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산(摩尼山 639.8m)하면 민족 제1의 성적(聖蹟)인 강화도의 마니산을 먼저 떠올린다.
제천단(祭天壇)이 있어 지금도 전국체전 때는 성화를 채화하는 성스러운 산이다.
강화도의 마니산이 그러하듯 영동의 마니산도 처음엔 두악(頭嶽)으로 마리산 또는 머리산이라고 불렀다.
마리란 머리를 뜻하는 고어(古語).
그래서그런지 이곳 사람들은 마니산하면 잘 모르고 동네 뒷산을 가리키면 그제서야 ‘마리산‘하며 알아 차린다.
이 마리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불교에서 여의주를 뜻하는 마니(摩尼)라 썼고, 이 잘못된 이름이 그대로 굳어져 마니산으로 불리고 있다.
찾는 이가 많지 않아 거친 산길이지만 트인 곳곳으로 금강의 구비치는 물굽이와 깎아지른 절벽 너머로 펼쳐지는 조망은 산객들의 발걸음을 자주 멈추게 한다.
마니산은 날머리인 중심이 마을에서 보면 깎아지른 바위벼랑과 기암괴봉으로 마치 금강산을 닮아 있다.
그 중 매우 기이한 봉우리 두 개가 보이는데, 하나는 사자머리봉이고, 다른 하나는 중심이 골짜기에서만 볼 수 있는 향로봉이다.
향로봉은 마니산이 양팔을 벌리고 있는 그 한가운데로 줄기가 내려와 머리를 추켜들고 있다.
향로를 닮았지만 생각하기에 따라서 치켜든 거북의 머리처럼도 보인다.
중심이 마을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는 골짜기 끄트머리에 있다.
이 마을로 들어가는 길은 오직 금강가에서 골짜기 개울을 따라 들어가야만 한다.
이 골짜기는 좁고 꼬불꼬불하며 길어서 난을 피하는 데 아주 좋은 곳이다.
고려 말엽 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이 피란왔을 때, 마니산성과 천태산의 영국사, 누교리, 어류산 등에 공민왕과 관련되는 이야기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공민왕이 중심이 골짜기에 머물고 있을 때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천태산 영국사에 불공을 드리려 다녔다 한다.
영국사(寧國寺)라는 절 이름은 나라를 평안케 한다는 뜻이고, 노국공주가 영국사로 들어가기 위해 개울(호탄천)을 건널 때 신하들이 깔아준 널빤지를 밟고
건넜다해서 마을 이름이 ‘널빤지 다리’라는 뜻의 누교리(樓橋里)가 된 것이다.
어류산(御留山)은 공민왕(御)이 마니산으로 들어가기 전에 머물렀다(留)해서 붙은 이름이다.
산행은 국제신문의 가이드대로 원점회귀를 하려다 산행거리가 너무 짧아 노고산(老高山 429m)을 끼웠고, 어류산을 포함하려다 그건 또 너무 길고 험해
엘로힘연수원으로 구부리고 말았다.
엘로힘연수원은 기독교 시설.

산행궤적

약 8km를 4시간 30분동안 걸은 셈.

고도표

개념도

참고 개념도<국제신문>

황간 IC를 빠져나온 우리 버스는 산행기점을 앞에 두고 금강을 가로지르는 죽청교를 건넌다.

들머리인 죽산보건진료소를 300여m 앞에두고 삼거리에서 차를 멈춘다.
빨간 화살표는 보건소로 질러 들어가는 길이고, 버스는 여기서 A팀들을 내려주고 엘로힘연수원으로 가게 될것이다.

버스에서 내려 대강의 채비를 갖추는 A팀 일행들. 버스 뒷편엔 아까 건넌 죽청교 다리가 보이고, 좌측 방향은 날머리인 엘로힘연수원으로 가는 길.

일행들 뒤로 도드라진 봉우리는 악명 높은 어류산과 시루봉의 모습.

2차선 아스팔트 도로를 버리고 우측 마을길로 접어든다.

마을길 입구의 '호조참판公신도비(추모비)'. 참판이면 요즘으로 치면 차관급.

죽산리마을회관을 사진에 담은 뒤 마을회관을 지나지 말고 돌아서서 우측...

마을 넓은 공터의 정자쉼터 옆으로 진행한다. 우측 기와지붕의 건물...

원모재(遠慕齋)는 조상을 기리는 재실(齋室). 산길이 바빠 어느 문중인지 확인은 하지 못했고...

솟을 삼문의 현판은 세덕문(世德門).

원모재를 사진에 담느라 시간이 지체되었다. 들머리를 안내하기 위해 헥헥거리며 앞질러가...

앞선 일행들은 농로를 우측으로 꺾지만 필자는 좌측 무덤 방향으로 꺾었다. 어느쪽으로도 가능할 것.

무덤을 우측 옆구리에 끼고 조금만 진행하면...

본격 산길로 접어들고...

오름길이 시작되자 등산객을 위한 편의인지, 무덤으로 가는 후손들의 편의인지 계단이 잘 놓여져 있다.

그 계단은 무덤으로 직등하였고...

무덤 뒤 솔숲으로 편안한 산길이 이어지더니...

급기야 산이 벌떡 일어섰다.

거기다 낙엽이 쌓인 등로는 미끄럽기 그지없었으나 밧줄로 등로가 확보되어 그나마 속도를 조절하며 오를 수 있었다.

그렇게 끙끙거리며 올라선 능선엔 'Y'형 지게짝대기를 받친 나무막대기가 출입을 금하라는 듯 가로막고 있다. 이 지점 지게짝대기가 갈림길 지형지물이고 노고산 정상은 우측 30m지점.
나무를 걸쳐 놓은 사람은 아까 무덤의 후손인 듯 짐작되지만 상당히 완곡한 의사표시로 보인다.

노고산 정상에 선다.

조그만 자연석 돌멩이에다 제법 뚜렷한 글자를 새겨 넣은 정상석에서...

등네미님과 기념사진을 찍는다.

노고산 코팅지.

마니산으로 향하는 노고산 북서능(서쪽으로 내려섰다가 북서방향으로 휘어진다)은 어디에 숨었는지 보이지 않아 잠시 헤프닝이 벌어진다.
마음 급한 일부회원들은 노고산 북릉(엘로힘연수원 삼거리)으로 내려가버려 빠꾸빠꾸~
알고보니 사진의 돌무더기(방공호) 좌측 내리막으로 북서능은 숨어 있었다.

숨어 있었던 북서능의 가파른 사면을 비켜돌아...

돌아보니 빠꾸하며 불렀던 일행들이 되올라 왔다.

돌아보는 노고산 숨은 능선길.

북서능은 제법 가파른 길이였지만...

어느새 전형적인 능선의 모습으로 바뀐다.

희미한 발자국을 따라 안부에 내려섰다 다시 올라선 능선에서 돌아보는 노고산.
노고산 좌측 산자락은 북쪽 방향의 엘로힘연수원 삼거리로 가는 길이고, 노고산 너머는 우리가 올라온 죽산리 방향.

조망이 트이면서 금강의 流流한 흐름과 시루봉 어류산의 까탈스러운 모습.

도드라진 전망바위에선 사방이 열리고...

진행할 능선의 출렁거림이 다가온다.

등로 좌측 깊숙한 계곡에는 오장저수지가 가을빛을 담아내고 있고, 그 좌측 건너로 보이는 뽕긋한 봉우리는 봉화산이다.

산꾼의 발길을 더디게 하는 건 고을 샅샅을 핥으며 흘러온 금강의 물줄기 때문일 것.

도드라진 그 자리에 연리지님도 섰다.

금강변에 우뚝 선 까탈스런 어류산을 함께온 일행 한 분이 혼자 찾아 나섰으니, 저 어디쯤 앙칼스런 바윗길을 걷고 있을 것.

이제 능선은 제법 산줄기로서 기품을 드러내더니...

지형도의 480.3m봉에 닿았다. 이 봉우리는 여러사람이 식사를 할 정도로 제법 너른 공간.

왠 죽산봉(?). 죽산리에서 솟은 봉우리라 그리 명명 되었남? 전국의 산봉우리마다 이름을 새기는 코팅맨 서래야.
고증되지 않은 이름으로 인해 헷갈리게 하기도하고, 또 좋게보면 무명봉에다 생명력을 불어넣으니 긍정적인 측면도 영 없는 건 아니지만, 바라건대 마을사람
들의 이야기라도 듣는 등 최소한의 고증이라도 거쳤으면 좋겠다.

식사후의 발걸음은 늘 가볍기만 하고, 진행방향으로 마니산의 암팡진 모습이 적나라하게 들어온다.

우측 잡목 사이의 엘로힘연수원의 모습을 살짝 당겨보았다.

그리고 좌측 능선 끄트머리에 봉화산이, 그 너머 고개를 내민 동골산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두 능선은 마니산을 정점으로 가지를 치며 뻗어 있으니...

점심식사도 했으니 이제 다리에 힘이 붙었는 듯 씩씩한 발걸음.

작지만 잦은 오르내림은 체력소모를 가져올 수밖에 없을 것. 내려서는 안부에서 조금 더 오르면 우측으로 국제신문의 시그널이 많이 걸렸다.
국제신문 산행팀이 내려갔던 지점이다.

잡목사이로 향로봉과 사자머리 암봉의 유별난 포스가 드러난다.

열린 전망대에선 카메라를 맡기기도 하고...

모델이 없으면 그저 바위 덩어리를 모델로 지나온 산길을 돌아본다.

날머리인 중심이마을(엘로힘연수원)로 들어오는 깊숙한 골짜기.

엘로힘연수원의 모습과 어류산으로 솟구치는 능선길의 545봉과 그 뒤로 고개를 내민 어류산.

엘로힘연수원과 우리 버스를 살짝 당겨 보았다.

암릉이 나타나면서 밧줄구간이 시작되고...

그리 위험하지는 않는 구간을...

즐기듯...

조심조심 올라서니...
드러나는 마니산과 향로봉 사자머리봉의 옆뽈떼기.

그 뒤로 계속 이어지는 능선 끄트머리에 어류산이 버티고 섰다. 가까이 향로봉, 어깨동무한 사자머리봉, 잘록한 안부를 지나 솟은 545봉과 어류산.

옆에서 바라보면 향로봉은 그저그런 모습.

단애로 벼랑을 이룬 산자락은 만산홍엽(滿山紅葉).

좌에서부터 볼록 솟은 봉황산과 우측 계곡 건너 동골산, 두 산의 중앙 뒤론 비봉산(482m), 그 뒤론 충청남북도의 경계를 긋는 도계.

더 우측으로 시선을 돌리면 왼쪽 동골산과 우측 멀리 끄트머리에 천태산.

암봉과 어우러진 멋진 소나무 전망대가 동편 단애 위에 펼쳐진다.

세찬 비바람에 인고의 세월을 견딘 소나무는 바위벼랑에서 아무렇게나 뒤틀리며 자라...

축 늘어진 모습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그들의 생존 철학.

그들은 이 굴곡진 산비탈을 굽어보며 나그네와 시선을 맞추고 있다.

중심이마을과 우리 버스를 살짝 당긴 모습.

충북의 맞춤인 오석 사각형 정상석과 삼각점.

돌더미는 허물어진 마니산성의 성돌.
병풍을 두른듯한 기암절벽이 천연적인 성 역할을 하고, 그 암벽을 토대로 동으로 100m, 남으로 1,000m의 성을 삼국시대에 쌓았다고 한다.

주위를 둘러보면 성곽의 형태를 갖춘 돌무더기들이 널브러져 있고...

눈길을 돌리면 군데군데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어.

마니산 정상을 지나 30여분 진행하면...

천혜의 조망처인 너럭바위가 나타난다. 탄성이 절로 나는 지점.

우리는 이 전망대에서 오늘 산행의 절정을 맛본다.

그리고 만난 '중심이재'에서 '소 닭보듯'하는 A팀들을 뒤로하고 우루루 탈출을 시도한다. 주범은 현자 총무.
물론 먼저 내려가 뒷풀이 준비를 할 의도겠지만 오늘 한 차례 알바를 하며 헥헥 빽꼬(Back go)를 하였으니... ㅉㅉ.

사자머리봉은 중심이재에서 불과 고도 40m만 치고 오르면 5분여만에 만나는 봉우리.

바위지대에선 조망이 열리고...

사자머리봉 코팅지가 나무에 감겨있다.

사자머리봉에선 우로 90도 비스듬히 꺾으며 급하강...

어류산을 향하는 곳으로 전망이 열린다.

어류산을 향하는 산줄기를 따르려면...

안부에서 다시 솟은 545봉의 위엄을 극복해야만 한다.

제 몸 삭이며 물드는 활엽수. 이제 얼마 지나지 않아 살점 한 점, 핏방울 한 방울까지 몸밖으로 뿜어내고 모진 겨울을 이겨 내겠지.
권성훈 시인은 '저마다의 색깔로/ 하혈하는/ 가을 산 속'이라 노래하였다.

겨울 채비에 들어간 나무들이 떨쿤 낙엽들을 바지가랭이로 쓸며...

가파른 내리막을 내려서다...

유난히 붉게 영근 이름 모를 이 열매.

어류산 갈림길이다. 빨간 화살표는 어류산 방향이고, 우리는 우측으로 하산을 한다.

내림길은 사면으로 비스듬히 비켜도는 토끼비리길로...

계곡으로 내려서서...

임도를 만난다.

향로봉을 우로 올려다 보며...

사립문 울타리를 통과하여...

등산로 표식을 만나고...

향로봉과 사자머리봉을 돌아본다.

넓은 공터에서...

산그늘지는 향로봉을 다시금 올려다 본다.

향로봉은 아래에서 보았을 때 훨씬 위압감이 든다.

엘로힘연수원 시설지구에 들어서...

조용한 경내를 지나...

다시 돌아보는 불끈 솟은 향로봉.

천혜의 산속 깊숙한 골짜기 넓은 터에 잘 꾸며진 연수원을 벗어나며...

가지가 휘어질 정도의 사과나무 과수원과 수북이 깔린 낙엽들을 뒤로하고...

시설지구를 벗어나...

버스가 대기중인 곳으로 무사히 귀환하였다.
-단 풍-
맑은 계곡으로 단풍이 진다
온몸에 수천 개의 입술을 숨기고도
사내 하나 유혹하지 못했을까
하루종일 거울 앞에 앉아
빨간 립스틱을 지우는 길손다방 늙은 여자
볼 밑으로 투명한 물이 흐른다
부르다 만 슬픈 노래를 마저 부르려는 듯 그 여자
반쯤 지워진 입술을 부르르 비튼다
세상이 서둘러 단풍들게 한 그 여자
지우다 만 입술을 깊은 계곡으로 떨군다
<박 성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