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총선 막바지에 터진 양문석·김준석 논란에 "역풍 맞을라" 난색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강성 친명(친이재명)계인 민주당 양문석 경기 안산갑 후보와
김준혁 경기 수원정 후보는 각각 편법대출 의혹과
설화를 빚으며 총선 막바지 정국의 뇌관이
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민주당도 자칫 섣부른 대응으로
민심 역풍을 부를까 공천 취소 등
당 차원의 개입 가능성을 전면 차단한 채
표정관리만 하고 있답니다.
이에 여당은 민주당의
'친명횡재 비명횡사' 공천 부작용이라고
집중 공세를 펴고 있답니다.
지역구 다선 현역인 비명(비이재명)계 대신
검증되지 않은 친명 신예를
무리하게 발탁한 게 화근이 됐다는 것입니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양 후보의 불법대출 의혹이 불거지자
"지금의 양문석 사태는
'친명횡재 비명횡사' 공천의 산물"이라며
"불량 정치인을 대거 공천한 민주당은
반드시 심판받아야 할 것"이라고 일갈했답니다.
실제로 경기 안산갑과 경기 수원정은
모두 민주당 비명계인 전해철 의원과
박광온 의원이 내리 3선을 지낸 지역구로,
지역사회의 신망과 조직력이 두터운 것으로 평가되며
4선 도전이 유력시됐답니다.
그럼에도 민주당이 전격 발탁한 두 신예 모두
총선 직전 부동산, 위안부 피해자 등
민심 역린을 건드리는 논란에 휩싸이면서
민주당 인선 방향성에 대한 의구심이
재확산하는 모습입니다.
양 후보는 지난 2020년
서울 서초구 소재 30억 원대 아파트를 매입했고,
그 이듬해 장녀 명의로 새마을금고로부터
11억 원의 '사업자 대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양 후보는 대출 과정에서
대학생인 딸의 통신판매업 사업자 등록증을 제출했고,
대출 후 양 후보의 딸은 캐나다로 어학연수를 떠났답니다.
이와 관련, 양 후보는 대출금으로
아파트 매입을 위해 대부업체에서 빌린 6억3000만 원을 갚고,
나머지는 지인들로부터 빌린 돈을
상환하는 데 썼다고 밝혔답니다,
사업자 명의로 대출을 받았으나
결국 자가 구입용으로 대출금을 썼다고
자인한 셈입니다.
아울러 양 후보 측은 '편법대출'임을 인정하면서도,
대출 당시 새마을금고 측이 업계 관행이라며
사업자 대출을 제안했다고
'불법대출'이 아니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답니다.
이에 새마을금고는
"제안한 바 없다"고 정면 반박에 나선 상황입니다
현재 금융당국인 금융감독원은
서류 위·변조를 통한
'불법 작업대출'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양 후보의 의혹을 예의주시하고 있답니다.
김 후보는 지난 2022년
야권 성향 유튜브 채널인 '김용민 TV'에 출연해
"이화여대 초대 총장 김활란 씨가
해방 이후 이대 학생들을 미군 장교들에게
성상납시켰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화여대와 여권을 중심으로
후보 사퇴 요구가 빗발치고 있답니다.
;김 후보는 앞서 2019년에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가족을 엮는 등
망언성 발언을 한 바 있답니다.
김 후보는 자신의 망언 논란에
파장이 거세지자 지난 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정제되지 못한 표현으로 이대 재학생,
교직원, 동문의 자긍심에 상처를 입힌 점에
깊은 사과를 드린다"며
"아울러 위안부 피해자와 유가족 등
현대사의 아픈 상처를 온몸으로 증언해 오신 분들,
고 박정희 대통령 유가족분들,
그리고 제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과거 발언으로 불편함을 느끼셨을
많은 국민께도 거듭 죄송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뒤늦은 사과 메시지를 냈답니다.
이에 민주당은 해당 논란이
선거 악재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두 후보에 대한 당 차원의 대응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답니다.
김민석 민주당 총선상황실장은
지난 2일 편법대출 의혹에 휩싸인 양 후보의 처분에 대해
"당이 개입하는 방식은 취하고 있지 않다"며
사실상 양 후보의 '개인 문제'로 선을 그었답니다..
다만 새마을금고 현장조사에 이어
금감원까지 양 후보의 불법대출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는 만큼,
후속 정황이나 사실이 확인될 경우
민주당이 양 후보의 공천을 취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