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봄이 되면, 앙상했던 나뭇가지에서 움트는 푸른 잎들을 보며 우리는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낀다. 매서운
추위 속에서 꽁꽁 얼어붙었던 나무들이 어떻게 다시 생명을 되찾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낼 수 있는 걸까?
우리는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올 때 봄이 왔음을 실감하고, 남쪽에서 들려오는 꽃 소식이나 길가 둔덕에 핀 노란
개나리꽃을 보며 봄을 체감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봄을 알려주는 나무들은 어떻게 봄이 왔음을 알 수 있을까? 그 비밀은 바로 온도와 햇빛에
있다. 따스한 봄 햇살이 내리쬐고 기온이 올라가면, 나무들은 이를 감지하고 겨울잠에서 깨어날 준비를 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단백질 센서다. 나무 내부에는 피토크롬과 크립토크롬이라는 특별한 단백질
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빛의 파장과 온도를 감지하여 나무에게 계절의 변화를 알려준다.
피토크롬은 온도와 빛의 변화에 따라 구조가 바뀌고, 이 변화는 신호가 되어 나무가 싹을 틔우도록 한다. 또한,
크립토크롬은 낮의 길이 변화를 감지하여 나무에게 개화 시기를 알려준다.
이처럼 단백질 센서들은 나무가 환경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생명 주기를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이 놀라운 현상 뒤에는 나무들의 치밀한 생존 전략이 숨어 있다.
사람들은 겨울을 앞두고 두꺼운 옷과 이불을 준비하고 난방을 점검하듯, 나무들도 겨울 준비를 착실히 한다.
기온이 떨어지고 해가 짧아지면 나무들은 성장을 멈추고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추위에 대비한다.
곰이 겨울잠을 자기 전에 꿀을 잔뜩 먹어두는 것처럼, 나무들도 겨울이 오기 전에 광합성을 통해 만든 영양분을
뿌리나 줄기에 저장해 둔다.
영하의 추위는 나무에게도 치명적이다. 나무의 세포 속 수분이 얼어붙으면 나무는 죽는다. 그래서 겨울이 되면
세포 속 수분 함량을 줄이는 대신 당분과 같은 물질을 채워 넣어 어는점을 낮춘다.
마치 겨울철 자동차에 부동액을 넣어 얼지 않도록 하는 것과 같다. 또한, 나무들은 세포벽을 더욱 단단하게 헤
얼음 결정이 세포벽을 뚫고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단백질 센서를 통해 봄이 왔음을 감지한 나무들은 겨울 동안 저장해 두었던 영양분으로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운다.
그렇게 해마다 나무들은 생명의 순환을 이어간다.
혹독한 추위를 이겨내고 다시 피어나는 나무들의 치밀한 생존전략은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다. 자연은 우리
에게 끊임없이 놀라움을 선사하며, 나무들은 그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선물 중 하나다.
하지만 올해 봄은 산불로 인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마음 편히 느낄 수 없어 안타깝다. 이 찬란한
생명의 봄이 살육의 장으로 변해버렸기 때문이다.
하루빨리 산불이 잡히고 추가적인 산불발화가 사라져 우리의 아름다운 산하가 안전하고 평화로운 본래 모습을
되찾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첫댓글 The Final Countdown / Europe
'The Final Countdown(마지막 카운트다운)'은 1986년 5월 발매된 스웨덴의 헤비메탈 밴드 '유럽 (Europe)'의 3집
앨범 'The Final Countdown'의 동명 타이틀곡이다. 1986년 1월 미국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공중에서 폭발하여
일곱 명의 승무원 전원이 사망한 참사를 추모해 발표한 곡이다.
1986년 2월 싱글로 발매돼 영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25개국에서 차트 1위를 차지했다. 800만 장 이상 팔렸다.
특히 2015년 미국의 보험회사 광고 음악으로 쓰이면서 2015년 빌보드 하드록 차트 1위와 CM송 차트 1위에 오른
역주행 히트를 기록하기도 헸다. https://youtu.be/9jK-NcRmVcw
PLAY
아하~~!!
나무들의 생존법칙 ᆢ
글쿠나요 ᆢㅎ
네,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사나이3님.
네 한 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자연이다2님.
즐거운 시간 되세요...
The Final Countdown / Europe
전에 많이 들어본것 같은데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멋진 곡입니다.
감사합니다. 그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