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
=> 경제 약자인 농어민이나 중소상인, 소비자들이 물자의 생산.구매.판매,소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협동해서 해나가는 조직. 대기업의 경제적 압박이나 중간상인을 차단해 소비자 권익을 지키는 것이 주목적이다. 지난해 1월 '협동조합 기본법'이 공포되고 11월에 시행령이 발효하면서 보험.금융.의료를 뺀 모든 분야에서 자유롭게 조합을 구성할 수 있게 됐다.
5명 이상이면 누구나 설립.... 지난해 12월 법 개정
"이동통신 3사가 1만1000원씩 받던 기본요금을 3300원으로 낮추는 상품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음을 알려 드립니다."
지난 8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인천에 기반을 둔 '전국통신소비자 협동조합'이 "소비자의 힘으로 이동통신 기본료를 70% 낮췄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조합이 알뜰폰업체(kt-mvno)한 곳과 협의해 어떤 휴대전화든 이 기본요금에 초당 통화요금 1.8원 문자요금 15원인 상품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이 알뜰폰 업체의 통신망은 kt에서 관리해 준다. 통화 음질에는 차이가 없다. 그런데 조합이 이 업체와 협의해 기본요금을 원가 수준으로 낮추는 대신 통화료와 문자요금에서 조금씩 이익을 남길 수 있게 한 상품을 만든 것이다. 가입자가 많을수록 업체가 이익을 보게 되는 박리다매의 구조다.
이 상품을 이용하려면 먼저 조합원이 돼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결국 많은 조합원을 확보해 이 상품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조합원이나 업체 모두 이익을 보는 구조를 만든 것이다. 지난해까지 이 조합 회원은 400여 명이었으나 20일 현재 1만8000여명으로 불어났다고 한다. 조합은 이제 공동구매를 통한 휴대폰 싸게 사기, 초고속 인터넷 월 1만원 정액제 상품화 등의 활동도 추진하고 있다.
협동조합을 전문화하고 키우기 위해 만든 '협동조합법' 시행령이 지난해 12월부터 시행돼 조합 설립 절차가 간단해지면서 협동조합 설립이 붐을 이루고 있다. 시행령에 따라 발기인 5명이상이면 누구든 시,도에 신고하고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게 됐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만 136곳의 조합이 설립 신고를 했다. 서울시에는 17곳이 설립 신고를 냈다. 1960년 신용협동조합을 시작으로 1961년 농협, 1962년 수협 등 52년간 특정 분야 협동조합 8개만 개별 법규에 따라 설립.운영돼 왔던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숫자다. 이 중 '지구촌 협동조합'은 이주노동자들이 중심 조합원이 되는 곳이다. 그들이 싼값으로 아침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식당을 운영하고, 인력중개소로 운영하면서 직업교육과 인력 파견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7곳의 설립 신고가 들어온 광주광역시에는 광산구청의 청소대행업체에서 환경미화원으로 일했던 직원 13명이 만든 '클린 광산협동조합'이 눈에 띈다. 이들은 지난해 청소대행업체의 노사 분쟁이 일어나 이 업체가 구청과의 청소 업무 계약을 포기함에 따라 일자리를 잃게 됐다. 그 뒤 광산구청을 상대로 직접 고용을 요구했지만 잘 풀리지 않던 차에 협동조합법이 발효되자 조합을 만든 것이다. 이들은 최근 광산구청과 계약을 맺어 올해 청소 업무를 맡게 됐다.
이 밖에 대형 아웃소싱 기업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 중소업체들이 만든 '한국아웃소싱 협동조합(서울)'. 고단백 저칼로리의 다이어트 오시락 개발을 내세운 '행복드림 인천협동조합' 자전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여점.정비센터 운영 등을 목표로 하는 '자전거 세상 만들기 협동조합(남양주) 등 다양한 협동조합이 추진되고 있다. 전국통신소비자협동조합의 이용구(64)상임이사는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이 소비자로서 권익을 지키고, 수익도 얻을 수 있는 대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