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R(clear), R(reset)은 초기화 신호인데, CLR(bar), R(bar)이므로 0일 때 동작합니다. ① CLR(bar), R(bar)가 미동작 상태 = CLR(bar), R(bar)에 1이 입력되는 상태 ② CLR(bar), R(bar)이 동작한 상태 = CLR(bar), R(bar)에 0이 입력되어 회로가 초기화 ▶ 강의에서 이야기하는 평소 동작하지 않는 상태(평소=1)란 위 ①의 상태를 말합니다.
회로를 보면, CLR(bar), R(bar)은 BS2, Thr의 신호를 입력받습니다. 이는 전동기가 동작하고 있다가 정지버튼을 눌러 BS2가 동작하거나, 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Thr이 동작하면 회로가 리셋되는 회로가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평소 CLR(bar), R(bar)에 1이 입력되는 상태가 되다가 BS2, Thr가 동작하여 CLR(bar), R(bar)에 0이 입력되면 회로가 리셋됩니다. (회로 소자)
첫댓글 공사part 시퀀스제어. 29번)
CLR(clear), R(reset)은 초기화 신호인데, CLR(bar), R(bar)이므로 0일 때 동작합니다.
① CLR(bar), R(bar)가 미동작 상태 = CLR(bar), R(bar)에 1이 입력되는 상태
② CLR(bar), R(bar)이 동작한 상태 = CLR(bar), R(bar)에 0이 입력되어 회로가 초기화
▶ 강의에서 이야기하는 평소 동작하지 않는 상태(평소=1)란 위 ①의 상태를 말합니다.
회로를 보면, CLR(bar), R(bar)은 BS2, Thr의 신호를 입력받습니다.
이는 전동기가 동작하고 있다가 정지버튼을 눌러 BS2가 동작하거나, 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Thr이 동작하면 회로가 리셋되는 회로가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평소 CLR(bar), R(bar)에 1이 입력되는 상태가 되다가 BS2, Thr가 동작하여 CLR(bar), R(bar)에 0이 입력되면 회로가 리셋됩니다. (회로 소자)
■ 동작 설명.
S는 set, R은 reset을 의미합니다.
회로의 앞의 동그라미는 low 입력형(문제에서 L(접지) 입력형)을 의미하는데,
1에서 0으로 바뀌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합니다.
BS1을 눌러 1→0으로 신호변경시 MC1이 동작을 합니다. (Y기동)
그리고 SMV는 단안정멀티바이브 레이터로 타이머라고 보면 되는데,
SMV는 BS1 신호에 의하여 출력이 1이었다가 일정시간후 다시 0으로 됩니다.
따라서, MC1이 동작되고 일정시간 후 소자되면서 FF의 S(bar)에 1→0 신호가 들어옵니다.
즉, MC2가 동작을 하게 됩니다. (델타 운전)
이렇게 운전을 하다가 정지버튼을 눌러 BS2가 동작하거나, 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Thr이 동작하여 CLR(bar), R(bar)에 0이 입력되면 전동기가 운전을 멈춥니다. (회로 리셋)
따라서 BS2 또는 THR은 00, 01, 10 에서 0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