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삽관(蘆花揷冠)
갈대꽃을 관에 꽂다는 뜻으로,
비밀리에 찬성 여부를 확인한다는 말이다.
蘆 : 갈대로
花 : 꽃 화
揷 : 꽂을 삽
冠 : 갓 관
비밀리에 모여 어떤 결의를 할 때
자신들의 편인지 반대하는 측인지 알 수가 없다.
이럴 때 동의 반대를 알아보는 행위로
좌단(左袒)이란 말이 있다.
왼쪽 소매를 걷는다는 뜻이다.
중국 전한(前漢) 때 여후(呂后)의 국정농단을
뿌리 뽑기 위해 공신 주발(周勃)이 내린 지령에서 나왔다.
군대를 모아놓고 왕실 바로잡기에
찬성하는 사람에게 왼쪽 소매를 벗으라고 하자
모두 호응하여 거사에 성공했다.
이와 유사한 고구려(高句麗) 때의 이야기도 있다.
갈대꽃(蘆花)을 모자에 꽂으라(揷冠)는 말로
어떤 일에 찬성 여부를 비밀리에 확인하는 일을 뜻한다.
우리나라 최고의 정사 삼국사기(三國史記) 권 17에 실린
고구려 15대 미천왕(美川王)의 옹립 이야기는
손에 땀을 쥘 만큼 흥미진진하다.
서기 280년 13대 서천왕(西川王, 재위 270~292) 때
만주의 숙신(肅愼)족이 변경을 침략해
백성을 살해하고 재물을 약탈했다.
여러 신하의 추천으로 서천왕은
아우 달고(達賈)를 대장으로 삼아 퇴치하도록 했다.
달고는 뛰어난 지략으로 이들을 물리치고
그 지역의 여러 고을을 평정하자
백성들은 침이 마르도록 그의 공을 칭송했다.
서천왕이 죽고 뒤를 이어 즉위한 아들
봉상왕(烽上王, 재위 292~300)은
평판 좋은 숙부 탈고와 왕의 아우 돌고(咄固)를
누명을 씌워 처단했다.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은 화를 피해 피신하여
고용살이와 소급장수 등 온갖 고생을 다했다.
봉상왕이 사치와 향락으로 인심을 잃자
국상(國相)으로 있던 창조리(倉租利)는
비밀리에 사람을 보내 왕손 을불을 찾게 했다.
뱃사공으로 변신한 을불을 찾아 도성에 숨겨놓고
왕의 사냥 때 창조리는 거사를 선언했다.
"나와 뜻을 같이 할 사람은 따르라고 하며
갈대 잎을 관에 꽂았다.
학정에 지친 군사와 백성들이
너도나도 갈대 잎을 꽂으니
창조리 이하 중신들은 바로 왕을 폐하고
을불을 모셔 와 옥새와 인수를 바쳤다.
15대 왕이 된 미천왕(재위 300~331)은
현도군(玄菟郡), 낙랑군(樂浪郡) 등
한사군(漢四郡)을 빼앗아 국토확장에 큰 업적을 남겼다.
민심과 동떨어진 악정을 펼치던 왕은
백성들에 의해 쫓겨났다.
고구려 때의 이런 교훈을 잊었던
오늘의 우리나라도 경험한 일이다.
-옮긴 글- 빛돌
http://cafe.daum.net/1664URMSAN
첫댓글 매서운 추위
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풀리
고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튼다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
는 날이니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는 말도 생겨났습니다 봄이 다가 오는.~
환절기 입니다 인생의 활력을
주는 미소와 웃음 경쾌한 화요일 날 보내세요
https://cafe.daum.net/1664URM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