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그림 2편 중 윗것은 이탈리아 화가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알레산드로 디 마리아노 디 반니 필리페피; Alessandro di Mariano di Vanni Filipepi, 1445~1510)의 1485년작 〈지옥의 심곡(地獄深谷; La voragine infernale)〉이나 〈지옥도(地獄圖; The Map of Hell)〉이고, 밑것은 윗것의 일부분이다. 이 지옥도는 15세기에 편찬되었을 이른바 《보티첼리 삽화본 신곡(Disegni per la Divina Commedia; Divine Comedy Illustrated by Botticelli)》에 수록된 삽화 95편 중 한 편이다. 이 책의 원작은 이탈리아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1265~1321)의 1309~1320년작 장편서사시(長篇敍事詩) 《신곡(神曲; Divina Commedia)》이고, 제1편 《지옥(Inferno)》, 제2편 《연옥(련옥; 煉獄; Purgatorio)》, 제3편 《낙원(천국; Paradiso)》으로 구성되었다. 두 그림 중 밑것에는 《지옥》 제18곡에 나오는 제8지옥이 묘사되었다.
문학작품과 미술작품에 묘사된 이 지옥도는, 당연하게도, 13세기 이탈리아 시인과 15세기 이탈리아 화가의 지옥관(地獄觀)을 예시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도 지옥은 상상되었고 묘사되었다(☞ 참조).
그런데 어리뜩한 죡변의 야살스러운 눈깔에는 21세기 한국에서도 지옥도가 심심잖게 목격될뿐더러, 그런 지옥도들은 이탈리아 시인과 화가의 지옥도에 묘사된 것보다 더 가혹하고 참담한 (무분별하고 악랄한 학부모들, 교사들, 공직자들, 정치꾼들, 갑질꾼들이 초래하는 가정의, 가족의, 학교의, 사회의, 현실의) 지옥을, 생지옥(生地獄)을, 현생의 지옥을, 지상(地上)의 지옥을 암시하는 듯이 보인다(☞ 참조).
예컨대, 한국에서 2010년에 방송된 OCN 드라마 《신의 퀴즈》(시즌1: 제10회)에 등장하는 살인마(殺人魔) 정하윤과 법의관(法醫官) 한진우는 다음과 같이 대화한다.
정하윤: 이 세상엔 잠재된 괴물들이 엄청 많아. 밤 12시에 학원 끝나고 집으로 가는 중고등학생들을 보라구. 어른들이 (그들을) 열심히 괴물들로 만들고 있잖아.
한진우: 억지 좀 부리지마, 정하윤. 이 세상에 너 같은 건 너 하나뿐이야.
정하윤: 너무 억울해하지마. 살다 보면 네가 저지르지 않았어도 책임져야 하는 일이 있는 거니까.
더구나 한국 작가 채용택이 글쓰고 만화가 한가람이 그리는 웹툰(연재만화) 《참교육》 제65화(2022년 1월 30일)에서 등장인물 한예리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내가 별의별 가정사를 들으면서 느낀 건 ‘살려면 탈출해야 하는 지옥 같은 집구석이 천지에 깔렸다’는 거야! 그런데 이 나라는 보호요청을 하면 일단 부모한테 연락해. 돈벌려고 알바하려고 해도 부모 동의 없으면 또 못해. 그럼 살려고 탈출한 애들이 뭘 할 수 있을까? 범죄밖에 더 있어?! 집으로 끌려가도 지옥… 범죄에 휘둘려도 지옥… 생존형 가출은 진짜 답이 없어…”
☞ 《참교육》 제65화
그리고 이 웹툰의 제71화(☞ 직통)도 주목받을 만하다.
아랫그림은 이탈리아 판화가 바치오 발디니(Baccio Baldini, 1436~1487)의 1481년작 판화 〈이것은 (이탈리아 북서항구도시) 피사(Pisa)의 캄포산토(Camposanto) 묘소 벽화에 묘사된 지옥이다(Questo el inferno del chaposanto di Pisa)〉인데, 보티첼리가 이 판화의 원작벽화를 그렸으리라고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