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역사 6월1일
1592년 6월 1일 오늘은 의병의 날,
임진왜란 때 의령에서 망우당 곽재우 장군이 전국최초로
의병 일으킨 날(1592년)을 기념해 의병제전행사 하다가
2010년에 오늘을 ‘의병의 날’(국가기념일)로 정함
🌹오늘의역사(1900년대)6월1일🌹
🌳01년 용산 전환국, 은화 주조 개시
🌳07년 서울에서 평양간 시외전화 개통
🌳11년 동대문 북쪽 성벽 헐고 도로 개통
🌳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 개최 (~6.21).
🌳39년 총독부, 국민등록 실시
🌳43년 백금회수 강행
🌳48년 군정재판 폐지
🌳49년 서울시경, 반민특위 포위하여 무기 압수하고 특경대 해산
🌳50년 의무 교육 실시 -초등학교 6년 실시
🌳53년 대구일보 창간
🌳59년 제5차 아시아 민족반공대회 서울서 열림
🌳60년 동아대학생, 부산일보 집단 습격코 인쇄시설 파괴
🌳60년 허정 과도내각, 부정축재 자수기간 설정 (6월1∼20일)
🌳62년 김상돈 등 민주당계 41명 반정부음모혐의 발표
🌳63년 월간 <세대> 창간
🌳64년 전북대·청주대생들, 구속학생 석방과 박정권 하야 요구 시위
🌳65년 청소년 선도 위해 밤 10시에 사랑의 종 치기 시작
🌳67년 신민당 전국구 후보 김재화,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
🌳68년 여의도개발 준공, 윤중제 준공
🌳70년 북,'남조선 민족 방송'(평남 순안)을 '통일 혁명당 목소리 방송'으로 개칭.
🌳71년 충남 청양서 백제요 10개 발굴
🌳72년 육군보안사, 군납 싸고 1억8000만원 뇌물 받은 육군 장성 2명 구속 발표
🌳73년 호남매일 폐간
🌳73년 새 가정의례준칙 발효
🌳73년 불국사의 법음종 첫 타종
🌳77년 한국은행, 새 5000원권 발행
🌳81년 대구에 첫 점자도서관 개관
🌳82년 경기 성남 서쪽 상공에서 군수송기 C123기 추락 장병 53명 전원 사망
🌳84년 윌리엄 립시 대장, 주한 미군사령관(유엔군 사령관 겸임)으로 부임
🌳85년 국회, 대북 회신 통해 통일헌법협의회 구성 제의
🌳85년 서울시내 택시운전사 월급제 실시
🌳87년 중앙기상대, 강수(비,눈)여부에 대한 확률 예보제 실시
🌳87년 서울 13개대학 학생회장 등 간부 20여명, 호헌철폐 요구하며 단식농성(∼5일)
🌳87년 제10회 이탈리아 오픈유도대회에서 한국 종합 우승(금2·은3·동2)
🌳87년 서울 신정경찰서 신설 (서울 25개서, 562개 파출소)
🌳87년 제134회 임시국회개회, 민주당의원들 단식 농성
🌳87년 국사교육심의회, 고조선을 최초국가로 쓰는 등 국사책 개편방향 확정
🌳88년 서울올림픽 선수촌 및 기자촌 준공식
🌳88년 유전공학센터 이경광·김지영 박사팀, 세계 4번째로 슈퍼생쥐 3마리 생산 발표
🌳89년 대학생과 광주시민 4000여명, 검찰의 이철규군 익사발표에 항의 격렬 시위
🌳89년 국방부는 민통선내 전방지역 4억7000여만평 중 6100여만평을
통제구역에서 해제
🌳89년 군산시내서 토머스중사 등 미헌병 4명이 한국인 차병기씨등 3명을 곤봉과 구둣발로 집단 폭행
🌳89년 내외경제신문이 8년 6개월만에 복간
🌳89년 정부는 하와이 동남쪽 태평양 공해상에 7만 5000㎢ 해저광구를 확보 연구개발 착수
🌳90년 북한, 한반도 군축안 제의. 10만 수준까지 병력감축·DMZ 평화지대화 등
🌳90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자계산소는 지난 1월 미국 하와이대와 컴퓨터 직통선을 구성
🌳90년 평민당 토지투기조사위는 선경그룹이 정부의 5·8 부동산투기 근절대책 발표직후인 토지구입 발표.
🌳91년 문화부, 남북한통일후 언어생활지침이 될 「종합국어통일어사전」의 편찬을 추진키로
🌳91년 정부, 20일 866명의 시.도의원 선거를 실시한다고 공고. 첫날 1561명이 등록.
🌳91년 부산대에서 전국 178개대생 3만여명, 전대협 (의장.김종식 24.한양대 총학생회장)
제5기 출범식 개최
🌳92년 유고 사라예보 최악의 내전-유엔 파병경고, 경제제재
🌳92년 민주자유당 당정회의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오는 95년으로 연기 최종결정.
🌳92년 노태우 대통령과 소글로 베냉공화국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다.
🌳92년 현대중공업은 5억 3000만 달러짜리 인도 국영석유공사의 닐람해 양석유 생산설비 공사 수주.
🌳92년 일제하의 정신대피해자 9명 등 유족회회원 41명이 일본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피해보상소송 첫공판
🌳92년 국립전주박물관, 변산반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죽막동 산 35-17 일대에서
삼국시대 제사유적 발 굴
🌳94년 김영삼 러시아 방문-러, 엘친대통령
🌳95년 나웅배 부총리, 남북직교역 확대 추진방침 발표
~~~~~~~~~~~~~~~
2004년 6월1일...한국, 군(軍) 첫 ‘부부원사’ 탄생
군 부사관(옛 하사관)의 최고 계급인 원사 부부가 처음으로 탄생했다.
육군 특수전사령부 7공수특전여단 소속 김영우(46) 원사의 부인인 국방부 여군발전단
고충처리과 이현숙(43) 상사가 6월 1일 진급해 원사가 됨으로써,
창군 이래 첫 부부 원사가 됐다
~~~~~~~~~~~~~~~
2015년 6월 1일...
위안부 피해 김복동 할머니,
‘자유 영웅 100인’에 선정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김복동(89·사진)씨가 ‘국경 없는 기자회’와 프랑스 AFP 통신이 함께
선정한 ‘자유를 위해 싸우는 영웅 100명’(100 heros pour la liberte de la presse)에 뽑혔다.
언론 자유 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단체 ‘국경 없는 기자회’는 최근 창립 70주년을 맞아
전 세계 ‘자유 영웅’ 100명을 선정해 그들의 사진이 담긴 화보를 펴냈다.
김씨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
미국의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서 킹 목사 등과 함께 100인에 포함됐다.
~~~~~~~~~~~~~~~
2005년 6월1일..국보 제224호 경회루
일반인에게 공개
북악산과 인왕산을 배경으로 삼아 그 아름다움을 뽐내며
연못 위에 우뚝 서 있는 경회루는 각종 달력과
문화재 책자에 단골로 등장하는 건물이다.
경복궁 내에서도 관람객들에게 인기가 많아 이곳은 항상 문전성시를 이룬다.
특히 경회루 내에서 보는 북악산 일대의 한양 모습은
최고의 차경(借景)으로 평가를 받는다.
자연과 어우러져 은은한 멋을 풍기는 경회루의 모습을 감상하는 것에 더해서,
실제 이곳에서 있었던 역사적 사건 속으로 들어가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