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1950. 12. 18. 대구.훈련소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 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 돌아올 깁니다.”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 시찰하는 중, 종군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 1950. 8. 18. 백선엽 장군(가운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세우고 있다.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왼쪽부터 허정, 콜트, 무초 주한 미대사)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