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ja.wikipedia.org/wiki/赤字83線
적자 83선이란? : 1968년 국철 자문위원회가 제출한 의견서에서 '사명을 마친' 노선으로 지목한 83개의 노선을 말합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영업km가 100km 이하로 철도망에 기여하는 기능이 적고 연선 인구가 적음
2. 정기여객 편도 3000명 미만, 화물 1일 발착 600t 미만
3. 수송량 성장이 경쟁 교통수단을 밑돌고 여객과 화물이 감소하는 중
총 83개 노선 2590.6km가 선정되었으나, 지난한 협의과정 끝에 실제로 폐선된 노선은 총 116km에 불과했습니다.
한편 적자 83선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4개 노선 19km도 추가로 폐선되었습니다.
1972년 이후 적자 83선의 폐선논의는 중단되는데, 이는 '일본열도 개조론'을 주창한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리에 취임한 여파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적자 83선에 지정되어 폐지된 노선
노선명 | 구간 | 영업거리(km) | 폐지일자 |
코부쿠로선 | 코타케(치쿠호본선)~후타세 | 7.6 | 69. 12. 08. |
콘포쿠선 | 샤리(센모본선)~코시카와 | 12.8 | 70. 12. 01. |
카라츠선 키시타케 지선 | 야마모토(카라츠선)~키시타케 | 4.1 | 71. 08. 20. |
세치바루선 | 요시이(현 니시큐슈선)~세치바루 | 6.7 | 71. 12. 26. |
우스노우라선 | 사자(현 니시큐슈선)~우스노우라 | 3.8 | 71. 12. 26. |
카지야바라선 | 이타노(코토쿠선)~카지야바라 | 6.9 | 72. 01. 16. |
사사야마선 | 사사야마구치(후쿠치야마선)~후쿠즈미 | 17.6 | 72. 03. 01. |
미쿠니선 | 카나즈(호쿠리쿠본선)~아와라 | 4.5 | 72. 03. 01. |
우지나선 | 히로시마(산요본선)~카미오코 | 2.4 | 72. 04. 01. |
카와마타선 | 마츠카와(토호쿠본선)~이와시로카와마타 | 12.2 | 72. 05. 14. |
삿쇼선 | 신토츠카와~이시카리누마타(루모이본선) | 34.9 | 72. 06. 19. |
호소시마선 | 휴가시(닛포본선)~호소시마 | 3.5 | 72. 02. 01 |
*샤리역 : 현 시레토코샤리역
*현 마츠우라철도 니시큐슈선 : 당시 마츠우라선
*카나즈역 : 현 아와라온센역
*우지나선과 호소시마선은 여객 폐지 이후에도 화물선으로 이용되다가 80년대에 완전 폐선됩니다.
적자 83선은 아니였으나 70년대에 폐선된 노선
이부리선 와키카타 지선 | 쿄고쿠~와키카타 | 7.5 | 70. 11. 01. |
이츠카이치선 | 무사시이츠카이치~무사시이와이 | 2.7 | 71. 02. 01. |
아가츠마선 | 나가노하라~오시 | 5.8 | 71. 05. 01. |
하코다테본선 미나미비바이 지선 | 비바이~미나미비바이 | 3.0 | 71. 08. 20. |
*나가노하라역 : 현 나가노하라쿠사츠구치역
*미나미비바이 지선은 화물선으로 이용되다가 73년에 완전 폐선됩니다.
폐선되지 않은 적자83선
케센누마선 : 케센누마~모토요시 21.3 / BRT 전환(2012)
시라누카선 : 시라누카~카미챠로 25.2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닛추선 : 키타카타~아츠시오 11.6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아카타니선 : 시바타~히가시아카타니 18.9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우오누마선 : 라이코지~니시오지야 12.6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쿠로이시선 : 카와베~쿠로이시 6.6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코난철도 전환, 폐선
츠마선 : 사도와라~스기야스 19.3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미야노하루선 : 에라~히고오구니 26.6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코마츠시마선 : 츄덴~코마츠시마 1.9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아이오이선 : 비호로~키타미아이오이 36.8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쇼코츠선 : 쇼코츠~키타미타키노우에 34.3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야히코선 : 히가시산조~에치고나가사와 7.9 / 폐선(1985)
호조선 : 아오~호조마치 13.8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호조철도 전환
미키선 : 야쿠진~미키 6.8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미키철도 전환, 폐선
쿠라요시선 : 쿠라요시~야마모리 20.0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카즈키선 : 나카마~카즈키 3.5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카츠타선 : 요시즈카~치쿠젠카츠타 13.8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소에다선 : 카와라~소에다 12.1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무로키선 : 온가가와~무로키 11.2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야베선 : 하이누즈카~쿠로키 19.7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이와나이선 : 코자와~이와나이 14.9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코힌호쿠선 : 하마톤베츠~키타미에사시 30.4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오하타선 : 시모키타~오하타 18.0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시모키타교통 전환, 폐선
코힌난선 : 오콧페~오무 19.9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비코선 : 비후카~니우푸 21.2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야시마선 : 우고혼조~우고야시마 23.0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유리고원철도 전환
아케치선 : 에나~아케치 25.2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아케치철도 전환
우치코선 : 고로~우치코 10.3 / 유지(요산선 선형개량 계획에 따라), 고로~니야 5.0km 구간은 폐선 후 방향 전환
타카모리선 : 타테노~타카모리 17.7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미나미아소철도 전환
토미우치선 : 무카와~히다카초 83.0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아니아이선 : 타카노스~히타치나이 46.1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아키타내륙종관철도 전환
에츠미난선 : 미노오타~호쿠노 72.2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나가라가와철도 전환
미야노조선 : 센다이~사츠마오쿠치 66.1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후루에선 : 시부시~카이가타온센 64.8 / 오스미선으로 개명,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세타나선 : 쿤누이~세타나 48.4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유모선 : 나카유베츠~아바시리 89.8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사가선 : 사가~세타카 24.1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시가라키선 : 키부카와~시가라키 14.8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시가라키고원철도 전환
아이즈선 : 니시와카마츠~아이즈타키노하라 57.3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아이즈철도 전환
아이즈선 : 아이즈미야시타~타다미 88.4 / 타다미선으로 개명, 유지
간니치선 : 카와니시~니시키초 32.7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니시키가와철도 전환
와카사선 : 코게~와카사 19.2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와카사철도 전환
야마노선 : 미나마타~쿠리노 55.7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키하라선 : 오하라~카즈사나카노 26.9 / 제1차 특정지방교통선, 이스미철도 전환
노토선 : 아나미즈~타코지마 61.1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노토철도 전환, 폐선
나카무라선 : 쿠보카와~토사사가 20.7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토사쿠로시오철도 전환
모카선 : 시모다테~모테기 42.0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모카철도 전환
나가이선 : 아카유~아라토 30.6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야마가타철도 전환
히노카게선 : 노베오카~히노카게 37.6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타카치호철도 전환, 폐선
시베츠선 : 시베차~네무로시베츠 69.4, 나카시베츠~앗토코 47.5 / 제2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유노마에선 : 히토요시~유노마에 24.9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쿠마가와철도 전환
카지야선 : 노무라~카지야 13.2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타이샤선 : 이즈모시~타이샤 7.5 / 제3차 특정지방교통선, 폐선
신메이선 : 후카가와~나요로 121.8 / 폐선(1995)
카베선 : 카베~카케 32.0 / 폐선(2003)
오모토선 : 모이치~아사나이 31.2 / 이와이즈미선으로 개명, 폐선(2010/2014)
에사시선 : 고료카쿠~에사시 79.9 / 키코나이~에사시 폐선(2014), 고료카쿠~키코나이 도난이사리비철도 전환(2016)
산코호쿠선 : 고츠~하마하라 50.1 / 폐선(2018)
산코난선 : 쿠치바~미요시 28.4 / 폐선(2018)
하치노헤선 : 사메~쿠지 53.1 / 유지
오미나토선 : 노헤지~오미나토 58.4 / 유지
타다미선 : 코이데~오시라카와 26.0 / 유지
카라스야마선 : 호샤쿠지~카라스야마 20.4 / 유지
에츠미호쿠선 : 미나미후쿠이~카도하라 43.1 / 유지
메이쇼선 : 마츠사카~이세오키츠 43.5 / 유지
산구선 : 이세시~토바 14.1 / 유지
우와지마선 : 키타우와지마~에카와사키 33.6 / 유지
나루토선 : 이케노타니~나루토 8.3 / 유지
무기선 : 아난~무기 43.3 / 유지
카시선 : 카시~우미 14.1 / 유지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 야마카와~마쿠라자키 37.9 / 유지
니치난선 : 미나미미야자키~시부시 89.0 / 유지
첫댓글 아직도 남아있는 노선들이 상당히 많군요. 생소한 노선들의 이름도 많이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나름 수도권 노선인 카라스야마선이 저때부터 폐지 후보였단 사실이 좀 놀라웠습니다.
적자83선으로 폐선된 노선들은 사실 영업거리를 보면 알 수 있듯 지선급 노선들이 대부분이라 생소한 게 당연하지 싶습니다. 저는 이번에 공부하기 전에 알았던 노선이라고는 삿쇼선이 유일했습니다.
타다미선의 복구가 기적이라고 현지에서 이야기하는데 현재 재해로 불통 중인데 복구 예정이 없고 그대로 폐선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왜 그렇게 붙였는지 이해가 가더군요.
아직도 주말이나 연휴에는 타다미선을 완주하려는 철도팬들로 낮 열차는 초만원이더군요.
간선급 노선인 산인본선도 폭우로 허리가 끊어진 지 벌써 6개월이 지났습니다. 말씀하신 타다미선도 그렇고 큐다이본선, 호히본선, 메이쇼선 등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린 노선이 많긴 합니다만 여기도 수요를 보면 언제 복구될지 모르겠습니다.
@장항선임피역 철도 회사에서 복구해서 수익성이 있거나 그렇지 않다면 지역 주민들이 복구를 열렬히 원하는 경우 아니면 복구는 어렵고 그대로 폐선된다고 보아야 하겠지요. 일본도 지방 인구 감소에 고령화가 심하니깐요.
오히려 이용할 사람도 별로 없고 차량이 없어서 열차 배차 간격이 길어서 타기도 쉽지 않은데 국민의 세금으로 철도 공사만 열심히 하는 우리나라가 더 문제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