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순천 도시재생효과 지역경제 살아나
- 국토부 도시재생선도사업 효과 ‘가시화’ -
원도심 인구가 23%가량 감소하는 등 도시 쇠퇴현상이 심각했던 순천지역이 도시재생선도사업 및 상권 활성화 사업에 힘입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는 “도시 쇠퇴현상이 심각했던 순천에서 도시재생선도사업과 상권 활성화사업 등을 통해 매출액이 사업시행 전 대비 점포 수는 67.4%, 일평균 매출액은 11.2%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기간 빈 집은 85.9% 급감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가 속속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빈집 수는 2013년 78개소에서 지난해 11개소로 감소했다.
순천 원도심 내 점포 수는 도시재생 사업시행 전인 2014년 396개소에서 올해 663개소로, 일일 매출액은 2014년 25만1,000원에서 지난해 27만9,000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또한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순천 원도심 내 경제 활성화는 50~60대 퇴직자·장년층의 골목창업이 주축이 되고 있으며, 30여명의 청년 창업자들은 원도심에 비어있던 주택과 상가를 골목메밀집·골목서점·청년 쉐어하우스·골목영화관·골목사진관 등으로 변모시켰다.
창업 증가와 더불어 2013년 10건에 그쳤던 순천 도심의 건축허가 건수도 지난해 20건으로 늘어나 지역 건축경기에도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이 같은 원도심 활성화 성과를 이끌어낸 원동력으로 정부3.0 기조에 따른 국토부, 중기청, 문체부 등의 협업으로 국비를 효율적 투자하고, 순천 도시재생사업의 콘트롤 타워인 경제관광국을 재편한 것으로 풀이했다.
특히 국토부와 순천시는 순천만정원을 찾는 연간 600만 명의 관광객을 원도심으로 유인하고자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문체부와 중기청 지원 사업 간의 연계를 강화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국토부는 원도심의 공간체계를 개편해 문체부의 순천부읍성 창조관광센터, 중기청의 중앙시장 등 시내 주요지점을 연결함으로써 원도심 전체를 하나의 도시공간, 관광거점으로 만드는데 역량을 집중했다.
이밖에 순천부읍성 창조관광센터와 중앙시장이 하나의 동선으로 연결되도록 옥천변의 진입로를 정비하고, 수변경관․야간경관을 개선해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토부는 도시재생지원기구와 함께 13곳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사업단계별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지원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순천의 경우 도시재생․관광․상권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 현장 컨설팅을 시행해 문체부·중기청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을 연계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도시재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강사진 발굴·연계, 공모사업 계획 검토 등의 지원을 적기에 제공 중이다.
국토부는 사업이 완료되는 내년 말께 옥천청춘 문화공간, 순천부읍성 성터 둘레길, 문화의 거리와 연계된 물길, 서문터 주변 에코지오 정원거리 등이 조성돼 순천 원도심의 매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진현환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도시재생선도사업이 착수한지 3년차되는 현 시점에서 13곳의 지역에서 의미있는 중간 성과가 도출되고 있고, 그 중 순천 선도지역은 정부 3.0 부처협업이 잘 구현된 사례라고 평가한다”며 “국토부는 이러한 성과가 타 지역에도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향후 순천시 도시재생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순천투데이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