌리는 『해양장』 확산
☞.해양장.납골장.수목장등을 들러보는 일일 버스투어 상품 인기 ⇒ 50-60대가 주류이며 마치 소풍을 가듯 화기애애
-.자기 취향을 반영한 『관 꾸미기』 확산
☞. 평소 좋아하던 산,꽃등을 인쇄한 천을 관에 둘러 개성 표현
-.『무덤 친구 만들기』 유행
☞.합장(合葬)할 사람들과 친해지기 위해 매년 2-3회 정기적 친교 모임 ⇒ 굳이 가족과의 합장묘 개념 탈피
3.평가
-.웰다잉과 같은 개념인 일본의 종활(終活) 프로그램은 2010년 이후 초고령사화와 맞물려 사회적 관심 부각
☞. 생전정리.유언서 작성.“엔딩 노트”등 다양한 활동 내포
-.코로나 이후 多死사회로 들어오면서 최근에 『엔딩서비스』 시장 대폭 확대
☞.시장 규모: 2조엔(약18조원)
-.이와같이 변화하는 일본의 사회·장례문화는 바로 시간간격을 두고 한국에 이전되고 있어
⇒ 내년부터 초고령사회로 들어오는 우리에게 관심의 대상
4.대책
-.일본의 장례문화 중 특별히 『생전장례식』 확산 및 『엔딩서비스』 확대는 바로 우리 사회에 도입, 확산될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우리 대한웰다잉협회는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여 적절한 대책 강구 긴요
☞.장례문화 변화 실태에 대한 특강 등 회원들의 자질 향상
☞.특별히 우리 협회의 엔딩플랜 사업팀에서 발빠른 준비를 하는 등 사전적 대처 필수
첫댓글 반갑습니다 ^~^
고맙습니다!
일본 장례문화의 변화 내용 글 잘 봤습니다.
예전부터(제 사견) 복지에 있어서 앞서가는 일본을 우리가 벤치마킹을 하고 있었으니~
우리나라에 빠르게 전해질 확률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과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 울 협회는 준비된 커리큘럼이 있고 인프라가 되어 잘 적응함으로 정부,사회 전반에 크게 기여하리라고 생각되네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