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詩 한 수, 봄날의 회한(悔恨)
근심이라곤 모르던 안방 젊은 새댁,
봄날 단장하고 화려한 누각에 오른다.
문득 시야에 잡힌 길섶의 푸른 버들,
낭군더러 벼슬 찾으라 내보낸 걸 후회한다.
閨中少婦不知愁,(규중소부불지수) 春日凝粧上翠樓.(춘일응장상취루)
忽見陌頭楊柳色,(홀견맥두양류색) 悔敎夫壻覓封侯.(회교부서멱봉후)
―‘안방 여인의 원망’(규원·閨怨) 왕창령(王昌齡·698∼757)
남편의 부재에도 젊은 아내는 근심 걱정 모른 채 느긋하다. 봄날의 정취를 즐기려 몸단장 새로 하고 누각에 오르는 호사도 누린다. 삶의 굴곡을 체감할 만큼 원숙한 나이도 아니고 부유한 환경이라 어려움을 모르고 지내왔다. 그러니 주저 없이 남편을 벼슬길로 내몰 수 있었을 것이다. 한데 무심하게 보아 넘겼던 풍광들이 오늘따라 더없이 새롭다. 새록새록 환하게 피어오르는 길섶의 버들 빛에 그만 마음이 흐트러진다. 밀물처럼 몰려오는 회한(悔恨)과 함께 절로 터져 나오는 탄식. 아, 왜 내가 벼슬자리 찾아보라 낭군을 다그쳤던가. ‘근심이라곤 모르던’ 데서 ‘낭군 내보낸 걸 후회하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 연유는 무엇일까. 마음 깊숙이 감춰진 오랜 기다림과 원망이 푸른 버들의 충동질에 문득 눈을 뜬 것이리라.
시제 ‘규원(閨怨)’은 남자로부터 버림받거나 소외된 여자의 원한을 뜻한다. 이런 부류의 시를 규원시라 불렀고, 원한의 주체가 궁녀 혹은 비빈(妃嬪) 등 궁중 여인일 경우 별도로 궁원시(宮怨詩)라는 명칭을 쓰기도 했다. 이 시들은 드물게는 여성 본인이 짓기도 했지만, 시인이 여인들의 처지나 심정을 대변하듯 읊은 게 대부분이다. 때로 시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소외감을 그런 여인의 처지에 빗댄 경우도 있고, 또 책상머리 시인의 무병신음(無病呻吟·병도 없으면서 아픈 척 끙끙대다)처럼 억지로 짜낸 경우도 있다. 이백, 왕창령 등 실제 종군 이력을 거친 시인들의 규원시는 그래서 더 진정성이 돋보인다.
✵ 왕창령(王昌齡·698∼757)은 자는 소백(少白)으로 淸新한 글과 詩想으로 동시대의 이백과 쌍벽을 이룬 시인으로 진사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모함을 당해 변방에 근무하였다.
✺ 만첩빈도리[학명: Deutzia crenata f. plena Schneid]는 범의귀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떨기나무이다. 꽃이 겹꽃으로 핀다고 하여 만첩(萬疊)이라 하고, 줄기 속이 비어 있어서 빈이 들어가며, 말발도리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도리를 가져와 만첩빈도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다른 이름은 일본말발도리, 백화만첩빈도리라고도 한다. 기본종인 빈도리(D. crenata Siebold & Zucc.)에 비해서 꽃잎이 여러 장으로 겹쳐서 피는 것이 다르다.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말은 ‘애교’이다.
✺ 채진목(학명: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ex Walp. 꽃말: '순결,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 매실나무(학명: Prunus mume SIEB. et ZUCC. 꽃말: '고격(高格), 기품(氣品)'), 수련(학명: Nymphaea tetragona var. angusta CASP. 꽃말: '청순, 깨끗한 마음'), 수리취(학명: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꽃말: ‘장승’), 엄나무(학명: Kalopanax pictum var. typicum NAKAI. 꽃말: '경계, 방어'), 자엽안개나무(학명: Cotinus coggygria 'Royal Purple'. 꽃말: '희망의 내일'), 장미(학명: Rosa hybrida Hortorum. 꽃말은 애정, 사랑의 사자, 행복한 사랑 등으로, 장미 꽃말은 꽃의 색깔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다. 빨간 장미(욕망, 열정, 기쁨, 아름다움, 절정), 하얀 장미(존경, 빛의 꽃, 순결, 순진, 매력), 분홍 장미(맹세, 단순, 행복한 사랑), 노란 장미(질투, 완벽한 성취, 사랑의 감소), 파란 장미(얻을 수 없는 것, 불가능한 것), 빨간 장미 봉오리(순수한 사랑, 사라의 고백), 하얀 장미 봉오리(나는 당신에게 어울리는 사람입니다.) 들장미(고독, 소박한 아름다움), 결혼식의 장미(행복한 사람)이다), 신갈나무(학명: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꽃말: '번영'), 인동덩굴(학명: Lonicera japonica Thunb. 꽃말: '사랑의 굴레, 우애, 헌신적 사랑'), 억새(학명: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꽃말: '친절, 세력, 활력') ...
▩ 송강호, 한국 최초 칸 남우주연상…박찬욱은 감독상
배우 송강호가 28일(현지시간) 프랑스 칸 팔레 데 페스티벌(Palais des Festivals)에서 열린 /'제75회 칸 국제영화제/' 폐막식에 참석해 남우주연상 트로피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2.5.29/뉴스1
제75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배우 송강호가 남우주연상을,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받는 등 한국영화 역사상 최초로 칸 영화제 2개 부문을 석권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한국 남자배우가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주연상을 받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28일(현지시간) 칸 현지에서 열린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남우주연상 수상자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만든 한국영화 ‘브로커’에 주연으로 출연한 송강호가 호명됐다. 그는 ‘브로커’에 함께 출연한 배우 강동원, 고레에다 감독과 연이어 얼싸안은 뒤 나란히 앉아있던 박찬욱 감독, 배우 박해일과도 포옹하는 등 감격한 모습이었다.
무대에 오른 그는 비교적 담담한 모습으로 프랑스어로 “메르시 보쿠(감사합니다)”라고 인사했다. 이후 “너무너무 감사하고 영광스럽다”며 “예술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님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고레에다 감독은 객석에서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며 호응했다.
이어 “같이 한 배우들과 이 영광을 나누고 싶다”며 “나의 사랑하는 가족도 같이 왔는데 오늘 정말 큰 선물이 된 거 같아 기쁘다. 이 트로피의 영광과 사랑을 바친다”라고 말했다.
송강호는 앞서 자신이 출연한 영화 ‘박쥐’ ‘밀양’ ‘기생충’이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했을 당시에도 남우주연상 유력 후보로 손꼽혀왔는데 이번 영화 ‘브로커’로 4번째 도전만에 쾌거를 이룬 것이다.
영화감독 박찬욱이 28일(현지시간) 제75회 칸 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프랑스 남부 칸 ‘팔레 데 페스티벌’(Palais des Festivals)에서 열린 폐막식에 참석해 수상한 감독상 트로피를 들어보이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2.5.29/뉴스1
이날 시상식에선 6년만에 내놓은 장편영화 ‘헤어질 결심’으로 경쟁부문에 진출한 박찬욱 감독에게 감독상이 돌아갔다. 박 감독은 무대에 올라 “코비드 시대를 겪으면서 우리 인류가 국경을 높이 올린 때도 있었고 또 하나의 단일한 공포와 근심을 공유하게 됐다”며 “영화관이라는 곳이 얼마나 소중한 곳인지 우리 모두가 깨닫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이 질병을 이겨낼 희망과 힘을 가진 것처럼 우리 영화인들도 영화관을 지키면서 영화를 영원히 지켜내리라 믿는다”며 전세계 영화인들을 위로했다. 또 “이 영화를 만드는데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은 분들께 감사를 표한다”며 “무엇보다 박해일, 탕웨이 이 두사람에게 보내는 저의 사랑은 뭐라 말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라고 했다.
박찬욱 감독(왼쪽)과 배우 송강호가 28일(현지시간) 프랑스 칸 팔레 데 페스티벌(Palais des Festivals)에서 열린 '제75회 칸 국제영화제' 폐막식에 참석해 트로피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2.5.29/뉴스1
박 감독은 이로써 2004년 ‘올드보이’로 심사위원대상을, 2009년 ‘박쥐’로 심사위원상을 받은데 이어 이번 감독상까지 받는 등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4번 올라 3번 주요상을 타는 기록을 세우며 ‘칸이 사랑한 감독’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출처: 동아일보 2022년 05월 29일(일)/ 국제]
[자료출처 및 참고문헌: 〈이준식의 漢詩 한 수(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동아일보 2022년 05월 27일.(금)〉,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우리 나라의 나무 세계 1(박상진.김영사)》, 《Daum, Naver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 ∙ 고앵자 생명과학 사진작가 ∙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
첫댓글 능곡 김석희 교장선생님
어우렁 더우렁
와서는 가고
입고는 벗고
잡으면 놓아야 할
윤회의 소풍길에
우린 어이타
인연 되었을꼬,
봄날의 영화
꿈인듯 접고
너도 가고
나도 가야 할
그 뻔한 길
왜 왔나 싶어도
그래도...
아니 왔다면
후회 했겠지...
노다지처럼
널린 사랑
때문에 웃고
가시처럼 주렁한
미움 때문에 울어도
그래도
그 소풍 아니면
우리 어이 인연 맺어졌으랴,
한 세상
살다 갈 소풍길
원없이 울고 웃다가
말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단 말
빈말 안되게...
어우렁 더우렁
그렇게 살다 가 보자
-- 卍海 한 용운 --
감사합니다 ~
고봉산 정현욱 님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보고 낭군과 함께 이경치를 즐겼어야했는데...하는 아쉬움을 표하는 시 같아 윈망을 한다면 낭군에대한 원망이 아니라 벼슬길로 내 몬 자신을 원망하는것이 아닌가 생각도 되고 곱게 차려입고 누가봐도 행복해 보이는 안방새댁이 남편으로부터 버림받거나 소외된 여인의 시 즉 閨怨詩와도 거리가 먼듯한 시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