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 요한 6,52-59
그때에 유다인들이 52 “저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줄 수 있단 말인가?” 하며, 자기들 사이에 말다툼이 벌어졌다.
5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사람의 아들의 살을 먹지 않고 그의 피를 마시지 않으면, 너희는 생명을 얻지 못한다.
54 그러나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얻고, 나도 마지막 날에 그를 다시 살릴 것이다. 55 내 살은 참된 양식이고, 내 피는 참된 음료다. 56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사람 안에 머무른다.
57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고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과 같이, 나를 먹는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 58 이것이 하늘에서 내려온 빵이다. 너희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것과는 달리,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영원히 살 것이다.”
59 이는 예수님께서 카파르나움 회당에서 가르치실 때에 하신 말씀이다.
여러분들은 아름다운 꽃이 만발한 화단을 망쳐버리는 방법이 무엇인지 아세요? 화단을 불을 지를까요? 아니면 물을 많이 부어버릴까요? 물론 그러한 방법도 있지만, 이러한 수고를 하지 않아도 쉽게 망쳐 버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그 화단을 그냥 가만히 내버려두는 것이라고 해요. 그렇게 되면 잡초가 무성해져서 저절로 황폐해진다는 것이지요.
또 부부간의 사랑이 깨어지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매일같이 트집을 잡아 헐뜯고 상대방의 약점을 노골적으로 공격하면 될까요? 그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이렇게 수고하지 않고 깨어지게 하는 방법은 서로에게 무관심하면 된다고 합니다. 즉, 남편은 아내를 그리고 아내는 남편을 마치 존재하지 않는 양 내버려두는 것입니다.
이제 내 인생을 어떻게 하면 망쳐버릴 수가 있을까요? 방탕하게 생활하고 법을 어기며 자신의 건강을 소홀히 하면 되겠지요. 하지만 그러한 수고를 하지 않고 망치는 방법은 악한 세상이 돌아가는 대로 그저 나를 맡겨두면 저절로 나는 망쳐버리게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내 영혼을 망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제 그 대답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겠지요? 맞습니다. 하느님이 안 계신 것처럼 그리고 내 영혼은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처럼 아무런 관심 없이 내버려 두면 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들이 망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십니다. 다시 말해서 주님께서는 우리들의 인생이 또한 우리들의 영혼을 망쳐서 당신께로 오지 않는 것을 원하지 않으십니다. 만약 죄를 많이 짓는다고 또 당신의 말을 듣지 않는 것이 괘씸해서 인간을 망치게 해야겠다 싶으시면, 너무나도 사랑하기에 우리들에게 고통과 시련도 주시지 않습니다. 즉,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그냥 가만히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우리들은 저절로 망하게 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들 모두가 구원되기를 원하시기에 철저히 우리들과 함께 하시려고 합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당신의 몸과 피를 우리의 구원을 위해서 내어 놓으셨습니다. 그런데 유다인들은 어떻습니까? 그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주님으로부터 벗어나서 세상의 관점으로만 보고 판단하려 합니다. 그 결과 주님께 대한 무관심과 적대심을 간직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들을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이 사랑을 봐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 역시 무관심과 적대심으로 일관된 삶이 아닌, 마음을 새롭게 하여 날마다 변화되는 삶을 살 수가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주님을 닮아가려는 몸부림입니다.
무관심과 적대심을 버립시다.
기죽지 말고 살거라(‘좋은생각’ 중에서)
어린 소년은 일곱 살 때 장티푸스를 앓았다. 아픈 손자를 위해 외할머니는 몸에 좋다는 인삼을 달여 먹였다. 그러나 고열로 헛소리를 하던 소년은 인삼을 먹고 청신경이 마비되어 결국은 들을 수 없게 되었다.
열두 살이 되어 학교에 복학한 소년은 선생님이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도통 알 수가 없었다. 심심해하던 소년은 꽃과 동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학교 수업이 끝나고 터덜터덜 걸어서 집에 돌아온 소년의 손을 잡아끌며 어머니는 손바닥에 이렇게 써 주었다. “비록 들을 수는 없지만 기죽지 말고 살거라.” 소년의 공책을 보고 그림 솜씨를 알아본 어머니는 이당 김은호 화백의 집을 찾아가 아들이 그림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고 부탁했다. 어머니는 소년에게 ‘운보(雲甫)’라는 아호를 지어 주며 아들이 일어설 수 있도록 희망을 주었다.
하지만 어머니는 얼마 안 가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견디기 힘든 슬픔을 가슴에 안고 소년은 ‘기죽지 말라’는 어머니의 말씀을 되새기며 열심히 그림을 그렸다. 그 덕에 산수화의 대가로 성장한 소년의 이름은 바로 운보 김기창 화백. 그는 화폭 위에 흔들리는 나뭇잎을 그리며 바람 소리를 듣고, 악사를 그리며 풍악을 들을 수 있었다.
김기창 화백은 청각 장애를 온몸으로 받아들이고, 극복했다. 그는 청각 장애인이 자립 기반을 닦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장애를 극복한 순간 언제든지 원하는 곳을 향해, 꿈을 향해 맘껏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