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 천년사찰)세계에서 유일한 미륵, 지장 기도도량 고창 선운사 도솔암 (전북사찰)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兜率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제24대 진흥왕 당시 창건한 암자. 선운사.
도솔암은 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禪雲寺)의 산내 암자입니다. 본래 상·하, 동·서·남·북의 여섯 도솔암이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상·하·북 세 도솔암만이 남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도솔암이라 불리는 암자가 하도솔이며, 하도솔에서 365계단을 올라가서 있는 도솔암 내원궁(內院宮)이 상도솔암으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도솔암#선운사 #사찰기행 상도솔암은 진흥왕 때 창건한 뒤 1511년(중종 6)에 지은(智誾)이 중창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태헌(太憲)이 중수하였습니다. 1705년에는 보경(寶鏡)이 중종(中鍾)을 봉안하였고, 1829년(순조 29)에는 경문(敬聞)이 중수하였습니다. 절 건물로는 내원궁만이 있는데, 이곳에는 미륵보살상이 아니라 지장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보물 제280호로 지정된 이 선운사 지장보살좌상은 턱 밑까지 내려온 귓밥과 이륜(耳輪), 가슴의 영락이 특이하고 의문(衣文)의 선이 부드러운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조선 초기 불상 중 5대 걸작의 하나로 꼽힙니다. 하도솔암은 1658년(효종 9)에 해인(海印)이 창건한 뒤 1669년(현종 10)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나한전·요사채 등이 있습니다. 상부 약 100m 지점에는 높이 25m, 너비 10m의 바위에 새겨진 석가여래좌상이 보물 제1200호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禪雲寺)의 산내 암자이다. 본래는 상·하, 동·서·남·북의 여섯 도솔암이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상·하·북 세 도솔암만이 남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도솔암이라 불리는 암자가 하도솔이며, 하도솔에서 365계단을 올라가서 있는 도솔암 내원궁(內院宮)이 상도솔암으로 1986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상도솔암은 진흥왕 때 창건한 뒤 1511년(중종 6)에 지은(智誾)이 중창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태헌(太憲)이 중수하였다. 1705년에는 보경(寶鏡)이 중종(中鍾)을 봉안하였고, 1829년(순조 29)에는 경문(敬聞)이 중수하였다.
그 뒤 내원궁만 남기고 퇴락한 듯하다. 당우로는 내원궁만이 있는데, 이곳에는 미륵이 아니라 지장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 선운사지장보살좌상은 턱 밑까지 내려온 귓밥과 이륜(耳輪), 가슴의 영락이 특이하고 의문(衣文)의 선이 부드러운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조선 초기의 5대걸작불상 중의 하나로 꼽힌다. 하도솔암은 1658년(효종 9)에 해인(海印)이 창건한 뒤 1669년(현종 10)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나한전·요사채 등이 있다. 상부 약 100m 지점에는 높이 25m, 너비 10m의 암각(巖刻) 석가여래좌상이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로 1994년 지정되었다.
옛날에는 이곳에 동불암(東佛庵)이 있었으나 조선 말기 폭풍으로 도괴되었다고 한다. 이 동불암지는 1994년에 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 조사한 바 있다. 이 밖에 이 절의 입구에는 약수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솔암 [兜率庵]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운사도솔암내원궁[ 禪雲寺兜率庵內院宮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운사 도솔암의 지장보살상을 안치한 불전.
설화에 의하면, 수미산 꼭대기로부터 12유순(由旬) 되는 곳에 도솔천이라는 천계(天界)가 있고, 거기에 내원궁과 외원궁이 있다고 한다. 내원궁에는 미륵보살이 장차 부처가 되어 세상을 제도할 때를 기다리며 머물고 있다고 전한다. 따라서 선운사도솔암내원궁은 미륵보살이 안치된 전각이어야 한다.
나한전 뒤의 가파르고 좁은 돌계단 위쪽 천인암(千仞岩)이라는 바위 위를 상도솔암이라고 한다. 이중 ‘두솔암내원궁(兜率庵內院宮)’이라 쓰인 현판이 있는 곳이 선운사도솔암내원궁이다.
원래 선운사도솔암내원궁은 통일 신라 때부터 있었다고 전한다. 1511년(중종 6)에 중창하였고, 1694년(숙종 20)에 3창(三創), 1817년(순조 17)에 4창(四創)하였다고 한다.
거대한 바위 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기단이 없는 원형 초석에 장초석(長礎石)이 함께 사용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에 두리기둥을 사용하였고, 벽선에 아자형(亞字形) 이분합문(二分閤門)을 달았다. 천장의 구조는 우물천장이다. 건물의 규모는 작지만 겹처마에 팔작지붕이 올려 있어 화려하고 안정된 느낌이다.
선운사도솔암내원궁에는 금동지장보살좌상[보물 제280호]이 안치되어 있다. 1986년 9월 9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운사도솔암내원궁 [禪雲寺兜率庵內院宮]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