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원(圓) 이 3차원 구(球) 가 되는 과정
첫댓글 우와..
그림으로 설명하니 이해가 쏙쏙?
그래서 답은 1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동그라미 두장 면적이 구체 겉넓이랑 같다는내용인가요?
원의 넓이는, 원을 톱날 모양으로 계속 쪼개면(톱 모양의 곡선이 직선으로 만드는 것이 미분) 사각형 {넓이: 높이;반지름r × 밑변, 원둘래의 반(톱날을 사각형으로 만들려면 길이가 반으로 줄어들죠) ; 파이r . 즉, 파이r자승= 원의 넓이}이 됩니다. 그것을 다시 구의 형태로 만드는 거죠. 즉, 원을 적분하면 구의 표면적이 되는 것 입니다. 구의 표면적을 적분하면 구의 부피가 됩니다.
@大公無私 원면적=파이r^2구표면적4파이r^2동그라미 4개가 구표면적이랑 같은건데저 동영상보면 원하나로 쪼개서 두배로 늘려서 구로 만드는 모양이라 이해가 안가네요
@빵꾸똥꾸 원을 적분하면 구가 됩니다. 넓이가 같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왜 옛날 선생님들은 저런걸 안가그려줬나.아무리 설명을 해도 이애가 가지 않아서 공식만 달달외웠는데.
일단 0.1.-1 중 하나만 찍으면 되!!
첫댓글 우와..
그림으로 설명하니 이해가 쏙쏙?
그래서 답은 1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동그라미 두장 면적이 구체 겉넓이랑 같다는내용인가요?
원의 넓이는, 원을 톱날 모양으로 계속 쪼개면(톱 모양의 곡선이 직선으로 만드는 것이 미분) 사각형 {넓이: 높이;반지름r × 밑변, 원둘래의 반(톱날을 사각형으로 만들려면 길이가 반으로 줄어들죠) ; 파이r . 즉, 파이r자승= 원의 넓이}이 됩니다. 그것을 다시 구의 형태로 만드는 거죠. 즉, 원을 적분하면 구의 표면적이 되는 것 입니다. 구의 표면적을 적분하면 구의 부피가 됩니다.
@大公無私 원면적=파이r^2
구표면적4파이r^2
동그라미 4개가 구표면적이랑 같은건데
저 동영상보면 원하나로 쪼개서 두배로 늘려서 구로 만드는 모양이라
이해가 안가네요
@빵꾸똥꾸 원을 적분하면 구가 됩니다. 넓이가 같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왜 옛날 선생님들은 저런걸 안가그려줬나.
아무리 설명을 해도 이애가 가지 않아서 공식만 달달외웠는데.
일단 0.1.-1 중 하나만 찍으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