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Senior ]의 시간 / 김 영중
어떤 뉴스를 들어도 안타깝거나 안쓰럽고 이 세상에 어떤 일이든 이해 못할 일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니 나이를 먹은 증후이다. 시간이 빨리 갔으면 했던 20대 에는 늑장을 피우는 것 같던 시간이 65세가 넘으니 시간이 꿈결처럼 흘러가 버린다. 삶의 깊이를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시간은 다시 거슬로 오르지 못할 물살이 되어 흘러가 버리고 만다. 해가 바뀔 때마다 가슴이 부풀고 희망에 찬 것이 아니라 허무하고 나이 먹는 것이 두려워지며 내 인생에 배급받는 시간은 얼마나 남아 있을까 하는 생각에 삶의 질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시니어들은 모이면 건강 이야기가 주로다. 누가 갑자기 쓰러졌고 몸에 어디가 이상하면 무슨 병에 증상이고, 어떤 병에는 어떤 약이 좋다는 등, 건강이 화제의 중심이 된다. 평소 생활습관에 따라 100세 까지 사는 것은 이 시대에는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의학자들은 말 하고 있다.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의식이 높아지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인간평균 100세의 장수 시대가 열린 것이다. 건강관리?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나이 들면서 건강관리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시간관리다. 시간은 돈 이라고들 말하지만 65세가 넘으면 시간은 돈, 그 이상이다. 시간은 자신의 생명이고, 돈을 주고도 살수 없는 구매 불가능이기 때문이다.
많은 노인들이 우두커니 앉아 하루를 보내고 있는 모습들을 본다. 일이 없으면 사람은 겉늙는다. 지적 자극이나 새로운 일에 대한 도전이 없으면 우리의 뇌는 급격히 쇠퇴 한다고 한다. 물론 치매도 빨리 온다고 한다. 시니어들은 인생의 오후 이다. 오후는 오전보다 더 길고 다양하다. 문제는 이 장수시대에 얼마나 사느냐가 아니고 이 남은 날들을 어떻게 시간을 쓰느냐가 시니어들에게 주어진 삶의 숙제이다. 시간은 차별이 없다 다만 주어진 시간을 잘 쓰는 사람과 못 쓰는 사람이 있을 뿐이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자기 스스로의 삶의 시간표를 짜야 하는 어려움과 고민이 시니어들의 몫이다. 시간은 마치 그릇과 같다.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되고 죽을 담으면 죽 그릇이 된다. 시간에 담겨진 내용이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 “ 고 삶의 의미를 정의 했다 .
많은 사람들이 돈 낭비는 아까워해도 시간낭비는 아까워하지 않는다. 높은 산에 올라가 고산 증을 앓아야 산소가 얼마나 귀중한가를 느끼는 것처럼 사람은 죽음 앞에 섰을 때 시간의 가치와 의미를 파악 하게 된다. 시간은 하늘로 부터 받은 재산이다. 그 재산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이 달라지며 삶의 윤택함이 결정 된다. 정신없이 사업에만 매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은 시간의 노예다. 돈 있고 시간 없으면 진짜 부자는 아니다. 돈 있고 시간 있어야 진짜 부자라고 할 수 있다. 분노의 자리를 연민의 자리로 채우고 허욕에서 벗어나 맑은 눈빛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시간, 세상을 조망 하는 지혜와 이해력이 높아지는 시간, 그 시간이 시니어의 시간이다. 시니어의 시간은 양이 아니라 질이다. 젊은 시절의 시간과는 다르기 때문에 짧더라도 알맹이가 꽉 찬 그런 시간을 보내기 위해 속도를 늦추지 않는 홀로서기의 스케쥴을 짜야 한다. 신앙을 통한 경건의 시간은 물론, 봉사활동도 갖고 여행도 하고, 취미생활도 하며 기다리는 삶을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사람도 가려서 만나야 하고 피곤한 사람들을 피하는 것도 시간의 질적 사용의 한 방법이다. 책도 아무것이나 읽지 말고 양서들을 골라서 읽어야 한다. 이 모임 저모임에 나가 다른 사람 뒷담 하는 데 맞장구치는 것도 시간낭비다. 시니어의 시간은 무엇보다 마음의 평화가 중요하다 .사람을 대하면 반갑게 인사하고, 하찮은 일에도 감사하고, 저녁노을에도 감동하고, 자주자주 감탄할 때, 나이의 숫자를 의식하지 않은 즐겁고 건강한 노년의 삶이 될 것이다.
산다는 것은 배급받은 시간을 쓰는 것이다. 시간의 비밀을 푸는 것이 현명하게 나이를 먹는 비결이며 조화가 되지 않고 향기 있는 생화로 시니어의 시간을 사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